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성실애 Aug 19. 2021

나에게도 고양이 문이 열렸다

말릴 수 없다면 함께

 올여름이 시작되고부터 나는 거의 매일 밤 현관문을 나선다. 그리고 고양이를 만난다. 먼저 진심을 밝히자면 나는 고양이를 싫어한다. 아기 울음소리와 흡사한 번식기의 고양이 울음소리가 소름 끼치게 싫었다. 밤에 담벼락을 타고 걷다 창문을 통해 방 안을 들여다보는 섬뜩한 두 눈이 싫었다. 골목을 걷다 보면 어디선가 툭 튀어나와 나를 놀라게 만드는 게 끔찍하게 싫었다. 쓰레기통에서 꺄옹하면서 튀어나올까 봐 매번 쓰레기가 가득 담긴 종량제 봉투를 잽싸게 던지고는 뒤도 안 돌아보고 집으로 들어온다. 그런 내가 고양이를 만난다.


 내가 고양이를 만나는 이유는 하나다. 내 아들이 고양이를 좋아하기 때문이다. 아이는 매일 밤 고양이를 괴롭히는 형아들을 잡으러 집을 나선다. 자기보다 훨씬 큰 중학생 형아들이 고양이를 괴롭힌다는 제보를 받은 이후부터는 용의자 형아들을 감시하러 나간다. 아파트 단지를 배회하며 돌아다니는 고양이가 우리 아들에게는 지금 그 무엇보다 소중한 존재다. 말리면 싸움이 되고 더 일이 커지는 몇 번의 경험 끝에 나는 고양이를 지키겠다고 발 벗고 나서는 아들을 지키러 나간다. 


 언제부터인가 아들의 점퍼나 바지 주머니 혹은 가방 속에서 고양이 먹이가 발견되곤 했다. 간혹 친구와 약속을 잡는 아이의 통화를 들어보면 약속 장소는 항상 고양이가 있는 곳이다. 반바지를 입기 시작 한 여름 무렵, 밖에 나갔다 돌아오는 아이의 무릎은 항상 까맣게 때가 껴있다. 모기에게 양껏 헌혈 한 다리는 도깨비방망이를 연상케 한다. 고양이와 시선을 맞추고 같이 기어 다니는 모양새가 눈에 훤하다.


 길고양이에게 이렇게나 헌신하는 아이가 이해되지 않았다. 간혹 길고양이에게 밥을 주고 번식을 유도하는 캣맘들의 이야기가 뉴스에 나온다. 그렇게 좋으면 자기 집에 데려가 키우지 동네를 흉흉하게 만드는 고양이를 어쩌자고 돌볼까? 개체수만 늘어나면 더 문제가 되는 거 아닌가 생각했다. 그런데 내 아이가 그러고 다닌다니 기가 찼다. 더구나 비염 알레르기가 심한 아이라 고양이를 만진 손으로 눈을 비비면 금방 눈이 충혈된다. 그래서 제발 고양이를 만지지 말라고, 고양이에게서 관심을 끊으라고 잔소리 헤대기 일쑤였다. 하지만 아이의 고양이 사랑은 말려지지 않았고, 고양이 입양과 보호에 더 열을 올렸다. 관리사무소를 찾아가 전단지를 만들어 아파트 게시판에 붙이기까지 했으니 말 다했다.


 아이가 돌보는 고양이가 한 세네 마리 되는 것 같다. 그중 가장 아끼는 고양이는 우유다. 우유는 얼마 전 세끼 여섯 마리를 낳았다. 세 마리는 사람의 손을 타서 죽었고 나머지 세 마리는 우리 아들의 노력 끝에 임보(임시 보호)를 갔다. 이 때도 고양이를 입양하자고 떼를 써서 안 되는 이유를 설명하고 말리느라 진땀을 뺐다. 이제는 낮이고 밤이고 고양이를 보러 나가는 아이 때문에 나는 큰 결심을 했다. 우유를 우리 집 화단에 데리고 오라고 했다. 집 안은 안되지만 어차피 길 고양이니 집 화단에 데려다 놓으면 아이가 고양이를 보러 어디로 매일 사라지지 않아도 되고, 형아들의 위험에서 고양이도 아이도 지킬 수 있을 테니까. 하지만 고양이는 자신의 자리를 쉽게 옮기지 않았다.


 이렇게 아이와 고양이로 인해 불화가 잦아지다 이제는 아이의 이야기에 조금씩 귀를 기울여주기 시작했다. 아이를 따라 고양이를 보러 가고, 아이가 원하는 고양이 간식을 주문해줬다. 그러자 아이의 마음이 조금씩 열렸다. 그리고 나에게도 고양이 문이 열리기 시작했다. 길에서 그토록 마주치지 않았으면 하는 고양이들이 자꾸만 눈에 들어왔다. 로드킬을 당한 고양이를 보면 혐오스럽기만 했는데, 지금은 천천히 길을 건너는 고양이를 보면 사고라도 당할까 봐 걱정이 앞선다. 사람에게 위협이 될 거라 생각했던 고양이의 행동을 자세히 들여다보니 강아지의 애교만큼이나 넉살이 좋았다. 배부르게 먹은 고양이는 자기 앞 발을 핥다가 등을 바닥에 깔고 벌러덩 누워 구르기도 한다. 발을 혀로 핥아 침을 묻히고는 자신의 얼굴을 문질렀다. 그걸 보고 고양이 세수라 하나보다.


 우리 아파트 단지에서도 길고양이를 돌보는 사람과 그것을 못마땅하게 생각하는 사람들 사이에 보이지 않는 갈등이 있다. 나는 못마땅하게 생각하는 사람 중 하나였다. 하지만 나서기보다는 방관하는 스타일. 적극적인 우리 아이도 행여 잘못된 방향으로 길고양이를 돌보고 있는 거면 어쩌나 고민했고, 그에 대한 정보들을 찾아봤다. 고양이 중성화 사업(TNR)이라는 것이 있었다. 사람의 주거 지역에서 길고양이가 안정적으로 공생하도록 하기 위해서 길고양이를 포획하여 중성화한 뒤 포획 장소에 방사함으로써 길고양이의 개체 수를 조절하는 사업이다. 이렇게 중성화된 고양이는 좌측 귀가 1cm 정도 잘려있다. 올해 여섯 마리의 새끼를 낳았던 우유도 지금은 한쪽 귀가 잘려 있다. 다행히 고양이를 적극적으로 돌봐주는 캣맘은 고양이들을 안전히 포획해서 중성화를 시키고 다시 있던 자리로 돌려놓고 계셨다.  


 말릴 수 없다면 평화롭게 함께 하기. 내가 우리 아이와 함께 하듯, 길고양이도 우리 아이와 평화롭기를 바란다. 여전히 우리 아이는 고양이를 괴롭히는 사람에게서 고양이를 지키고, 나는 행여나 우리 아이가 해코지를 당할까 오늘도 아이를 따라 집을 나선다. 그리고 아이도 고양이도 그냥 지켜만 볼 뿐이다.

매거진의 이전글 작은 행복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