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가가 자기만족이 아니라 관객을 위해 일하는 게 느껴지면 감동은 사라진다
"The Tower of Blue Horses" by Franz Marc (1913)
설명: 생명력과 아름다움의 상징인 말을 표현주의적이고 거의 영적으로 표현한 마르크의 작품은 단순한 미학을 넘어서는 강력한 정서적 울림을 선사하며, 진정한 예술은 공유된 감정적 경험을 전달한다는 톨스토이의 신념과 일치합니다.
"The Banjo Lesson" by Henry Ossawa Tanner (1893)
설명: 손자를 가르치는 할아버지의 친밀한 묘사는 문화적 지식의 전달과 사랑의 유대를 함축하고 있으며, 인간의 깊은 경험을 전달하는 통합의 힘으로서의 예술에 대한 톨스토이의 개념을 반영합니다.
"The Potato Eaters" by Vincent van Gogh (1885)
설명: 반 고흐의 농부들의 삶과 공동의 노동에 대한 묘사는 생생하고 진실한 감정적 몰입을 제공하며, 예술을 진정한 경험을 전달하는 수단으로 여겼던 톨스토이의 관점을 반영합니다.
1장: "예술이란 무엇인가요?"
- 전통적인 신문은 종종 공연, 전시회, 예술 작품 리뷰 등 예술에 관한 섹션을 할애합니다.
- 정부는 예술에 상당한 투자를 하고 있으며, 기관과 공공 행사에 많은 예산을 배정하여 사회에서 예술이 얼마나 높은 가치를 지니고 있는지 보여줍니다.
- 노동 산업은 예술의 영향을 많이 받으며, 예술을 위해 평생을 바치는 수많은 장인과 예술가들의 노력이 필요합니다.
- 많은 재능 있는 사람들이 예술적 성과를 내기 위해 자신의 웰빙과 전문 기술을 희생하지만, 이러한 작업은 영혼을 소모하고 지나치게 전문화될 수 있습니다.
- 연출가가 무자비하게 완벽을 요구하는 오페라 리허설에 대한 자세한 설명에서 볼 수 있듯이 예술 창작 과정에는 가혹한 관행이 수반될 수 있으며, 이는 예술이 상당한 인간적, 도덕적 희생을 정당화한다는 근본적인 관념을 반영합니다.
2장: "예술의 대가"
- 예술은 잠재적으로 해롭고 모욕적인 작업에 종사하는 수천 명의 막대한, 그리고 종종 비자발적인 노동에 의존합니다.
- 예술가들은 예술 창작뿐만 아니라 일반적으로 호화로운 라이프스타일을 유지하기 위해서도 노동자의 도움이 필요하며, 필요한 자금은 종종 세금과 같은 사회적 기부금에서 조달됩니다.
- 예술에 지출되는 금액이 필수 교육에 필요한 자금보다 많거나, 소외계층을 포함하여 예술에 세금을 내는 사람들이 소위 예술의 혜택을 누리지 못할 때 불일치가 발생합니다.
- 예술의 분명한 가치를 확립하고 이를 평등한 인권과 조화시키지 않은 채 사람들에게 예술을 위한 노동을 강요하는 것은 도덕적으로 의문입니다.
- 예술의 필요성과 예술이 요구하는 희생은 여전히 중요한 사회적 관심사이며, 특히 예술 유파가 서로 모순되어 진정한 예술의 정의와 목적을 복잡하게 만들기 때문에 더욱 그렇습니다.
제3장: "아름다움의 정의"
- 미학의 창시자인 바움가르텐은 아름다움을 감각을 통해 인식되는 완벽한 것으로 간주하여 진리 및 선과 분리시켰지만, 후대의 미학자들은 이러한 분리를 반박했습니다.
- 설저와 멘델스존 같은 후대의 철학자들은 예술을 도덕 교육의 도구로 간주하면서 미를 도덕과 연관시켰습니다.
