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에스프리의 시적 감각]

『생각하고 판단하는 능력


시인은 누구나 그만의 삶의 세계가 들어 있어 조화롭고 아름다운 풍경(風景)을 연출(演出)하고 그려낸다.

시인이 생각하고 살고 있는 세계의 정경(情景)은 곧 시의 표정(表情)을 관리하는 공간(空間)으로서의 작용(作用)을 하기에 시는 곧 시인이 직면(直面)하고 있는 삶의 단면(斷面)을 조감(照鑑)하게 되는 것이다.



물론 시라는 존재(存在)는 낯설게 그리고 언어(言語) 기교(技巧)를 통해서 위장한다 해도 시가 고백적(告白的)인 범주(泛舟)에 크게 벗어나지 않는 한, 시는 곧 시인 자신의 모습을 은연(隱然) 중에 투영(投影)시키게 된다.

관념적(觀念的) 고 답의 세계를 살아가는 시인이나 일상(日常)의 사물(事物)에서 영감(靈感)을 포착(捕捉)하는 시인, 등 이미지의 성향(性向)은 저마다 다른 특성(特性)을 자극(刺戟)하면서 시의 표정(表情)을 관리(管理)하며 그리는 것 일게다.



왜 그런가 하면 사물(事物)이 시인에게 영향(影響)을 주면 시인은 상상(想像)의 그물을 펼쳐서 조합 또는 다른 공간(空間)으로 자기만의 詩 세계를 재촉하게 되기 때문이다.

시인의 생활과 상상력(想像力)이 결부(結付)하면 새로운 창조(創造)의 동력(動力)은 생활환경(生活環境)과 밀접(密接)하게 시로 나타날 수밖에 없다.

이 생활공간(生活空間)은 기하학적(幾何學的)인 도시의 과학 메커니즘 일 수도 있고 또 전원(田園)의 훈풍(薰風)이나 흙의 생명(生命)에 관해 관심(關心)과 소화가 시심(詩心)을 자극(刺戟)하는 역할로도 살아날 수밖에 없기 때문이기에 -



이 같은 물 확정적(確定的)인 현상(現像)의 최종 목적지(目的地)는 상상(想像)의 근거(根據)가 시인의 생활 혹은 삶의 주변 환경과 손을 잡아야만 시심(詩心)을 자극(刺戟)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렇지 않은 시는 고답적(高踏的)인 혹은 관념(觀念)의 배회를 면할 수 있기 때문이다.



시는 메시지라 한다. 물론 그 메시지는 시적인 언어(言語)의 미학(美學)을 도출(導出) 하기 위해 비유(比喩)와 상징(象徵)이나 알레고리 (豐裕) 혹은 상징의 숲을 만들어 삽상하고 때로는 눈보라와 폭풍(爆風)의 맹위(猛威)를 언어로 담아야 하는 변형(變形)의 미학(美學)이 곧 메시지의 간접성을 뜻한다.

그러나 독자(讀者)가 다가오는 경로(徑路)는 친절한 설명이 아니라 우회의 손짓을 통해 스미며 들어와야 한다면 그 만족(滿足)의 심사는 아래와 같은 내용으로 증명된다.


여기 이곳의

내 안의 질서의 원점임을

비로소 알게 된다.      


                               『이곳에 오면』 중


아마도 자동차와 아파트의 관리 혹은 리모컨으로 조작하는 머신의 지배자(支配者)로서가 아니라 오히려 불편하고 거추장스럽더라도 소록도의 자연(自然)에 시 정신의 원점(原點) 의식(儀式)을 투영하는 사고에는 만족(滿足)과 행복(幸福)의 출발이 시작된다.

사람을 만나서가 아니라 자연을 깨닫고 자연(自然)의 은혜(恩惠)와 충만(充滿)을 터득했기 때문에 새롭게 느끼는 정서의 감흥 되어 가는 것이다.


『언제 꽃피니』


묻다 보니 그새 개울 건너에

동면을 이겨낸 물고기가

인기척에 낯을 붉히니

매화가 웃는다.

소록도 하루는 어 여 가라

내 익어가는 순간보다 더 빨리

가고 있다.


                『세월』 중


흥미(興味)는 열망(熱望)을 달성(達成)하는 속도(速度)에 먹혀 버리는 것이다.

좋아하는 시간은 그새 지나고 시간의 무료를 달래는 것 때문에 시간(時間)의 존재(存在)는 부재한 곳을 행복이라는 것이 위호(衛護)하는 보호를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시인은 나무에 꽃이 언제 피는가를 묻고 물어 언어(言語)가 그립지만 인간과의 언어(言語)가 아니라 자연(自然)과의 매화가 웃는 상상(想像)이나, 꽃에게 말을 거는 나 보다도 더욱 빨리 가는 시간을 보며 존재(存在) 자의 진정한 언어(言語) 교감(交感)이다.

자기를 잊는 순수한 공간에서 충만감을 느끼는 행복한 발상인 것 같다.

