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사람 살리는 리오 Dec 29. 2023

01 사회혁신의 개념

사회혁신 범람 시대의 사회혁신

사회혁신을 시작하는 사람에게 '사회혁신'이라는 용어처럼 거대한 용어가 없는 것 같다. 나름 이 분야에서 일했다고 생각해 왔는데도 사회혁신 무엇인지, 어디로 와서 어디로 가고 있는지 갈피를 잡아 내기가 쉽지 않았다. 그래서 나를 위해 정리할 겸 글을 쓰게 되었다. 동시에 사회혁신 분야에서 진로를 고민하고자 하는 청년들에게도 도움이 되길 바라는 마음을 담았다. 사회혁신이라는 바다에서 북극성을 찾아 힘차게 나아갈 수 있기를 응원하며!


'사회혁신이란, 사회적 기업가 정신을 기반으로, 사회적 니즈를 반영한 사회 변화를 해법 삼아, 사회적 자본을 구성하고 사회적 임팩트를 창출하는 일이다.'

 

- 글 싣는 순서 -


<사회혁신이란 무엇인가>

1. 사회혁신의 개념

2. 사회혁신의 구성 요소와 특징

3. 전환적 사회혁신

4. 사회혁신의 층위와 사회혁신가의 여정

5. 사회적 기업가정신

6. 사회적 문제와 사회적 욕구

7. 사회 변화 이론

8. 시스템 씽킹

9. 사회적 자본: 콜먼, 퍼트남, 부르디외

10. 사회적 임팩트: 임팩트 측정, 관리, 투자




1. 나는 사회혁신가인가?


리더십을 가르치고 있는 학교에서 리더십 있는 학생들이 종종 내뱉는 질문이 있다.

 “근데 모두가 꼭 리더가 되어야 할 필요가 있나요?”


기업가정신이 중요하다는 건 알겠지만, 여전히 그게 무엇인지 궁금해하는 사람들이 나누는 질문이 있다.

 “근데 창업가는 태어나나요, 길러지나요?”


사실 역설적이게도 이 질문은 이미 답을 내포하고 있다. 이 질문은 누군가와 논쟁하고자 하는 질문이 아니라, 오히려 내 속마음을 더 견고히 하고자 하는 확인에 가깝다.

 

단언컨대, 나는 리더와 창업가는 모두 길러진다고 본다. 또한 나와 누군가에 의해 발견되어진다고 본다. 옥토 위에 자리 잡은 씨앗이 좋은 작물이 되듯이 좋은 리더와 좋은 창업가, 더 나아가 좋은 사람은 모두 가장 적합한 환경 위에 터를 잡아 씨줄과 날줄의 경작을 통해 소위 성공이라는 층위를 확증한 사람들이다. 때론 이런 환경마저 구성(構成)해 낸 사람들이다. 그들의 리더십과 영향력의 원천은 결국 자기다움이며, 자기다움은 사람들과의 상호작용 속에서 발견되어지거나 길러지는 것이기 때문이다.

 

고민이 많이 되었다. 나의 정체성에 관한 고민이 인생 내내 그림자처럼 나를 따라다닐 줄은 몰랐다. 40대를 살아가고 있는 내게 붙여 줄 이름이 마땅치 않아 차일피일 이름 짓기를 미루었다. ‘사람 살리는 인생, 리오(LEO)’라는 20대의 정체성 정의는 지금의 나의 ‘why’를 보다 뾰족하게 담아내기가 어려워 보였다. 그런 고민의 여정 중에 사회혁신팀장이라는 직책을 맡게 되었다. ‘사회혁신을 이끌어야 할 팀인데, 나는, 사회혁신가인가?’

