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도시 탐색자 Apr 17. 2021

로컬 크리에이터 활성화 지원사업의 참여동기

 2020년부터 중소벤처기업부는 지역의 특성과 자원을 소재로 창의성과 혁신을 통해 사업적 가치를 창출하는 로컬 크리에이터 활성화 지원사업을 본격적으로 실시하고 있다. 로컬 크리에이터 활성화 지원사업의 대상자는 예비 창업자 또는 업력 7년 이내의 로컬 크리에이터이다. 


'로컬 크리에이터' 활성화 지원사업에 대한 인지도는 얼마나 될까? 


2020년 상하반기 2번에 걸쳐 중소벤처기업부 주관으로 시행된 '2020년 지역기반 로컬 크리에이터 활성화 지원사업'에 지원한 (예비) 창업가 5,082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2020년 7월 30일부터 2020년 8월 3일까지 총 5일 동안 진행한 온라인 설문조사에 참여한 전체 응답자는 1,112명이며, 이 가운데 미응답 문항이 많거나 중복응답을 제거하고 최종 934명의 자료를 토대로 로컬 크리에이터의 현황을 분석하였다. 


1. 로컬 크리에이터 인지율

로컬 크리에이터 활성화 지원사업 신청 전부터 로컬 크리에이터에 대해 인지하고 있던 비율은 61.5% 임.


<로컬 크리에이터 인지도>


2. 로컬 크리에이터 활성화 지원사업을 알게 된 경로

로컬 크리에이터 활성화 지원사업을 알게 된 경로는 공공기관 홈페이지를 통해서가 61.5%로 가장 많았고, 온라인 광고 15.3%, 지인 친인척 등 13.6% 등의 순으로 나타남. 


<로컬 크리에이터 지원사업 인지 경로>


3. 로컬 크리에이터 활성화 지원사업 신청 유형

온라인 설문조사에 참여한 사람의 지원사업 신청 유형은 일반형 88.4%, 하반기에만 해당되는 일반형: 지역특구 연계는 9.0%, 투자연계형 2.6% 임.

<지원사업 신청 유형>


4. 로컬 크리에이터 활성화 지원사업 분야 

로컬 크리에이터 활성화 지원사업 모집 7대 분야 중 가장 많은 지원분야는 지역가치 38.2%, 지역기반 제조 20.6%, 로컬푸드 15.0%, 스마트 관광 10.7%, 거점 브랜드 9.0%, 디지털 문화체험 3.4%, 자연친화활동 3.1% 순으로 나타남. 


<로컬 크리에이터 활성화 지원사업 지원분야>


5. 로컬 크리에이터 활성화 지원사업 응모 동기

로컬 크리에이터 지원사업에 응모한 가장 직접적인 이유는 금전적인 지원이 필요한 경우가 59.7%, 로컬 크리에이터 관련 정보를 접하기 위해서 23.1%, 주변 권유를 받아서 8.8%, 정부 지원사업 경력을 얻기 위해서가 8.4% 순으로 나타남. 


<로컬 크리에이터 활성화 지원사업 응모 동기>


6. 로컬 크리에이터 활성화 지원사업에 대한 만족도 

로컬 크리에이터 활성화 지원사업에 대한 만족도는 평균 4.0점(5점 만점)이고, 아주 만족(47.1%), 만족(26.5%), 보통(17.7%) 등의 순으로 나타남. 


<로컬 크리에이터 지원사업 만족도>


7. 로컬 크리에이터 활성화에 필요한 육성 정책

로컬 크리에이터 활성화에 필요하다고 선택한 정책 1순위는 창업자금(융자, 보증, 투자) 지원 31.5%, 각종 창업 부담금 완화 16.1%, 시제품 제작(제품 디자인, 금형) 지원 13.7%, 창업절차 간소화 9.2%, 마케팅 홍보지원 6.0% 등의 순으로 나타남. 


<로컬 크리에이터 활성화에 필요한 육성 정책>


*본 글은 도시와 커뮤니티 연구소에서 2020년 중소기업벤처부와 창업진흥원에서 의뢰를 받아 진행한 연구용역과제 '로컬 크리에이터 활성화 지원 현황분석 및 전략수립' 보고서의 내용을 바탕으로 작성하였습니다. 

 


매거진의 이전글 로컬 크리에이터 활성화 지원사업 참여자는 누구일까?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