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서비스기획자를 위한 1 : 미디어 커머스 필수 용어

내가 알고 싶어 정리한 Media Commerce 필수 용어들

내가 공부하려고 정리하는 미디어커머스 필수 용어들! 알 수 없는 이니셜들! 계속 업데이트 됩니다.  


A

ATL, Above the line
4대 매체인 TV, 라디오, 신문, 잡지와 뉴미디어인 케이블 TV, 인터넷을 지칭하는 광고 활동을 의미한다.

 

AVI

Audio Video Interleaved

MS사가 개발한 비디오 format. 오디오와 비디오 frame이 순차적으로 배열된다.


AVOD : Advertising VOD

무료지만 광고를 봐야하는 서비스를 의미한다.


B

Branded Contents

콘텐츠 제작자가 특정 브랜드의 비즈니스 파트너에게 일정 규모의 콘텐츠 제작 비용을 받고 파트너의 특정 상품이나 회사 자체를 직,간접적으로 홍보하는 콘텐츠를 의미한다.


C

CPM

Cost Per Mille

1,000회 광고를 노출 시키는데 사용되는 광고 비용을 의미하며, 광고 비용을 측정하는 모델, 기준을 의미한다. CPM은 광고 단가를 광고 노출 횟수로 나누고 1,000을 곱해서 계산한다

CPM = (광고단가/광고노출횟수*1,000)


D

Dissolve

화면 전환 효과 중 하나로 비디오의 한 scene이 차츰 어두워지고 다음 씬은 차츰 밝아지면서 넘어가는 장면전환 효과를 의미한다.

I

IP,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지적재산권’(IP, Intellectual property rights)이란 표현물이나 발명품 등 ‘지식재산’에 대한 권리를 뜻한다. 한국에서는 주로 영어 약자인 ‘IP’라는 표현과 함께 지적재산권이란 용어가 주로 쓰이나, 2011년 ‘국가지식재산위원회’ 출범에 따라 법률용어가 ‘지식재산권’으로 통일되었다.


L

Legacy Media

과거에 출시되었거나 개발된 미디어를 의미하며, 새로 제안되는 기술이나 방식, 서비스 등을 강조하기 위해 이에 대비되는 표현으로 주로 사용되며, 뉴미디어에 반하는 레거시 미디어란 일반적으로 IPTV, 케이블 TV 등을 일컫는다.


M

Media Commerce

미디어 커머스(Media Commerce)란 방송과 쇼핑이 결합된 전자 상거래 방식으로, 상품과 콘텐츠, IT 기반의 서비스를 접목한 신개념 전자상거래 방식이다. 쌍방향 커뮤니케이션이 발달한 미국에서는 이미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은 커머스 형태다.


MOV

Apple사에서 개발한 동영상 압축형식으로 Quick Time으로 재생된다.


MPEG

Motion Pictures Experts Group 

국제 표준화 기구(ISO) 산하의 동영상 전문가 그룹으로

지난 ‘91년 동영상 압축기술 표준으로 MPEG1을 제정하였으며 MPEG2 외에 여러 가지 표준을 개발, 보강 중에있다.


MCN

Multi Channel Network

크리에이터들의 방송 채널을 묶어 소비자에게 제공하는 서비스를 말하며, MCN 사업자는 크리에이터의 콘텐츠 기획, 제작, 마케팅, 유통을 전반적으로 지원한다.


MAU

Monthly Active User

월 순방문객수. 특정 서비스에 월 최소 1회 이상 방문하는 사용자 수를 말함. Mobile과 PC 기반 서비스의 사용량 지표로 사용된다. 한사용자가 월 여러번 방문 해도 1회 방문으로 카운트 되므로, MUV(Monthly Unique Visitor)와 비슷한 의미 이다.


O

OTT

Over The Top

전파나 케이블이 아닌 범용 인터넷망으로 콘텐츠를 제공하는 서비스를 말 한다.

Top이 TV에 연결되는 셋톱박스 이므로 Over The Top이란 셋톱박스의 유무와 무관하게 인터넷 기반의 동영상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초고속 인터넷이 보급된 2000년대 후반에 본격화 되었고 미국에서는 유튜브, 넷플릭스, 애플 아이튠즈, HBO NOW 등이 대표적이다.


P

PIP

Platform In Platform

콘텐츠 사업가가 단순히 콘텐츠만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자사 콘텐츠로 특정 카테고리를 직접 운영하는 방식이다. 이를 통해 사업자는 플랫폼에서 편집권과 광고권 등을 관리 할 수 있으나 반대로 플랫폼 사업자들의 주도권은 약해진다.


S

Snackable Contents

콘텐츠 시청을 마치 스낵을 먹듯이 소비한다는데서 유래된 단어이며 재미를 목적으로 3~10분 단위로 짧게 제작된 콘텐츠를 의미한다.


SVOD : Subscription VOD

정기 결제하고 특정 기간 동안 무제한으로 해당하는 영상을 시청할 수 있는 서비스를 의미한다.


T

TVOD : Transactional VOD

편당 결제 후 시청하는 서비스를 의미한다.


U

UGC

User Generated Contents

사용자가 직접 제작한 콘텐츠를 의미하며, 인터넷과 스마트폰의 발달로 인해 일반인도 의미 있는 콘텐츠를 생산해 내면서 확산 되었다. 유튜브에서 유통되며 본격적으로 사용자에게 광고 수익을 발생 시키기 시작 했다.


V

V-Commerce

V-Commerce는 Video Commerce의 약자로 동영상을 통해 구매를 유도하고, 실제로 제품을 판매하는 방식을 말한다.

동영상은 문자와 사진만으로 제공하기 어려운 제품의 외형, 특징, 사용법 등의 다양한 정보를 직관적으로 전달할 수 있어 e커머스에 활용 되고 있다.

V-커머스의 원형은 이미 오래 전부터 존재해 온 케이블 TV의 ‘홈쇼핑 채널’이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그렇다고 V-커머스를 홈쇼핑 채널의 모바일, 또는 온라인 버전이라고 간단하게 말하기는 힘들다.  

V-커머스는 훨씬 다채로운 형태의 영상이 형식에 구애받지 않고 만들어지고 유통된다. MCN(Multi Channel Network) 등과 결합해 쇼핑이 목적인지, 영상 자체의 재미가 목적인지 헷갈리게 만들기도 한다. 즉 V-커머스는 궁극적으로는 쇼핑을 통한 매출 증대가 목적이지만, 그 자체가 하나의 엔터테인먼트적인 요소를 갖고 다양한 채널로 무한 확장되고 있다.


Z

Zero TV

TV를 보지 않거나 보더라도 TV 단말기를 통해서 보는 것이 아니라 Mobile, PC 등을 통해 TV를 시청하는 것을 의미한다. 주로 제로TV족, 제로TV가구 등의 용어로 사용된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