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김진회 Dec 26. 2020

아키텍처 (Architecture)란 무엇인가

아키텍처의 개념과 목적

의외로 간단한 개념인 모듈러 디자인에서 이해하기 어렵고, 실무를 하는 사람들에게서 개념이 명확하지 않은 용어가 하나 있다.


"Architecture (아키텍처)"


아키텍처는 문헌 상의 정의는 "기능과 구조와의 맵핑한 구성요소, 상호작용의 집합으로 고 수준의 설계 산출물"이다. 하지만, 실제로는 정의 이상의 의미를 갖는다. 본문에서는 제품 개발 관점에서 반드시 알아야 하는 아키텍처의 개념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하겠다.


첫 번째, "전략적인 의도를 반영한 중장기적인 기획의 결과물"이다.


모듈러 디자인을 실행하려는 기업 별 고유의 의도가 있고, 의도는 명확하게 표현해야 한다. 표현한 결과물이 바로 아키텍처이다. 모듈러 디자인의 가장 중요한 활동인 모듈화 (모듈 기반의 제품 아키텍처 정의)에서는 전사적인 의도, 영역 별 의도, 그리고 중장기에 걸쳐서 이루고자 하는 목표를 입력값으로 활용하는 데, 결과물이 아키텍처가 된다.


두 번째, "전사, 전체 제품군의 치적화를 이루고자 하는 기준"이다.


모듈러 디자인은 제품 아키텍처뿐만 아니라, 제품군 아키텍처를 고려하는 활동이다. 그리고, 제품군 아키텍처가 모듈러 디자인의 기준이 된다. 영역을 확장하면 설계/개발에서는 제품 아키텍처/제품군 아키텍처, 생산에서는 생산 아키텍처, 구매에서는 구매 아키텍처를 정의하는 이유는 개별 영역의 최적화하기 위한 의도가 반영된 기준을 만들기 위해서 이다.


이렇게 정의한 개별 영역의 기준들을 상호 조율하여 전사 최적화를 진행하는 것이 모듈러 디자인의 핵심적인 활동 중 하나이다.


마지막은 "전사 또는 영역별 활동에 대한 최소한의 규칙"이다.


모듈러 디자인을 단일 제품에만 적용할 것이 아니라면, 모듈러 디자인을 실행하기 위한 체계를 구축하는 것만큼이나 어려운 것이 이를 유지하고 뒤처지지 않게 변화하는 것이다. 아키텍처는 모듈러 디자인을 위한 운영체계를 유지하기 위한 핵심적인 최소한의 규칙과 발전을 위해서 지속적으로 변화하는 기본을 제공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모듈 기반의 제품 아키텍처를 정의할 때 최소한 3년~5년 간의 변화 요인을 분석하는 이유는 처음 정의하는 아키텍처가 시작부터 뒤처지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종합하면, 아키텍처는 계획이자, 기준이자, 규칙이다. 아키텍처가 잘 만들어진다고 하여 모듈러 디자인 활동이 잘 된다는 보장은 없지만, 아키텍처가 미흡하면 성공적인 모듈러 디자인 활동이 있을 수 없다.



다음 글에서는 아키텍처의 특징에 대해서 살펴보겠다.

매거진의 이전글 부품수 관리는 필요한가?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