- 그러나 윈켈만은 고대 예술의 모방을 주장하며 아름다움을 외형에 국한시켰고, 그 뒤를 이어 정의할 수 없는 기준인 취향을 아름다움의 잣대로 삼은 사람들도 있었습니다.
- 프랑스와 이탈리아의 미학자들 역시 쾌락으로서의 아름다움과 도덕적 또는 신적 표현으로서의 아름다움 사이에서 갈등하며 아름다움의 본질에 대해 고민했습니다.
- 특히 칸트, 셸링, 헤겔을 중심으로 한 미학의 진화는 미를 절대적이고 신성한 것과 분리될 수 없는 복잡하고 형이상학적인 이상이자 매우 개인주의적이고 주관적인 것으로 제시합니다.
제4장: "아름다움과 예술"
- 많은 영향력 있는 철학자들이 바라본 아름다움은 신과 완벽한 정신과 연결된 신비롭고 거의 신적인 지위를 지니고 있지만, 동시에 쾌락으로 간주될 때 명확한 정의를 피할 수 있습니다.
- 예술은 인간의 삶과 발전이라는 맥락에서 예술의 실제 목적을 고려하지 않은 채 아름다움의 원천이자 결과적으로 쾌락의 원천으로 잘못 인식되고 있습니다.
- 아름다움의 개념과 분리된 예술에 대한 정확한 정의는 예술을 타고난 욕망과 과도한 에너지의 결과로 보는 생리적-진화적 정의부터 감정의 전달로 보는 실험적 정의까지 다양합니다.
- 이러한 정의의 한계는 쾌락에 대한 강조로 인해 사회 통합과 진보에 필수적인 소통의 힘으로서 예술의 진정한 의미가 가려진다는 점입니다.
제5장: "예술의 진정한 기능"
- 예술은 아름다움이나 쾌락을 넘어 개인적 경험과 감정을 전달하고 개인 간의 유대감을 형성하는 과정으로 재정의되어야 합니다.
- 언어가 생각의 전달을 촉진하고 문화유산을 형성하는 것처럼, 예술은 시간을 초월하여 감정을 전달하고 공유된 감정적 경험으로 사람들을 하나로 묶어줍니다.
- 예술의 사회적 파급 효과는 고대와 현대의 사상가들이 모두 인정해 왔으며, 일부는 예술의 영향력을 두려워하여 제한을 주장하기도 했습니다.
- 예술의 즐거움을 위해 모든 형태의 예술을 찬양하는 현대의 잘못된 견해는 예술의 영향력을 경계했던 초기의 믿음과 극명한 대조를 이루며, 현대 사회가 예술의 진정한 역할의 중대성을 과소평가할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
- 예술을 깊이 있는 인간적 소통 행위로 이해하면 사회와 개인의 행복에 있어 예술이 차지하는 중요한 위치가 분명해집니다.
제6장: "예술의 사회적 가치에 대하여"
- 예술에 대한 수용은 고대의 회의론에서 현대의 수용으로 바뀌었으며, 주로 즐거움을 제공하는 능력에 기반을 두고 있습니다.
- 예술과 예술이 전달하는 감정에 대한 가치는 종교에 의해 형성된 삶의 목적에 대한 인류의 진화하는 이해와 얽혀 있습니다.
- 예술은 종교적 신념에 따라 달라지는 선과 악에 대한 문화적 이상과 일치하며, 인류를 종교적 이상에 더 가깝게 만들 때 '선'으로 간주됩니다.
- 기독교 예술은 처음에는 기독교적 미덕을 구현한 작품을 기념했지만, 교회의 영향을 받은 예술 표현은 나중에 진정한 기독교의 가르침에서 멀어졌습니다.
- 기독교 사회의 상류층이 교회 교리에 환멸을 느끼면서 그들의 예술은 영적인 본질이 결여된 개인적인 즐거움과 미학에 초점을 맞춘 배타적인 예술이 되었습니다.