 

2. 혁신 범람의 시대


사회혁신이란 지속 가능한 사회로의 전환(transformation)을 위한 목표 설정과 더불어 궁극적으로는 우리 사회의 문제를 해결(tackling societal challenges) 해 나가기 위해 구체적인 방법을 제시하는 일이라는 의견에는 모두가 동의할 것이다(Haxeltine et al., 2016a). 그런데 사회혁신, 기술 혁신, 정부 혁신, 경영 혁신, 교육 혁신 등 거의 모든 섹터에서, 거의 모든 변화를 혁신이라는 단어로 풀어가고 있다. 그러다 보니 ‘묵은 풍속, 관습, 조직, 방법 따위를 완전히 바꾸어서 새롭게 함’이라는 사전적 의미의 혁신(革新)이라는 말이 가져야 할 범위가 거의 무한대로 확대되었다.

 

어떤 수단을 통한 변화가 더 나은 사회를 만들면 모두 사회혁신이라는 말로 통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과학기술이나 디지털을 통해 사회 변화를 만들어도(science for society) 사회혁신이고, 정책을 통해 사회를 바꾸는 것도 사회혁신이다. 비즈니스를 통해 사회 변화를 만들면 그것 또한 사회혁신이다. 선생이라는 용어가 교사를 의미했던 것에서, 일정 지식인이면 모두 선생이라는 말로 확장된 것처럼, 사회혁신이라는 용어도 변화를 이끄는 영역에서는 모두가 사용하는 공용어가 되었다.

 

3. 사회혁신의 개념


사회혁신 개념의 공용화 현상은 오히려 사회혁신 개념의 공동화 현상을 낳은 것 같다. 따라서 사회혁신의 다양한 정의를 먼저 살펴보고, 사회혁신 개념 범람의 시대에 앞으로 어떤 사회혁신의 정의를 기본으로 할 것인지 정리할 필요가 발생한다.

 

1) 사회혁신의 개념                   

출처:변미리, 박민진 2019 재인용

    Mulgan 2006; Kanji and Doi 2007; Kahn et al. 2009; European Union The Young Foundation

     2010; OECD 2010; 홍효진 2012; Preskill and Beer 2012; Adams and Arnkil 2013; Innobasque

     2013; 전병길·김은택 2013; 이창언 2014; 변미리 2014; TEPSIE 2014; Howaldt et al. 2016;

     Cornel IONESCU 2015; 송석휘 2015

* European Union The Young Foundation(2010)에서 정리한 사회혁신의 개념을 인용함.

** Hochgerner(2011)에서 재인용.

*** Edwards-Schachter(2012)에서 재인용.

**** Mulgan(2013)의 “SIX Summer school 2013 Seoul” 발표내용을 인용함.

 

정리된 내용에서 공통으로 발견되는 지향점은 사회혁신은 변화를 창출하는 과정이고, 실천과 참여가 동반되며, 다양한 주체들 간의 새로운 관계를 만들어 간다는 것이다. 또한 사회혁신은 개인적 영역뿐만 아니라 사회구조와 시스템을 변혁시켜 나간다. 이를 통해 사회혁신은 사회적 역량 강화로 이어지게 된다.

 

앞으로의 글에서 집중하고자 하는 사회혁신의 정의는 제프 멀건(Geoff Mulgan)의 책 『사회혁신이란 무엇이며, 왜 필요하며, 어떻게 추진하는가』에서 정의한 사회혁신의 개념을 빌려 왔다.

 

사회혁신이란,

'사회적 수요를 충족시키려는 동기로 유발되고, 1차 목표가 사회적 성격을 띠고 있으며, 그런 조직들이 주도적으로 개발하고 확산시키는 혁신적인 행동과 서비스이다.'

 

 나는 이 정의를 바탕으로 몇 가지 단어들을 더했다.


사회혁신이란,
사회적 기업가 정신을 기반으로,
사회적 니즈를 반영한 사회 변화를 해법 삼아,
사회적 자본을 구성하고 사회적 임팩트를 창출하는 일이다.

 

이제 위 사회혁신의 정의를 추구하는 사람을 사회혁신가라고 부르자.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