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ife Project의 개념
인생은 많은 일들로 구성되어 있지만, 결국에는 그 일들이 일어나는 시간의 합이라고 할 수 있다. 시간이란 '과거에서 현재를 지나 미래에 이르기까지 서로 계속되는 사건의 관점에서 측정된 비공간적 연속체'이다.
Time is a nonspatial continuum that is measured in terms of events which succeed one another from past through present to future.
- Webster Dictionary
웹스터 사전의 정의에 따르면 시간의 기본 요소는 사건(event)인 셈이다. 사건은 '무엇이 특정한 시간에 일어난 것'을 뜻하며, PM 지식체계에서의 일 범위(work scope)와 같은 것이다. 그러므로 시간 경영의 핵심은 사건 경영(event management = scope management)에 있다. 즉 사건 경영을 통해서 생산성 향상을 얻을 수 있다.
사건, 즉 일의 유형은 시급성과 중요성의 여부에 따라 크게 4가지로 나뉠 수 있다. 시급하면서 중요한 일, 시급하면서 중요하지 않은 일, 여유로우면서 중요한 일, 여유로우면서 중요하지 않은 일. 당신은 어떤 일을 먼저 수행하고 있는가? 일의 유형에 따라 사람의 유형도 이에 상응하여 4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똑부형, 멍부형, 똑게형, 멍게형. 똑부형은 똑똑하면서 부지런한 유형, 멍부형은 멍청하면서 부지런한 유형, 똑게형은 똑똑하면서 게으른 유형, 멍게형은 멍청하면서 게으른 유형을 의미한다. 리더로서 가장 적합한 사람은 똑게형으로, 여유를 가지면서 중요한 일들을 주로 처리하는 유형이다. 리더로서 가장 부적합한 사람은 멍부형으로, 중요하지도 않은 일들을 항상 바쁘고 시급하게 다룸으로써 자신도 힘들지만 함께 하는 부하직원들을 아주 힘들고 괴롭게 하는 유형이다. 이런 유형은 오히려 여유를 부리면서 중요하지 않은 일만을 처리하는 멍게형보다도 못한 사람이다. 멍게형의 경우에는 중요하지 않은 일로 주위 사람들을 바쁘게 만들지 않기 때문에 함께 하는 사람들이 오히려 스스로 알아서 자신들의 일을 할 수 있는 여유시간이라도 마련해주기 때문이다.
인생을 구성하는 시간의 종류는 2가지로 나뉠 수 있다. 하나는 크로노스(Chronos)이고, 다른 하나는 카이로스(Kairos)이다. 크로노스는 모든 이에게 공평하게 주어지는 객관적인 시간으로 가만히 있어도 단순히 흘러가는 자연적 시간이며, 카이로스는 사람들에게 각각 다른 의미로 주어지는 시간으로 자신이 원하는 기회를 만드는 주관적인 시간이다. 크로노스는 그리스 신화의 시간의 신으로서 날개를 달고 큰 낫을 든 모습을 하고 있다. 커다란 날개는 재빨리 사라지는 시간을 상징하며 큰 낫은 시간이 흐르면 모든 생명을 앗아감을 의미한다. 카이로스는 제우스의 아들 중 하나인 기회의 신으로서 왼손엔 저울을 오른손엔 칼을 들고 있다. 등에는 커다란 날개가 발에는 작은 날개가 달려 있으며, 앞머리는 긴 장발이지만 뒷머리는 대머리 모습을 하고 있다. 앞머리는 길어서 쉽게 머리카락을 움켜쥘 수 있지만, 뒤에서는 머리카락이 없어서 잡아챌 수 없어 한 번 지나간 기회는 다시 돌이킬 수 없음을 상징한다. 저울은 기회가 왔을 때 그 기회의 가치를 재어봐서 잡을 것인지 말 것인지를 빨리 분별하고 판단해야 한다는 의미이며, 칼은 판단이 끝나면 칼같이 빠른 결단을 하라는 의미이다. 등과 발에 달린 날개는 항상 달아날 준비가 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인생은 크로노스와 카이로스 시간들의 합의 함수로, 일상적인 일들을 하면서 흘려보내는 시간들과 무엇인가를 이루기 위해 투자를 하는 시간들로 구성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PM 지식체계에서는 일상적인 일들을 '오퍼레이션(operation)'이라고 하며, 무언가를 이루기 위해 노력을 기울이는 일을 '프로젝트(project)'라고 구분하여 부른다. 크로노스가 오퍼레이션에, 카이로스가 프로젝트에 대응한다고 볼 수 있다. 그러므로 인생은 오퍼레이션들과 프로젝트들로 구성된다고 할 수 있다. 일상생활의 측면에서 보면 오퍼레이션은 일상적으로 하는 습관적인 일이고, 프로젝트는 그러한 습관들을 일정한 기간 동안 일정한 노력을 투입하여 만드는 일인 셈이다.
