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험적 지식/표재적지식/북스마트/스트릿스마트
글쓰기는 콘텐츠만 잡히면 술술 풀린다. 그래서 생각이 중요하다. 생각하기 위해서 머릿속에 담고 있는 것이 많아야 한다. 머릿속에 담기 위해선 간접적 혹은 직접적 방법 모두 좋다. 김영하 소설가는 자신이 읽은 책 내용을 토대로 소설을 쓴다고 한다. 조정래 소설가의 책인 ‘정글 만 리’는 중국에서 체류하면서 기록한 내용을 바탕으로 쓰였다.
이처럼 지식의 종류는 경험적 지식과 표재적(과학적) 지식으로 나눌 수 있다.
나는 표재적 지식을 바탕으로 글을 쓰는 편이다. 직접 경험이 턱없이 부족한 편이다. 그러나 전공에 관한 칼럼을 쓸 때는 경험적 지식이 우세하다.
삶을 대하는 지혜에 있어서도 두 종류로 나뉜다. ‘book smart’와 ‘street smart’.
북 스마트는 인풋(in-put)보다 아웃풋(out-put)이 부족한 것이고, 스트릿 스마트는 인풋보다 아웃풋이 더 좋은 것을 뜻한다고 볼 수 있다.
나와 아내를 비교해 보면 분명해진다. 나는 북 스마트인 편이고, 아내는 스트릿 스마트에 가깝다. 나는 원리 원칙과 시키는 일만 잘한다. 아내는 변칙에 능통하고, 한 가지를 가르쳐주면 열 가지를 깨우친다. 나는 난센스 퀴즈에 약하고, 아내는 난센스 퀴즈 맞히는데 도사다. 나는 공자와 같고, 아내는 공자의 제자인 안회와 같다.
트레이닝의 세계에 있어서는 위에서 나열한 두 가지 지식(경험적, 표재적)과 두 가지 지혜(book, street)의 경계에 있어야 한다. 한 가지에 치우치면 훌륭한 트레이너가 될 수 없다.
즉 문무를 겸비해야 하며, 소통과 포용력이 있어야 한다.
한 분야에 오랫동안 일을 한 사람을 ‘산전수전’다 겪은 사람으로 부른다.
그러나 트레이너는 ‘산전수전’ 그 이상이 되어야 한다. ‘공중전’과 ‘우주전’까지 다 치러야 한다.
이러한 경지에 도달하게 되면 비로소 ‘경계인’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올해로 내 나이 마흔넷이다. 트레이너로 입문한 지 16년 차다. 내 트레이닝 스승은 32년이 넘으셨다.
스승님은 경계인이다. 그러나 나는 아직 멀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