제7장: "미적 예술로의 전환"
- 상류층이 교회 기독교에 대한 믿음을 잃은 시기에는 예술을 평가하는 기준이 아름다움, 즉 즐거움을 줄 수 있는 능력이 되었으며, 이는 미학적 예술 이론으로 이어졌습니다.
- 미학자들은 아름다움과 선에 대한 그리스의 개념을 잘못 해석하여 유대교와 불교의 가르침으로 대표되는 도덕적 진보에도 불구하고 아름다움이 본질적으로 선과 연결되어 있다고 주장하는 이론을 만들어 냈습니다.
- 깊은 종교적 정서가 결여된 상류층 예술을 정당화하는 미학 이론은 기존의 권력 구조를 정당화하는 근거 없는 사회 이론을 반영합니다.
- 고대의 미학적 원리를 주장하면서 이 시기에는 더 이상 영적인 기능을 수행하지 않고 유럽의 부유하고 교육받은 엘리트들의 취향을 충족시키는 예술이 탄생했습니다.
- 진정한 기독교 사상과는 신학적으로 거리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교회 기독교와 관련된 예술은 사회적 신념에 충실하여 일부 계층만을 위한 현대 예술과 차별화되었습니다.
8장: "엘리트를 위한 예술"
- 예술의 잠재적 영향력에도 불구하고 많은 사람들이 '진짜' 예술은 상류사회만의 전유물이라고 잘못 생각하여 모든 민족이 향유하는 진정한 예술의 보편성을 무시하고 있습니다.
- 교회가 공인한 예술이 보편적 믿음을 잃은 이후, 유럽의 부유층을 위한 고상한 예술이 진정한 예술을 대체하고 실제 대중은 그들만의 문화적 형식을 유지했습니다.
- 진정한 예술로서의 현대 미술에 대한 신화는 지속되고 있지만, 생계를 위해 노동하는 고단한 대중에게는 여전히 접근하기 어려운 예술로 남아 있으며, 이는 중세 사회의 계층 간 단절을 반영합니다.
- 일부에서는 미래의 사회 재편으로 예술이 민주화될 수 있다고 주장하지만, 미묘한 예술을 생산하고 감상하는 능력의 불평등은 항상 존재할 것입니다.
- 노동자들의 경험과 이해와 단절된 교양 예술은 어떤 사회적 변화로도 무너뜨릴 수 없는 장벽을 세우고, 그러한 예술이 결코 보편적일 수 없음을 증명합니다.
제9장: "예술의 퇴폐"
- 유럽 상류층의 문화적 위기로 인해 예술은 쾌락의 도구가 되어 종교적 심오함을 잃고 인위적이고 배타적인 것이 되었습니다.
- 종교적 기반이라는 광범위한 후원자가 없는 퇴폐 예술은 교만, 에로티시즘, 인생의 비애와 같은 좁은 주제에 집중하면서 점점 더 사회의 악습에 부응하게 됩니다.
- 예술의 단순성과 쾌락에 대한 관심은 더 깊은 감정의 실체를 배제하면서 예술 르네상스를 종교와 멀어진 퇴행적 운동으로 규정했습니다.
- 교양 있는 소수만이 접근할 수 있는 퇴폐적 예술의 전제는 현대의 트렌드에 스며들어 대중이 이해할 수 없는 예술을 만들어내고 문화 경관에 불화를 심어주었습니다.
X장: "퇴폐 예술의 이해 불가능성"
- 예술의 이해 가능성에 대한 논쟁은 오해와 예술의 질을 동일시하여 일반적인 접근성과 예술적 완성도 사이의 상충되는 이해관계를 되살리고 있습니다.
- 서사시나 비유와 같은 고전적 내러티브는 보편적인 주제로 인해 여러 문화권에 걸쳐 공감을 불러일으키며, 새로운 예술이 효과적으로 소통하지 못한다고 해서 난해한 것으로 오해해서는 안 됩니다.