소록도에서 정신의 원점(原點)을 찾는 시인의 시는 생명(生命)으로서의 활력을 찾으며 가득한 열정(熱情)을 분발(奮發)시키는 촉진제(促進劑)가 되는 것 같다.

소록도에서의 외로움을 시적 정신으로 승화(昇華) 시키는 점에 방점(傍點)을 찍고 싶다.



편지를 써봅니다.

미처 생각지 못한 이들

지금에서야

알았습니다.

서서히 하나씩 ego를 세워

내게로 오네요.


                     『그대에게 편지를 써봅니다』 중


예전에는 몰랐던 것들이 이제 새로운 깨달음이 발동(發動)되는 것이다.

이는 그대라는 대상과 나와의 관계에서 지금에서야/묻고 물으면서/그대에게 편지를 씁니다. “ 와 같은 깨달음이 일어난다.

이는 지금에서야 편지를 쓰는’ 시간성(時間性)과 거리의 인식(認識)에서 그대라는 대상은 더욱 애착(愛著)으로 변하는 감수성(感受性)이 소록도에서 새롭게 드러나고 있다.

한 대상의 발견(發見)은 곧 자기의 확충(擴充)이면서 계기가 소록도라는 공간의 만족에서 나오는 고백(告白)이라는 점이다.

그만큼 위안(慰安)과 안도감(安堵感)을 주는 지명으로 시인의 정신 깊은 곳을 장악한 발성임을

증명한다.

이 편지는 어느 한 특정인에게 보내는 것이 아니라 보편성(普遍性)을 나타내는 의미(意味)로 환치하면 그다음 메시지는 그리움을 불러오게 하는 정서(情緖)가 앞장선다.



그 어느 때쯤

보다 더 어린 날까지

이렇게 그렇게

긴 세월을 두고

생각나는 사람을 오늘은 정말 보고 싶다.


                        『오늘 사람이 보고 싶다』 중


시간의 여유(餘裕)와 관조(觀照)는 그리움의 문을 열게 하는 것이다.

어디든지 내가 만족을 한다든지 안주하게 되면 또 다른 상상(想像)의 문을 열고 그곳으로 사연을 보내고 싶은 충동(衝動)이나, 생각나는 사람을 오늘은 보고 싶다. 의 여유(餘裕)가 보인다.

의식(意識)의 창문을 열고 추억(追憶)을 불러들이려는 시인의 마음에는 오랜 시간의 벽을 넘어 친근하고 사랑 깊은 여유의 마음으로 세상의 사람들을 그리워하게 되는 것이다.

오늘은 그대가 보고 싶다.라는 미지의 공간(空間)으로 의식(意識) 여행(旅行)을 떠나게 된다.


산속에 내리는 비

개울에 내리는 비

한 송이 장미 위에 내리는 비  

내 가슴 추억의 한가운데 내리는 비

그것은 모두가 시인 것을


                           『소록도에 내리는 비』 중


봄, 가을, 겨울이던 온통 비로 통일(統一)된 의식(意識)이다.

소록도가 비가 되고 비가 소록도가 되는 통일은 원융(圓融)이 통합된 의식의 모습이 보이지도

보일 것도 없는 의미(意味)에 도달하게 된다. 거기에서 나라는 존재는 결국 하나의 원융 속물성(物性)이 없어진 자유정신만이 남게 되는 것이다.

자유정신은 시가 선의 경지를 방문하는 길을 만나는 것과 같을 것이기 때문이다.

비는 그렇게 내린다.



시인의 마음에도 충만(充滿)의 이름으로 비가 되고 소록도가 극점(極點)을 방문한 시인은 물과 비와 소록도가 하나가 되는 것이다.

이런 시는 고독(孤獨) 한 것 같지만 친근 미가 넘치고 감동(感動)을 자극(刺戟)시킨다.

참으로 스레딕 한 정적인 여유(餘裕)가 보인다.


[에필로그]


삶의 성숙(成熟)은 또 하나의 물음을 준비하는 걸음이 바빠지는 것 일게다.

절망은 희망(希望)으로 손을 내밀고 시심(詩心)을 다독이는 시인의 마음에는 햇살은 빛나고 외로움은 웃음으로 나누는 것 같다.

시인의 마음속에는 시작을 다시 알리는 준비를 안으로 다질 때가 되었음을 헤아려 본다.

자연(自然)에서 성숙되어가는 시향(時享)이 자양(滋養)을 받고 여정을 재촉하는 시심이 안온한 표정(表情)이다.

쓸쓸하고 외로운 소록도에서 자양의 정경(情景)과 손을 잡고 또 다른 여정을 가는 느낌을 받는다.

더욱 매진하여 독자(讀者)들이 감동(感動)의 숲에 들어가 함께 호흡하면 좋겠다는 소요의 미학의 시집(詩集)이 되기를 기대하며 끝을 맺으려 한다.

             

2022. 05. 17.


금요 저널 주필/문화연구위원/

칼럼니스트/이승섭 시

[필자의 칼럼집] {공정, 정의, 사색의 길]

{필자의 표지}

[필자 사색하는 길]

작가의 이전글 [가는 길을 일러준 시(詩) 문학}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