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Suyoung Apr 25. 2021

봄날에는  갤러리

에스빠스 루이뷔통 ,   서소문 시립 미술관

       

계절이 바람처럼 훅훅 지나갔다.

사람들의 코로나로 묶인 발걸음에도 불구하고...!

작은 화분이 미어터지도록 건강한 뿌리를

자랑하는 이른 수선화를 장터에서

데려다 놓은 지 얼마 되지도 않아

창밖으로 눈발같은 벚꽃 한 무더기

쏟아지더니 길 가 가로수에 연둣빛 물 오른

5월이 선다.  

 뜬금없이 이른 시간에 청담동 명품거리를 걷다.

안 그래도 코로나로 한적할 요즘 이 동네의 

오전 9시라니..!

 예약시간을 맞춰 입장시킨다는

루이 뷔통 측의 안내 문자에 질려

걍 아침부터 움직였던 탓이다.   

    


       

          

'루이뷔통 메종 서울'은 외갓집 여자들이 오래 전 좋아라 하던 막스 마라 곁이어서 오랫 만에 눈요기도 하고..

샤넬, 프라다 모두 잠자듯이 고요한데 멋진 경비병들만 문 앞을 지키네.       



게르하르트 리히터  4900가지 색채

   독일의 살아있는 전설로 불리는 게르하르터 리히터, 사진을 회화화 한 독창적인 화법으로 많이 알려졌으며

  2차 대전 후에 파괴된 쾰른 대성당의 창문 복원 작업을 맡아 더할 수 없이 아름다운 스펙트럼 효과의

  예술품을 창조해 낸다. 한편으로 산업용 페인트 색상표를 통해 색면에 대한 초기 연구를 익혀 가며

  색이 이뤄내는 조화와 정확성에 무한 집중했다는 그. 궁극적인 추구점이 주관성을 탈피한 회화라 하

  오늘 보는 이 작품 또한 그 연계점이라 봐야 한다.

 

   총 11가지 버전으로 이루어 졌다는 각각의 색상표가 던지는 독립된 스펙트럼의 효과...

  우리가  이들을 다 비교해 볼 기회는 없겠지만 루이뷔통 재단이 잠시 빌려줬다는 이 9번째 버전만으로도

  눈호강은 하자.  

  

수백 억대의 작품가를 자랑하며 생전에

이미 현대 표현주의의  획이라 인정받은

게르하르터의 전시를 보러 가서

거대한 색채표가 던지는

한 점 놀라움만 안고 오기엔 조금 아쉬운데

루이뷔통 작은 미술관엔

요즘 핫한 현대작가들의 값진 도록들이

줄 지어 있다. 모두들

오랜 시간 명품가의 편안한 응접실(?)에서

좋아하는 에곤 쉴레, 바스퀴아 등

파리의 모마를 마음껏 즐길 수 있어

커피는 없어도 여운 있는 시간은 누릴 수 있다.

 물론 도슨트도 있다.

 


 


오전부터 나선 외출 덕에 서소문 시립 미술관에도  들름                                                                      


 ' 허 스토리 리뷰 '

 1980년대 정치적 사회적으로 어지러운 시대상황 속 민중미술 또 여성의 정체성, 자아를 주요 화두로

 하는 국내외 여류작가들의 작품이 전시 중이다.   

 그 시대 지식층이든 아니든 여성이 처한 사회 현실과 정체성의 갈등이 잘 투영되는 작품들,

 '전통의 한국 기와 지붕은 불, 거대한 선박을 앞에 둔 채 거센 파도 위 혼자 허우적대고 있여인,

 쌓인 이불장  삶의 일부처럼 널부러져 있는 여자, 봉제공장 기숙사 화재 속에 죽어갔던 어린 여공들....'

  페미니즘이 어느 때보다 물 오른 요즘 보면 이미 이 정도의 시선은 먼 나라 이야기일 듯싶기도 하지만

 우리 여성주의 미술의 중요 기점을 알게 하고 그 의미나 가치도  생각해 보게 하는 전시인 듯

 젊은 연인들이 함께 와 있는 것을 많이 보게 된다. 좋은 의미





   천경자의 방도 잠시 들렀는데  몇 년 만에 보는 꽤 많은 작품 수로 늘어난

 그녀의 전시는 여전히 설렘.

 치열하고 자유로웠으며  허망하기도  한 그녀의 삶이 여기에 모여있다.

 낡은 장미빛 색채가 매우 아름다운 연작 '여인의 시 2' 는 삶의 방패막이로 가시 돋힌 장미 다발을

 가슴에 두른 자화상이다.

 장미다발은 그녀 삶에서 예술이라는 넘사벽의  도구를  상징한다고들...

 오래 바라보게 되던 작품.


 처음 보게 된 '카바레 뉴욕'도  늙지 않는 그녀를

 느낄 수 있어  좋았다.  

 90 여편이나 되는 작품들이 시립미술관에 기증된 건 아마 마음이 병들기 전이었을 터...

오래 된 독서 속 작가 김지원이 쓴 우울한 뉴욕의 일상 몇 구절이 떠올랐다.

다들 맨해튼의 오래된 아파트를 마지막 기착지로 떠난 것은 평균 치의 마음으로 쉴 수 있는 곳을

찾아서?

 다시 한번 책장을 뒤져 읽어 볼 의욕이 불쑥..




                                                                                                                                                         

  


  




매거진의 이전글 바람 불어 추운 날 성북동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