- 배타성이 커지면서 예술은 점점 더 편협한 인간 경험을 반영하게 되고, 결국 창작자 자신의 자기 확신에 찬 인식만을 전달하는 고독주의에 가까워질 수 있습니다.
- 예술이 난해한 형식과 내용으로 계속 소외되면서 진정한 예술은 보편적인 공감을 불러일으킨다는 전통적인 믿음에 도전하고, 예술가와 관객이 서로를 당황하게 만드는 문화가 절정에 달합니다.
제11장: "예술의 쇠퇴"
- 상류층을 위한 예술은 그 질이 떨어지고 더욱 모호해져 진정한 본질을 잃고 가짜 예술로 대체되었습니다.
- 진정한 예술은 강렬한 감정을 전달하고자 하는 인간의 욕구에서 비롯되지만, 상류층 예술은 오락에 대한 욕구가 동기가 되어 이러한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조작됩니다.
- 위조 예술가들이 사용하는 기법에는 차용, 모방, 눈에 띄는 효과 연출, 흥미를 유발하기 위한 노력 등이 포함되며, 이는 예술의 단순한 모방품 제작으로 이어집니다.
- 진정한 예술 작품은 진정한 감정적 깊이가 결여된 차용 또는 모방 형식의 작품과 달리 작가가 경험한 진정한 감정을 전달하며 전염성이 있습니다.
- 상류층 사이에서 위조 예술의 성공은 잘못된 시적, 예술적 장치의 수용으로 예시되며, 이는 진정한 예술적 취향과 원칙의 상실을 나타냅니다.
제12장: "거짓 예술로 이어지는 조건"
- 예술가들의 과도한 보수와 전문화는 진정성과 진정한 영감이 결여된 예술로 이어져 독창적이고 진심이 담긴 작품과는 크게 다른 예술이 탄생했습니다.
- 예술의 진정한 영향력에 덜 민감한 사람들이 종종 행하는 예술 비평은 영감이 없는 지적인 작품을 모범 예술로 옹호함으로써 대중의 취향을 타락시켰습니다.
- 미술 학교는 모방과 형식적인 창작을 가르치고, 진정한 예술적 표현을 억제하며, 위조 예술을 확산시키는 등 진정한 예술에 도움이 되기보다는 해를 끼칩니다.
- 이러한 영향은 위조 예술이 넘쳐나는 사회, 진정한 예술을 인식하지 못하는 사회, 예술이라는 허울을 유지하는 데 재정적, 문화적으로 투자하는 사회로 이어집니다.
제13장: "바그너 예술의 오류"
- 숭고하다고 칭송받는 리하르트 바그너의 음악은 가장 정교한 위조 예술의 예시일 뿐이며, 거짓 예술의 모든 기만적인 속임수를 동원하고 있습니다.
- 오페라에 시와 음악을 결합하려는 바그너의 시도는 예술적 자유를 제한하고 서로 다른 예술 형식의 부자연스러운 융합을 강요한다는 점에서 본질적으로 결함이 있습니다.
- 바그너의 작품은 정교한 무대와 음악적 복잡성에도 불구하고 진정한 예술의 필수 요소인 예술가의 진정한 감정이 관객에게 전염적으로 전달되는 것이 부족합니다.
- 바그너의 공연이 관객에게 최면과 같은 상태를 유도하는 것은 예술적 분별력의 상실을 보여주며, 비평가와 사회는 수준 높은 예술을 경험한다는 착각에 빠져 이러한 스펙터클을 지지하고 있습니다.
제14장: "진품과 위조 예술의 구별"
- 진정한 예술의 핵심 식별자는 예술가 자신의 감정을 관객에게 전달할 수 있는 능력이며, 이는 예술을 단순한 오락이나 지적 활동과 혼동하는 사회에서 놓치고 있는 특성입니다.
- 진정한 예술은 작가와 관객, 주제를 연결하는 인간애와 기쁨을 공유하는 감각을 만들어내는데, 이는 위조 예술에는 없는 특성이자 가식과는 무관한 특성입니다.