우리가 매일 하루 세끼 밥을 먹는 일도 알고 보면 노력에 의하여 만들어진 습관이다. 아이를 키워본 사람이면 이 사실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아이들이 규칙적으로 정해진 시간에 밥을 먹게 하기 위한 습관을 만들어 주기 위하여 많은 엄마들이 애를 쓴다. 엄마들의 그런 애씀이 있었기에 아이들에게 건강한 식습관이 만들어질 수 있는 것이다. 다른 예로서 매일 아침 일찍 일어나 운동을 하는 것이 습관이 되어 있지 않은 사람은 어느 일정 기간 동안 매일 아침에 운동하는 것을 의도적으로 반복하여야 습관으로 고착될 수 있다. 담배를 피울 줄 모르는 사람이 담배를 피우기 위해서는 담배 피우는 방법을 배워야 한다. 일정 기간 담배를 의도적으로 피워 습관이 되면 자기도 모르게 습관적으로 담배를 피우게 된다. 담배가 습관이 된 사람이 담배를 끊는 과정도 마찬가지다. 즉 식사나 운동, 담배 피우기 등과 같이 습관적으로 하는 일상적인 일들은 오퍼레이션으로서 의도적인 과정인 프로젝트를 통하여 만들어지는 것이다. 그러므로 습관 만들기인 프로젝트를 통하여 좋은 습관인 오퍼레이션이 많은 사람은 인생을 구성하는 시간의 퀄리티가 높아져 성공의 확률도 높아진다.
프로젝트는 한 단계(phase)로 끝나는 것도 있지만, 여러 단계들을 거쳐서 완성되는 것들도 있다. 인생 프로젝트는 여러 단계로 구성된다. 나이에 따라 유아기, 청소년기, 성년기, 중년기, 장년기, 노년기로 단계를 구분할 수 있지만, 일의 범위에 따라 학습기, 사회 초년기, 가정 형성기, 자녀 성장기, 가족 성숙기, 노후생활기의 라이프 사이클로 나뉠 수 있다. 학습기는 유아원부터 대학교까지로 주로 인생을 살아가기 위해서 필요한 것들을 배우는 시기이다. 사회 초년기는 취직을 해서 사회에 첫발을 내디디고 자립을 위한 수입원을 확보하며 결혼을 준비하는 시기이다. 가정 형성기는 결혼을 하고 자녀를 낳으며 주택 마련을 준비해 가는 시기이다. 자녀 성장기는 자녀교육과 재산 형성을 해나가는 시기이며, 가족 성숙기는 자녀의 대학 입학과 결혼을 준비하며 노후자금 마련을 시작하는 시기이다. 노후생활기는 자녀들을 출가시키고 퇴직 후 노후생활에 진입하는 시기이다.
