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도시 탐색자 Feb 12. 2021

로컬 크리에이터는 어떤 일을 할까?

로컬 크리에이터는 리처드 플로리다(Richard Florida) 교수가 도시의 경쟁력과 창조도시 건설을 위해 반드시 필요하다고 강조한 인적 자본인 창조계층(creative class)과 많은 유사성을 보인다. 풍부한 문화자본을 바탕으로 다양한 문화예술 활동을 경제 활동에 반영하여 장소성의 변화를 일으키는 예술가인 동시에 사업가다. 또한 상대적으로 낮은 사회적, 경제적, 문화적 수준으로 특징지어지는 전통적인 소상공인 계층과 구별되는 새로운 소상공인 계층이다.


상상력과 열정 그리고 창조 자본을 소유한 로컬 크리에이터는 산업사회의 전통적인 공동체의 거점 지역을 벗어나 새로운 창조적 장소로 이동하는 경향을 보인다. 로컬 크리에이터는 새로운 창조적 장소에서 자신과 취향이 비슷한 사람들과 적극적으로 교류하며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있다. 예술적, 문화적, 그리고 기술적인 번성을 통한 로컬 크리에이터의 지속적인 성장은 로컬(지역)의 고용창출과 인구의 증가를 가져오게 되며 더 나아가 로컬의 경쟁력을 높이는 결과를 가져오게 된다.  


리처드 플로리다 교수의 창조계급 분류


리처드 플로리다 교수는 창조계급을 핵심 창조인력(Super-creative core)과 창조적 전문가(Creative professional)로 구분하고 있다. 핵심 창조인력은 과학자, 엔지니어, 대학교수, 시인, 소설가, 예술인, 연예인, 디자이너, 건축가 등이 포함되고 창조적 전문가는 사업과 재정운영, 법률이나 의학 관련 전문인들로 지식집약형 산업에 종사하는 사람들이다.

리처드 플로리다 교수의 직종분류에 의한 창조계급


또한 비 창조인력으로 서비스 인력(Service class)과 노동자 인력(working class), 농업(Agriculture)으로 구분하였다. 서비스 인력은 창조인력에 비해 업무의 자율성과 임금 수준이 낮은 직업들을 의미하며, 노동인력은 생산직, 운송, 원료 수송, 건설공사 등과 같이 물리적이고 육체적인 업무에 종사하는 사람들을 뜻한다.

리처드 플로리다 교수의 직종분류에 의한 비창조 계급


그러나 플로리다 교수의 창조계급 분류 방법은 고학력자나 첨단산업 종사자들을 무비판적으로 창조인력으로 분류한 점과 창조산업 이외의 산업에서 종사하는 창조인력이 포함되지 않는 점에서 비판받고 있다. 비슷한 맥락에서 로컬 크리에이터는 창조계급과 많은 유사성을 보이지만, 이들의 활동은 창조적 전문가보다는 오히려 비 창조인력에 속하는 경우를 종종 발견하게 된다. '로컬'에 기반하여 '로컬의 자원'을 활용한다는 점에서 로컬 크리에이터의 활동은 농업, 임업, 수산업 분야를 포함한다. 그러나 기존의 전통적인 농, 임, 수산업과는 달리 다양한 문화적 공정을 통해 상업적, 문화적인 가치를 지닌 상품을 생산하고 판매하는 일을 하고 있다.


로컬 크리에이터의 직종 분류


한국콘텐츠진흥원의 콘텐츠산업과 한국 표준산업분류표를 참조하고 로컬 크리에이터의 정의에 부합되는 직종을 분류하면 다음과 같다.


영화 방송제작 및 관련 서비스업

출판산업

음악산업

광고산업

게임산업

디자인산업

공연산업  

사진업

교육서비스업 (도서관, 박물관, 복합 문화공간 포함)

농·임·수산업

식음료업

레저 및 관광업(숙박업 포함)

제조업(공예, 특산물 등)

도시 및 건축 관련업


창조산업, 창조계층 관련 선행연구와 달리 로컬 크리에이터는 ‘로컬의 자원 활용한다는 점에서 ··수산업을 추가하였으며, 로컬의 유휴공간, 낡은 골목길, 쇠퇴한 지역을 재생시킨다는 측면에서 도시와 건축 분야를 포함시켰다.


위의 직종 분류를 다시 중소기업 벤처부에서 분류한 로컬 크리에이터의 7 분야에 따라 분류하면 다음의 표와 같다.

중소벤처기업부의 7대 분야에 따른 로컬 크리에이터 직종

로컬 크리에이터는 하나의 업종에 속한다기보다는 여러 업종의 경계를 넘나들며 활동하는 특성을 보이기 때문에 하나 이상의 직종을 가지고 여러 분야의 일을 동시에 하는 경향을 보인다는 점을 주목해야 한다.




* 본 글은 도시와 커뮤니티 연구소에서 2020년 중소기업 벤처부와 창업진흥원에서 의뢰를 받아 진행한 연구용역과제 '로컬 크리에이터 활성화 지원 현황 분석 및 전략 수립' 보고서의 내용을 바탕으로 작성하였습니다.


매거진의 이전글 누가 로컬 크리에이터인가?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