- 사회에서 소위 예술적 작품이 확산되면서 진정한 예술이 더 많이 탄생한 것이 아니라 오히려 예술적 감성과 감상이 쇠퇴하는 데 기여했습니다.
제15장: "예술의 전염성 조건"
- 진정한 예술은 예술가 개인의 분명하고 진실한 감정 표현에 의존하며, 예술의 전염성은 이러한 자질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어 있으며 진정한 예술의 리트머스 시험지입니다.
- 민중 예술이나 농민 예술의 진정성과 정서적 울림은 이기심에 의해 동기 부여 된 상류층 예술에서 종종 부족한 진정성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 모든 예술 작품의 가치는 주제에 관계없이 예술가의 감정을 전달하는 데 있어 개성, 명료성, 진정성의 존재와 균형에 의해 결정됩니다.
- 좋은 예술과 나쁜 예술을 구분하는 것은 기술적인 실행이 아니라 전염성과 예술가가 정당한 감정을 진실하게 표현하는지에 달려 있는 문제입니다.
제16장: "예술에서 무엇이 좋은 것이고 무엇이 나쁜 것인지 어떻게 결정할 수 있을까요?"
- 예술은 과거와 현재의 감정과 경험을 전달하여 인류를 완벽을 향해 이끄는 소통과 진보의 수단입니다.
- 예술을 통한 감정의 진화는 예술의 목적에 부합하는 더 친절하고 더 필요한 감정이 오래되고 덜 유익한 감정을 대체하는 과정입니다.
- 예술적 가치는 사회의 최고 선과 방향을 정의하는 한 시대의 지배적인 종교적 인식에 의해 결정됩니다.
- 역사적으로 널리 퍼진 종교적 인식을 조장하는 예술은 존경받는 반면, 시대에 뒤떨어진 신념을 반영하는 예술은 비난을 받아왔습니다.
- 모든 인간의 형제애에 대한 종교적 인식은 현대 미술 평가의 지침이 되고 있으며, 조화롭고 보편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예술이 가치 있게 평가되어야 함을 나타냅니다.
제17장: "인류 진보의 기관으로서의 예술"
- 예술의 목적이 왜곡되면서 사회는 진정한 예술 작품이 사라지고 대신 유해하고 사소하거나 기만적인 예술이 확산되어 사람들이 삶의 심각성에 대해 무감각해졌습니다.
- 위조 예술은 인간의 노동력과 생명을 낭비하고 예술가의 본질을 왜곡하는 동시에 인류의 발전에 의미 있는 기여를 하지 못합니다.
- 예술의 잘못된 방향은 부유층이 삶의 공허함과 공언한 인도주의 원칙에 어긋나는 것에 주의를 돌리게 함으로써 부유층의 방종한 생활방식을 지지합니다.
- 예술가들이 전통적인 영웅이나 도덕적 모범에 비해 불균형적인 칭찬과 보상을 받으면서 어린이와 일반 대중은 혼란을 겪습니다.
- 특정 철학적 운동은 예술의 일탈을 증폭시켜 선함보다 아름다움의 이상을 우선시하는데, 이는 유익한 사회 진보에 반하는 것입니다.
제18장: "진정한 예술의 결핍의 원인"
- 기독교의 가르침에 대한 잘못된 해석과 진정한 종교적 신념에 대한 헌신적이지 않은 태도가 예술가들을 잘못된 길로 이끌었습니다.
- 이러한 추세에도 불구하고 진정한 예술은 통합과 접근 가능한 보편적 경험을 옹호하는 종교적 인식을 포용하며 부상하고 있습니다.
- 예술은 인간의 경험을 통합하는 데 초점을 맞춘 참된 기독교 가르침에 대한 인정에서 비롯된 지도 원칙을 통해 번창할 수 있습니다.
