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황준호 한의사 Apr 28. 2022

만성기관지염과 COPD 팩트 체크

COPD는 '만성 폐쇄성 폐질환(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의 약자이다. 대표적인 기류 제한의 호흡기 질환으로, 비정상적인 염증이 폐 전체에 퍼지면 폐에 흉터를 남기게 되는데, 기관지와 폐포의 탄성, 근육층을 파괴시켜 다시 재생되지 않는 비가역적인 질환이기도 하다. 만성적인 기침과 가래가 특징적이고, 수년 전부터 서서히 시작할 수 있으나 모든 환자가 COPD로 발전하는 것은 아니다.







COPD는 현재 전 세계 사망 원인 4위에 달하는 것은 물론, 우리나라의 유병률과 사망률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하지만 아직까지 COPD에 대한 질병 인지도가 낮은 편이다. 그도 그럴 것이 질환이 갖는

위험도에 비해 초기 증상이 뚜렷하게 잡히지 않기 때문이다. COPD의 한 종류로 속하는 만성기관지염과 폐기종 중에서도 만성기관지염은 기도가 점차적으로 좁아져 공기 유출이 제한되는 비가역적 기도폐쇄 질환이며, 질환이 진행될수록 2~3가지의 질환이 혼합되어 나타나기도 해 감별이 어려워질 수 있다.


만성기관지염 체크

V COPD의 가장 중요한 위험인자는 '흡연'으로, 직접 흡연 및 간접흡연, 연초/파이프/시가 등 여러 형태의 흡연도 위험인자 이므로 반드시 금연을 해야 한다.


V 흡연, 반복적인 기도 감염 및 직업적인 요인으로 인해 기도 내 만성 염증이 발생한다.


V 40세 이상의 흡연자는 특히 주의해야 하며, 정기적인 폐 기능 검사를 실시하도록 한다.


V 만성기관지염은 기류 폐쇄가 없을 수도 있으며, 이 경우 COPD(만성폐쇄성폐질환)의 범주에 포함하지는 않는다.


V 임상적으로 기저 질환이 없다는 전제, 1년에 3개월 이상, 2년 연속 기침과 가래가 지속되는 경우 만성기관지염으로 진단한다.






만성기관지염 종류

1) 만성기관지염

기관지 자극물질(유해가스, 금속, 분진, 황사) 및 흡연에 장기간 노출되는 경우 기도 점액 분비가 증가하면서 다량의 가래가 분비된다. 흉부 X선 검사 시 호흡기 증상 유발이 의심되는 기저 질환이 없는 경우 단순만성기관지염으로 진단한다. 어느 정도 관리가 가능하지만, 세균 번식으로 인한 기도 감염과 염증이 심해지는 경우 만성폐쇄성기관지염의 형태로 발전할 수 있다.


2) 만성폐쇄성기관지염

만성기관지염 단계에서 진행된 경우 다량의 가래와 함께 기도폐쇄 증상이 동반될 수 있으며, 심한 호흡곤란과 저산소증, 호흡부전, 심장에 무리가 생기는 폐성심 상태가 동반될 수 있다.


3) 천식성기관지염

만성폐쇄성 기도질환에서 흔히 동반될 수 있는 증상이다. 천식은 기도폐쇄의 성향이 있지만 비가역적 상태는 아닌 질환이나, 가역성 요소가 강한 기도폐쇄가 발병하는 경우 일반 천식 발작과 감별이 힘들 수 있다. 천식성 발작 후 만성기관지염의 증상만 나타나는 가역성 요소가 높은 질환군이다.



발병 초기 만성기관지염의 증상이 없을 수 있다. 초기 증상은 간헐적으로 시작해 만성적으로 진행될 수 있는 기침과 끈끈하며 기침과 함께 아침에 가장 많이 배출되는 가래(객담)가 있다. 가래의 경우 병의 진행에 따라 누런 색, 점도 높은 끈끈한 형태, 대량 배출 등 악화할 수 있다.


가래의 양이 늘어날수록 호흡기 감염이 빈번하게 재발할 수 있으며, 이때 호흡곤란 증상이 나타났다면 어느 정도 병의 경과가 진행되었다고 짐작할 수 있다. (호흡곤란은 일정 수준으로 폐기능이 떨어지지 않는 이상 쉽게 나타나지 않기 때문이다.) 만약 평상시와 다르게 진하거나 푸르스름한 가래가 나온다면 반드시 빠른 검사와 치료가 필요하다.


만성기관지염 환자의 치료 역시 충분한 수분을 섭취해 가래를 묽게 만들어 뱉어내는 것이므로, 가능한 충분한 수분을 꾸준하게 섭취해주는 것이 좋다. 또한 스스로 가래 배출이 어렵다면 2차 세균 감염을 막을 수 있도록 머리 부분을 낮추고 중력에 의해 가래가 흘러내리는 자세를 취하는 체위 거담 치료를 시행할 수 있다. 이외 호흡곤란이 있는 경우, 꾸준한 호흡재활요법을 통해 신체, 정서적으로 안정 상태를 도모하고 삶의 질을 개선을 돕는다.





작가의 이전글 인후염, 습도 관리가 중요한 이유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