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신상철 Feb 16. 2016

롯데는 어느 나라 기업인가?

롯데의 경영권 다툼이 입에 오르내리면서 사람들 사이에 궁금증이 하나 생겼다. 롯데는 과연 어느 나라 기업인가 하는 의문 말이다. 특히 신동주 전 일본롯데 부회장의 일본어 인터뷰는 이 이슈의 강력한 시발점이 됐다.


그동안 많은 이가 롯데가 형제들이 일본에서 자란 사실 정도는 알았지만, 그렇다고 한국어 실력이 이 정도 수준일 줄은 몰랐다. 특히 이중국적 문제도 한국으로 정리한 이상 법적으로 한국인임에도 신동주 전 부회장이 한국 언론 상대로 일본어 인터뷰를 한다는 건 실망 이상의 충격을 줄 만한 일이다. 한국인에게 한국어를 한다는 건 굉장히 중요한 문제다. 그나마 한국에서 직장 생활이 다소 길었던 신동빈 회장의 한국어 실력은 어색하긴 해도 들어줄 만하다.


특히 신격호 총괄회장과 신동주 전 부회장은 일본어로 대화하고 동생 이름을 ‘아키오’라고 부른다고 한다. 다른 건 몰라도 이들의 정서가 일본인에 가깝다는 건 미루어 짐작할 수 있는 사실이다. 롯데의 국적 정체성을 규명하는 건 생각보다 어려운 일이다. 롯데그룹을 지배하는 지주 회사는 호텔롯데인데 그 호텔롯데를 지배하는 건 일본 롯데홀딩스다. 그리고 그 위에는 비상장법인 광윤사가 있다. 광윤사에는 직원이 3명 있는데, 우리가 아는 세 명이 그들이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지배 구조상 일본 기업이라는 시각도 있고, 법인세에 따라 국적을 나눠야 한다는 의견도 있다. 또 요즘 같은 글로벌 시대에 기업의 국적을 나누는 것 자체가 무의미하다는 의견도 있다. 사실 삼성전자나 포스코도 외국인 지분이 50%를 넘는 상황에서 주주의 국적을 가지고 기업의 국적을 정할 수도 없는 노릇이다. 그런 면에서 기업의 국적을 따지는 것 자체가 부적절하고 감성적인 일이라는 인하대 경제학과 김진방 교수의 말에 공감하는 바이다.


신동빈 회장은 이 이슈에 대해 롯데의 매출 95%가 한국에서 발생하고 있으니 롯데는 한국 기업이라고 기자들 앞에서 공언했다. 사실 ‘사람은 성공한 곳이 고향’이라는 말도 있듯이 기업으로서는 매출 많이 나오는 곳을 본거지라고 봐도 무방하지 않나 싶다. 하지만 이 이슈의 진짜 문제는 따로 있다.


본인들이 한국인이고, 한국인이 자기 기업은 한국 기업이라고 주장하는데도 대중이 믿어주지 않는다는 사실이다. 자기 정체성이 한국에 있다고 주장하는 게 무슨 대단한 거라고 주위 사람들이 의심하는 걸까? 이 사실만 보더라도 기업이든 사람이든 평판 관리가 얼마나 중요한지 알 수 있다. 신뢰를 잃은 기업은 이렇듯 다양한 방식으로 유무형의 손해를 본다. 롯데가 면세점 사업에서 떨어진 것도 이 이슈가 영향을 끼쳤다는 시각이 많다.


적은 지분구조로 기업을 지배하는 순환출자 문제, 회장 자리를 놓고 형제간의 다툼, 내수 시장에서 쌓아온 부정적 이미지가 맞물려 롯데의 현재 평판을 만들었다. 돈 많은 대기업도 평판을 잃으면 이렇게 신뢰받기가 어렵다. 하물며 개인이라면 더 말할 것도 없다. 그만큼 평판 관리는 잃기 전에 하는 게 중요하다. 리처드 브랜슨도 인생에서 가장 중요한 건 ‘평판’이라고 하지 않았나.


출처: 머니맨(http://moneyman.kr/archives/1443)

매거진의 이전글 싸이월드 전략은 왜 실패할 것인가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