제19장: "미래의 예술"
- 미래의 예술은 오늘날의 엘리트주의 예술에서 진화하는 것이 아니라 배타성보다는 접근성과 통합성을 포용하는 새로운 원칙에 기반할 것입니다.
- 예술은 계급이나 배경에 관계없이 모든 사람이 접근할 수 있는 가장 높은 종교적 인식인 화합과 형제애에 부합하는 감정을 전달할 것입니다.
- 더 넓은 범위와 더 단순한 형태로 미래의 예술은 모든 인류의 공감을 불러일으키고 현재의 예술 관행의 한계를 뛰어넘어 진보의 도구로 작용할 것입니다.
제20장: "결론"
- 진정한 예술과 과학은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예술은 과학적 진리를 감성으로 변환하여 인류의 진보를 이끌고 있습니다.
- 해로운 사회 구조를 강화하거나 비실용적인 지식을 추구하는 데 초점을 맞춘 현재의 잘못된 과학의 방향은 예술에 악영향을 미쳤습니다.
- 인류의 진정한 안녕과 발전을 위해서는 과학과 예술이 사랑과 형제애라는 기독교적 이상을 반영하도록 변화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 미래의 예술은 주의를 분산시키는 역할에서 사랑과 화합, 공동선을 바탕으로 사회를 형성하는 힘으로 전환하여 진정한 목적을 달성할 것입니다.
문장:
모든 것을 혼란스럽게 하는 아름다움의 개념을 제쳐둔다면 예술이란 무엇일까요? 아름다움의 개념을 제외하고 예술에 대한 가장 최근의 가장 이해하기 쉬운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예술은 동물의 세계에서도 발생하며 성적 욕망과 놀이 성향에서 비롯되는 활동(쉴러, 다윈, 스펜서), (1) 신경계의 즐거운 흥분을 동반하는 활동(그랜트 앨런). 이것이 생리학적-진화학적 정의입니다. (2) 예술은 인간이 느끼는 감정을 선, 색채, 움직임, 소리 또는 말을 통해 외적으로 표현하는 것이다(베론). 이것은 실험적인 정의입니다. 가장 최근의 정의(설리)에 따르면, (3) 예술은 어떤 영구적인 대상이나 지나가는 행동의 생산물로서, 생산자에게 적극적인 즐거움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그로부터 얻을 수 있는 개인적인 이익과는 별개로 다수의 관중이나 청중에게 즐거운 인상을 전달하기 위해 적합한 것"입니다. “What is art, if we put aside the conception of beauty, which confuses the whole matter? The latest and most comprehensible definitions of art, apart from the conception of beauty, are the following:—(1 a) Art is an activity arising even in the animal kingdom, and springing from sexual desire and the propensity to play (Schiller, Darwin, Spencer), and (1 b) accompanied by a pleasurable excitement of the nervous system (Grant Allen). This is the physiological-evolutionary definition. (2) Art is the external manifestation, by means of lines, colours, movements, sounds, or words, of emotions felt by man (Véron). This is the experimental definition. According to the very latest definition (Sully), (3) Art is “the production of some permanent object or passing action, which is fitted not only to supply an active enjoyment to the producer, but to convey a pleasurable impression to a number of spectators or listeners, quite apart from any personal advantage to be derived from it.”
설명:
이 문단은 아름다움에 초점을 맞춘 전통적인 예술관에서 보다 현대적인 해석으로의 전환을 요약하는 중요한 문단입니다. 연사는 독자들에게 아름다움을 제쳐두고 다른 관점에서 예술을 평가하도록 초대합니다. 생리적 진화론적 정의에 따르면 예술은 동물계에서 볼 수 있는 본능적 행동에서 비롯됩니다. 실험적 정의는 예술이 감정을 표현하고 전달하는 방법이라는 것을 의미합니다. 마지막으로 설리의 최신 정의는 예술을 물질적 이익과 무관하게 창작자와 청중 모두에게 즐거움을 제공하는 창작물로 보고 있습니다. 이러한 새로운 관점은 단순히 미적 즐거움이나 아름다움을 제공하는 것을 넘어 개인 간의 소통과 연결의 한 형태로서 예술의 근본적인 역할을 강조합니다. 이러한 변화는 예술의 깊은 참여와 커뮤니티 구축 능력을 강조합니다.
