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언어의 행동의 묘미】

〖言語의 주어〗


우리가 言語가 없다면 어떻게 될까?

[대중문화평론가/칼럼리스트/이승섭]

뭐 수화, 문자나 음성으로 전달하는 도구 이외에 여러 가지 방법이 있을 수 있다는 의미일 것이다. 풀, 나무들도 생존을 위해 싸움을 하는 것을 감안하면 言語는 인간만의 전유물이 아닐 것이다. 하늘을 나는 그들끼리의 대화가 있기에 일정한 방향으로 날아가는 길이 있고 그들만의 생존 법칙이 있지 않는가?     

다만 인간이 해독 불가의 경우이기에 言語가 인간만의 전유물로 생각하는 것은 편견일시 분명하다.

우주에는 질서가 있고 그 움직임의 궤도에 따라 우주가 진행하고 이런 영향을 받는 지구상의 모든 생명체는 그 통제 하에 일정한 순환의 길을 가고 있는 것 아닌가 한다.      


봄이면 어김없이 싹이 나오고 다시 가을이면 씨앗으로 생명을 숨기는 일이 반복하면서 자기의 존재를 펼쳐 나가기 때문에 모든 생명은 결국 우주의 궤도에서 생명의 연장을 이어 가는 것,

 言語는 이를 위한 편리에 국한할 것이다. 뿐만 아니라 언어의 도구에 의해 축적되는 자식이나 지혜로 인간만의 문명을 창출하는 역할은 언어의 공로로 돌려야 할 것임에는 분명하다.          

하루 중에 얼마의 말을 소비하고 사는 가를 정확히 알 수는 없다. 어떤 사람은 수다로 하루를 소비하는 직업이 있는가 하면 黙言에 길들여진 사람은 단 한 구절의 언어조차 아끼는 경제학 원리에 포함하는 종교인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적정의 언어를 구사하고 사용하는 일은 편안함을 줄 것이다.

흔하게 보는 일이지만 지하철이나 버스 안에서 수화를 하는 사람의 손짓은 비록 소리는 들리지 않아도 요란하다는 느낌을 갖고 바라보는 일이 많았었다.      

직장 재직 시에 중국과 베트남 등을 업무 차 간 적이 있는데 명승지나 이동하는 버스 안이나 서너 명이 온통 장내를 장악한 것 같은 큰 목소리에 인내를 시험받은 적이 한두 번이 아니다. 중국어의 억양이나 베트남의 억양에 따른 의미 분간에서 목청이 큰 것을 조절할 필요성이 있구나, 를 느낀 점이 많았다.      

더구나 외국인과 동승한 경우에 문화의 척도가 얼마나 국가의 인상을 좌우할 것인가를 생각도 하게 되었지만 중국, 베트남만이 아니라 우리의 아줌마들이 모이면 아마 그 토운은 중국 여인들의 소음과 버금갈 것이다.      

한낮에 삼삼오오 모이는 음식점들 도처에서의 수다는 가히 진풍경일 것이고 그 소음은 기준치를 초과할 것이다. 음성의 크기를 조절하는 것은 교양이고 문화의 수준과 연결될 것이다. 나 또한 다를 수는 없다고 보지만 그러나 끼리끼리 모이면 이런 소양과 문화 따위는 버릴 것 같은 기세로 오불관언이 도처에 보이는 한낮의 풍경이 우리나라 아줌마들의 수다의 풍경일 것이다. 일상을 살면서 言語를 버리고 살아간다면 참으로 조용할 것이라 여겨진다. 그러나 우리가 言語를 버리고 살 수는 없지 않은가?


그렇다면 적정의 언어 소비는 어떨까.

이 또한 정해진 양이 없고 그럴 필요성도 없을 것이다. 품위와 교양 그리고 대상을 위한 배려가 있어야 할 문제이기 때문이다.

나이가 많으면 자제력을 잃기 쉽다. 무한으로 터져 나오는 언어의 숨구멍을 막을 장치가 고장 난 것 같기 때문이다. 대체로 혼자 사는 사람일 경우 대상을 만나면 무한으로 자기의 말을 이어가는 경우가 있다.          

혼자서 언어를 교환할 기회가 없기 때문에 누군가를 만나면 둑이 터지는 폭포와 같은 경우가 일상에서 흔한 경험일 것이다. 언어의 불통에는 늘 싸움이 따라온다. 굳이 불통이란 말보다는 소통에 정애가 끼면 필연적으로 오해를 불러오고 그 오해는 싸움으로 번지는 경우가 허다하다. 내 일상도 그런 경험의 일들이 다반사로 경험한다.      


내 흔들리는 가장의 위치로 인한 이유도 한 항목이고 또 그로 인해 큰소리로 반발할 때 둘이 사는 공간의 냉전은 하루를 넘기는 경우도 있다. 무한으로  늘어나는 설명을 듣고 있노라면 인내의 시험은 결코 짜증으로 이어지고 이럴 때면 공연히 튀는 말들의 전쟁이 한창때 하고 또 다른 문제점으로 다가온다.      

나는 간단명료한 말을 선호하고 내 상대는 장황하게 친구들과의 수다처럼 길어질 때 필연적으로 그만을 외치는 지점에 당도한다. 점점 젊은 시절 때는 수궁을 했던 것도 이제 후반으로 들어서는 시점에 오다 보니 나의 자제력이 고갈로 이어지는 빈도가 많아지고 이를 수습하는 일상은 지루한 삶의 하루가 될 뿐이다.

     

아무튼 둘이 기거하는 일은 끝없는 일상의 파문이 이어지는 무늬 같아 때로는 재미도 있지만 더러는 폭발하는 감정을 억누르지 못하는 잘못도 있음일 때 아직도 이 긴 시간을 터벅여야 할지는 글쎄올시다.이다.     

늦은 저녁 시간도 찌는 듯 가마솥 더위인데 내 사는 집 風警에 부딪치는 소리가 뻑적지근하다.

기실 내 집 주위에 아무도 사는 집이 없기에 망정이지 옆집이라도 있었다면 아마도 저 집구석은 조용할 날이 없다고 조소할 것 분명할진대 둘이 사는 집이 이렇게 요란스럽다.

마치 서로 원수가 아님에도 불구하고 한 이불속에서 같이 사는 사람인지 구분이 안 가는 것이다.          

이 또한 날씨 탓만은 아닐 것이고 아직도 내 삶의 대한 아집이고 편견 조그만 알 량의 자존심이 남아서일지 아니면 가장으로서의 내 위세가 땅에 떨어져 위기를 모면하려 악다구니를 쓰는 것인지 역량이 부족한 탓인지는 모르나 이제 좀 더 너그러워진 마음으로 포용해야 되지 않을까 한다.

늦었지만 말이다.     



2024. 05.


[대중문화평론가/칼럼니스트/이승섭시인]

[필자의 베스트셀러집]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