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윤혜솔 May 23. 2021

사회복지현장과질적 연구

Bi-weekly Journal Ⅰ

  

2021년 3월 20일 ( 


사회복지현장에서 일을 하고 있는 사회복지사로서 질적 연구는 매우 흥미로운 연구방법이다. 연구방법론과 조사방법론을 떠올리면 흔히 양적 연구, 통계분석을 떠올리게 된다. 이는 사회복지사들에게 부담스럽고, 연구에 대한 거부감을 느끼게 한다. 하지만, 질적 연구는 사회복지사들이 일선 현장에서 익숙하게 사용하는 관찰, 면접을 통해 연구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무게감이 덜하다. 하지만, 이러한 인식은 “질적 탐구는 유연함을 강조하기 때문에 ‘질적’이라는 용어가 ‘무엇이라도 괜찮다’라는 식으로 해석하는 것”만큼이나 어리석은 판단일지도 모른다. 질적 연구가 통계학적 지식에 대한 부담을 상당 부분 해소한다 하더라도, 연구방법에 대한 폭넓은 지식과 경험이 요구되기 때문이다.

  사회복지 실천과 질적 연구는 유사성을 갖고 있다. 근대 사회복지 실천의 원형이라 할 수 있는 Marry Richmond의 저서 Social Diagnosis(1917)에서 소개하고 있는 사례 연구 방법(case study methods)은 질적 연구의 한 형태를 보여준다. 그럼에도 사회복지학이 질적 연구가 아닌 양적 연구를 일반화하며 성장ㆍ발전해온 까닭은 무엇일까? 어쩌면, 이는 학문과 현장을 분리하고, 산출적 데이터를 중심으로 사회복지 지형을 확대한 초기 사회복지 학자들이 지나치게 양적 연구라는 경로를 의존하고, 또한 양적 연구방법을 독점해온 까닭은 아닐까 하는 의심을 감히 해본다. 

  루빈과 바비의 사회복지조사방법론 중 질적 연구의 일반원칙(ch 18)과 세부 방법(ch 19)을 읽으면서 가장 와닿았던 부분을 꼽자면, “질적 연구는 자연스러운 상황에서 태도와 행위를 가장 잘 이해할 수 있는 주제를 연구하는데 적합하다”라는 부분이었다. 질적 연구가 일정 기간에 걸친 사회 과정을 연구하는 것에 적합하다는 것은 이미 알려진 사실이다. 실제로 사건이 일어나는 과정 속에서 주제를 탐구하고, 질적 연구가 아니면 나타나지 않는 것, 직접 관찰 없이는 예상할 수 없거나 측정할 수 없는 다른 사건을 관찰한다는 측면에서 질적 연구는 의의가 있다. 

  질적 연구의 의의가 충분히 가치 있는 것이 되기 위해서는 연구자가 관찰한 사회 과정이‘자연스러운 상황’이어야 한다. 이는 질적 연구를 평가하는 기준과도 직접적으로 관련된다. 물론 연구자가 가진 해석적 틀이 무엇인가에 따라 질적 연구를 평가하는 기준들도 다양할 수 있다. 하지만, 현대 실증주의와 사회구성주의 두 가지 모두에서 강조하는 질적 연구의 엄격성 평가의 주요 기준은 신뢰성이다. 그 신뢰성의 바탕에는 연구 참여자들을 얼마나 ‘자연스러운 상황’에서 관찰하고, 면접했는 가다. 그것이 현대 실증주의에서 장기적인 관여, 다원 측정, 동료들에 의한 점검과 지원, 부정적 사례 분석, 멤버 확인, 감사로 표현되고, 사회구성주의에서 멤버 확인, 적합성과 전이성, 다원 측정 등으로 대표된다. 이에 반해 비판 사회과학 접근이나 참여적 액션 리서치를 수행하는 학자들은 임파워먼트 기준에서 촉매적 공유성, 전략적 고유성 등으로 질적 연구의 엄격성을 평가한다. 

  연구의 엄격성을 평가하는 기준하는 공통 기준이 되는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반응성을 검토해야 한다. 반응성은 현장에서 연구자의 존재가 현장의 자연성을 왜곡할 때 발생하고, 이는 결과적으로 현장의 연구 대상물을 왜곡하게 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렇다고 연구자가 연구자의 존재를 숨기는 것, 노숙인 연구와 관련하여 자신이 노숙인이라고 가장하는 것은 연구윤리에 비추어볼 때 적절한가? 그렇지 않다. 그렇다면, 반응성을 최소화하고 반영성을 증대하기 위한 질적 연구의 전략은 무엇인가? 이에 대한 고민이 질적 연구를 수행하는 연구자에게 중요한 자세가 된다. 


참고문헌 


Allen Rubin, Earl R.Babbie(2016). Research Methods for Social Work, 8th Edition.  김기덕, 김용석, 유태균, 이기영, 이선우, 정슬기 역(2016). 사회복지조사방법론. 서울: 센게이지러닝코리아(주)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