인생을 포트폴리오(portfolio), 프로그램(program), 프로젝트(project) 관점으로 구분하여 매니지먼트할 수도 있다. 프로그램은 유사한 프로젝트들의 묶음을, 포트폴리오는 여러 프로그램의 묶음을 말한다. 프로그램은 프로젝트의 상위의 개념이며, 포트폴리오는 프로그램의 상위의 개념이다. 예를 들어 지적 계발을 위한 공부와 관련된 프로젝트들을 하나의 프로그램으로, 건강관리를 위한 운동과 관련된 프로젝트들을 하나의 프로그램으로 묶어서 매니지먼트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여러 프로그램들을 포트폴리오 관점에서 전체적으로 바라보며 균형을 맞추어 매니지먼트할 수 있다. 포트폴리오에는 프로그램에 포함되지 않는 개별 단위 프로젝트들이 다른 프로그램들과 함께 구성될 수도 있다. 프로그램은 프로젝트들의 묶음이므로 결국에는 포트폴리오는 프로젝트들의 묶음이 되는 셈이다. 그리고 프로젝트는 명분(Why)과 비전(What)과 전략(How)으로 이루어진 '2W1H(Why, What, How) 구성체'이므로, 이와 같은 2W1H 구성체 개념은 개별 프로젝트부터 인생 프로젝트 전체로 확장될 수 있다. 즉 인생 프로젝트는 작은 구조가 전체 구조와 비슷한 형태로 끝없이 되풀이되는 프랙털 구조(fractal structure)로 되어 있기 때문에, 자신이 현재 수행하는 작은 프로젝트들이 자신의 인생 프로젝트의 구성의 일부이면서 이것들이 모여 전체 인생의 프로젝트를 구성한다. 그러므로 현재 수행하는 프로젝트가 자신의 인생 프로젝트와 궤(軌)를 같이 할 경우에는 그 프로젝트의 명분과 비전이 살아 숨쉬기 때문에 현재의 프로젝트를 적극적으로 수행할 수 있지만, 만약 인생 프로젝트와 궤를 달리하는 상관없는 프로젝트인 경우라면 동기부여가 일어나지 않아 프로젝트의 지속적 수행이 쉽지 않게 된다.
모든 일에는 에너지가 필요하다. 인생 프로젝트도 마찬가지다. 인생 프로젝트를 통하여 원하는 성과(deliverable)를 창출(creation) 하기 위해서는 에너지가 투입되어야 한다. 성과는 활동(activity)들을 통하여 완성될 수 있으며, 그 활동들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본인의 노력도 필요하지만, 주위의 도움이라는 에너지가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본인의 노력은 일 범위(scope)의 크기에 따라, 주어진 시간(time)의 양에 따라, 허용되는 비용(cost)의 한계에 따라, 요구되는 퀄리티(quality)의 수준에 따라, 도래할 리스크(risk)의 정도에 따라 투입되는 에너지의 양이 달라진다. 주위의 도움은 직접적으로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조력자인 인적자원(human resource)의 협조 정도에 따라, 간접적으로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이해관계자(stakeholder)들의 이해 수준에 따라, 자신이 가지지 못한 능력을 보유하고 있는 전문가로부터의 도움을 조달(procurement) 받을 수 있는지의 여부에 따라, 이와 같은 주위 사람들과의 의사소통(communication)의 원활한 정도에 따라 도움받을 수 있는 에너지의 양 또한 좌우된다.
제한된 에너지를 활용하여 인생 프로젝트를 제대로 매니지먼트하기 위해서는 세부 영역을 고려하여 매니지먼트할 필요가 있다. 일의 범위를 합리적으로 결정하기 위하여 범위 경영(scope management)이, 시간을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다루기 위하여 시간 경영(time management)이, 돈을 경제적으로 다루기 위하여 비용 경영(cost management)이, 성과 자체의 퀄리티를 향상시키고 일하는 방법 및 프로세스의 퀄리티를 개선하기 위하여 퀄리티 경영(quality management)이, 일하는 과정에서 일어날 수 있는 위험은 줄이고 기회는 살리기 위하여 리스크 경영(risk management)이 필요하다. 가족 구성원이나 직장 동료 등의 조력자들의 역량을 제고하고 이들의 역할분담(R&R, roles and responsibilities)을 통한 도움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인적자원 경영(human resource management)이, 프로젝트 전반에 걸쳐 이익과 손해를 끼칠 수 있는 주변인들의 이해를 적극적으로 구하기 위하여 이해관계자 경영(stakeholder management)이, 외부 전문가들로부터 전문적인 지식과 기술의 도움을 활용하기 위하여 조달 경영(procurement management)이, 주위와의 원활한 소통을 이끌어내기 위하여 의사소통 경영(communication management)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