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한재성 Sep 10. 2020

(0) 일하는 그 곳 (Where to work)

코로나, 익숙해진 단어지만 이로 인해 바뀐 삶은 아직 적응 중이다. 어쩌면 일상이 다시 되돌아갈 것이라 기대하며 익숙해 지기를 거부하고 있는 중이기도 한 것 같다. 일, 공부, 여행을 한다며 집을 ‘나가던’ 우리였는데, 요 몇 달 동안 일도, 공부도, 심지어 여행도 집과 방에서 ‘머물며’ 하고있다.

도시의 도로는 사람이 걷기보다는 교통수단이 다니기 위한 곳으로 바뀌어 왔고, 자신이 사는 곳 소식보다 관심있는 곳의 소식을 더 많이 접하게 되면서 로컬의 지역성은 무너졌다고 한다. 코로나 정국이 우리를 걷게 만들고, 사는 곳의 소식을 전하는 시대를 잠시 경험하게 하는 것 같다.

보통 사람들은 어딘가를 다니면서 타인의 모습과 거리의 풍경, 서비스와 제품들은 물론 직간접 경험으로 만들어진 지식들을 소비한다. 우리는 광고나 드라마처럼 버스나 지하철에서 이성간의 시선을 교환하거나, 가로수길을 걸으며 등장한 애플스토어를 보고 아이폰에 대해 이야기를 한다.

또한 골목길을 걸으며 아파트에서 느낄 수 없던 감성을 느끼고, 새로운 소품을 사거나 카페를 찾아가고, 익숙하지 않은 거리나 공간을 통해 새로운 영감을 얻고, 도시의 여러 곳에서 친구나 가족 등의 사회적 관계를 형성하고 돈독케 해왔다. 하지만 지금은 지하철을 탈 때마다 사람들의 모습을 관찰하기보다 감염을 경계하고, 도시를 배회하던 시간을 집이나 동네에 쓰고 있다.

도시계획 분야에서는 주거지역, 상업지역, 업무지역 등 큰 덩어리로 나누면서 생산성과 관리의 효율을 고려해 왔다. 그러나 시대가 변하며 지역 구분과 적용의 새로운 대안들이 실험되어 왔다. 학교에 한정되었던 교육시설이 학원으로 상업시설인 상가에 스며든 것은 너무 오랜 일이고, 철공소나 인쇄소와 같은 공장지대에 위치한 카페나 식당, 숙박시설이 인기를 얻고 있다. 광교 엘리웨이(아이파크 주상복합단지 내 상업시설) 같은 주상복합이자 상업시설이 지역 내 공용공간처럼 활용되는 도시의 새로운 삶 또한 낯설지 않게 되었다.

코로나 이전에도 도시는 복합화, 다핵화되고 있었다. 상도동 같은 대표적인 베드타운이 교육, 코워킹의 장소이자 갈만한 식당이나 카페가 있는 곳이 되고, 성수동 같이 공장만 즐비하던 곳들에 독특한 카페, 식당이 들어서고, 한 달 살기 문화까지 섞이며 독특한 거점들을 만들어지고 있다.

예전에 어딘가로 마음먹고 ‘나가야’만 경험할 수 있던 곳들이 동네에 ‘머물면서’ 쉽게 경험하는 곳으로 바뀌고 있는 것이다. ‘슬세권(슬리퍼+세권)’, ‘원마일웨어(One mile wear)’라는 단어가 도시 공간 내 다핵화된 동네의 보편적 거리(Distance)를 설명하는 듯하다.

앞으로 ‘워킹로컬워킹(Working Local Walking)’이라는 컨텐츠로 1) ‘몇 곳(District)’을 선정해 얘기해보려 한다. 2) 선정된 곳들을 어떤 ‘이들(User)’이 사용/점유하고 있는지를 기준으로 3) 상징되는 ‘차별성’을 구체화해보고, 4) 사례들과 특정 현상들을 통해 ‘앞으로’ 어떻게 변화 될지도 상상해보려 한다. 여기에 짧게나마 5) ‘어떤 방법들’로 지금 내가 있는 곳(Local)을 가꾸어 볼 수 있을 지 실천적 방법들도 제시해보려 한다.

도시재생과 전면 재개발 모두 좋은 약과 잔인한 칼의 양면성을 갖고 있기에 방법론의 편중을 넘어 이야기하고 싶다. 낯설게 여겨지는 ‘로컬(Local)’이라는 단어가 만드는 특수한 상징성이 보편적 의미라는 것을 확인하고 싶은 것이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