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신상철 Dec 09. 2015

돈 안 갚는 사람의 심리

인간관계를 가장 빠르게 망치는 방법의 하나가 금전 관계를 맺는 것이다. 가족조차도 돈 문제가 생기면 불화가 생기는 게 자본주의다. 정이나 의리 운운하며 쉽게 넘길 수 없는 문제다. 인간관계를 금전 관계로 바꾸지 않을 자신이 있다면 이 글을 더 읽지 않아도 좋다. 하지만 그런 게 아니라면 한 번쯤 생각해 볼 주제다.


– 시간이 지나면 잊는다

인간은 망각의 동물이다. 시간이 흐르면 지나간 일은 다 잊기 마련이다. 채권자는 기억력이 좋아도, 채무자는 기억력이 나쁜 게 금전 관계다. 인간관계가 금전 관계로 바뀌면 캐릭터도 달라지기 마련이다. 기억이 안 나 깜빡했다는 말이 채무자 입에서 나왔다면 그다음 단계를 대비해야 한다. 괜찮은 사람이라면 잊지도 않았겠지만, 잊었다 하더라도 그 자리에서 어떻게 갚을지 바로 말했을 것이다.


– 공돈이 나간다 생각한다

남한테 빌린 돈인데도 자기 돈이라 생각한다. 갚는 게 아니라 왠지 주는 것 같다. 이 돈을 내가 계속 가지고 있으면 쓸 일이 많은데 돈이 필요 없는 상대방한테 그냥 주는 느낌이다. 상대방은 어차피 이 돈 없어도 지금까지 잘살고 있지 않나. 괜한 돈 나간다 생각하니 꿀꺽하고 싶다.


– 보채는 상대방이 싫어진다

돈 좀 빌렸다고 사채업자처럼 보채는 상대방이 싫어진다. 나는 어차피 때 되면 갚을 건데, 자꾸 달라고 하니 왠지 갚기 싫어진다. 심지어 돈이 생겨도 상대방이 싫어졌기 때문에 자기가 필요한 일에 먼저 쓰고 돈 갚는 건 나중으로 미룬다. 관계가 이렇게 된 건 자기 때문이 아니라 상대방 때문인 것 같다. 채권자는 이미 마음속에서 나쁜 놈이 됐기 때문에 골탕을 먹이고 싶다. 채무자가 이 단계까지 왔다면 사실상 받기 어렵다고 봐야 한다.


– 안 갚아도 별일 없을 것 같다

돈을 안 갚고 몇 달 버티다 보면 상대방이 말을 안 하길 기대하게 된다. 구렁이 담 넘어가듯 흐지부지 넘어가고 싶다. 왠지 이 돈 안 갚아도 상대방은 괜찮을 것 같다. 상대방 페이스북에 들어가 보니 여행도 다니고 쇼핑도 잘하고 사는 것 같다. ‘내가 이 돈을 꼭 갚아야 하나?’ 이런 마음이 생기게 된다. ‘내가 안 갚아도 잘 살 것 같은데, 남는 돈 서로 좀 나눠 쓸 수 있는 것 아닌가?’ 이런 심리가 본인도 모르게 쏟아 오른다.


– 법까지 갈 거라 생각 안 한다

소송으로 갈 경우 채권자도 정말 괴롭기에 채무자는 상대방이 소송까지 갈 거란 생각을 잘 안 한다. 채권자는 채무자를 경찰에 신고하고 소송도 할 수 있겠지만, 상대방이 안 갚을 각오를 했다면 정말 받기 어렵다. 사채업자들이 괜히 주먹들 끼고 일하는 게 아니다.


멀쩡한 인간관계도 엉망으로 만드는 게 돈거래다. 안 빌려줬다고 기분 나빠하는 지인이 있다면 더 만날 필요도 없다. 사회생활의 기본도 모르는 사람과 관계를 계속 맺어봐야 시간만 아깝다. 괜찮은 사람이라면 상대방이 안 빌려줬다 하더라도 오히려 그런 말을 꺼낸 자기 자신을 부끄러워한다. 금융권에서 돈을 빌릴 수 없어 지인에게 돈을 빌려야 하는 사람은 대체로 신용이 안 좋고, 당분간 돈이 더 나올 구석이 없다고 봐야 한다. 빌려주면 최소 몇 년은 받기 어렵다는 뜻이다. 상대방에게 투자할 생각으로 ‘주는’ 것이라면 상관없지만, 돌려받을 생각으로 ‘빌려’ 주는 거라면 각오해야 한다. 돈이란 서서 주고 엎드려 받는 법이다.

매거진의 이전글 글은 어떻게 써야 팔리는가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