비유와 사례:
감정이 인간의 경험에 필수적인 것처럼, 강과 하천이 여러 지역사회에 물을 공급하는 거대한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있다고 상상해 보세요. 예술을 바라보는 전통적인 관점은 예술이 주로 아름다움으로 평가받는 것처럼 강의 미학, 즉 물의 투명도나 강둑의 형태에 초점을 맞춥니다. 그러나 이 정의는 예술이 감정을 전달하고 사람들을 연결하는 것과 같이 물이 대지에 영양을 공급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을 강조합니다. 작곡가가 가슴 아픈 감정을 울리는 멜로디를 작곡할 때, 그는 강물이 메마른 땅에 물을 공급하듯 원초적인 감정을 음악적 형태로 전달하는 것입니다. 청취자들은 강변에 모인 사람들처럼 이 감성을 받아들입니다. 그들은 멜로디에서 아름다움만 찾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사랑과 상실 경험에 대한 공감을 찾습니다. 이러한 변화의 과정은 개인의 이익이 아니라 강이 그 본성대로 강에 닿는 모든 것들에 혜택을 주는 것처럼 개인의 이익이 아니라 인류의 공유된 조건에서 비롯됩니다.
문장:
어떤 인간 활동을 정의하기 위해서는 그 의미와 중요성을 이해할 필요가 있습니다. 그리고 그렇게 하기 위해서는 그 활동을 단순히 우리가 얻을 수 있는 쾌락과 관련해서가 아니라 그 활동 자체, 원인에 대한 의존성, 그리고 그 효과와 관련해서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 어떤 활동의 목적이 단지 우리의 쾌락이라고 말하고 그 쾌락에 의해서만 그 활동을 정의한다면, 그 정의는 분명히 잘못된 정의가 될 것입니다. 그러나 이것이 바로 예술을 정의하려는 노력에서 일어난 일입니다. 이제 음식 문제를 생각해 보면, 음식의 중요성이 음식을 먹을 때 느끼는 쾌락에 있다고 단언하는 사람은 아무도 없을 것입니다. 미각의 만족이 음식의 장점에 대한 정의의 근거가 될 수 없으며, 따라서 우리가 익숙하고 우리를 기쁘게 하는 카이엔 고추, 림버그 치즈, 술 등을 곁들인 저녁 식사가 최고의 인간 음식이라고 전제할 권리가 없다는 것을 누구나 이해합니다. “In order to define any human activity,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its sense and importance. And, in order to do that, it is primarily necessary to examine that activity in itself, in its dependence on its causes, and in connection with its effects, and not merely in relation to the pleasure we can get from it. If we say that the aim of any activity is merely our pleasure, and define it solely by that pleasure, our definition will evidently be a false one. But this is precisely what has occurred in the efforts to define art. Now, if we consider the food question, it will not occur to anyone to affirm that the importance of food consists in the pleasure we receive when eating it. Everyone understands that the satisfaction of our taste cannot serve as a basis for our definition of the merits of food, and that we have therefore no right to presuppose that the dinners with cayenne pepper, Limburg cheese, alcohol, etc., to which we are accustomed and which please us, form the very best human food.”
설명:
이 구절은 단순한 즐거움을 넘어 예술의 본질과 의미를 이해해야 함을 강조합니다. 화자는 음식의 맛에서 오는 즐거움만으로 음식의 가치를 판단하지 않듯이, 예술을 예술이 가져다주는 즐거움으로 정의하는 환원주의적 접근 방식을 비판합니다. 예술은 음식과 마찬가지로 더 깊은 기능을 수행하며 인간에게 더 광범위한 영향을 미친다는 의미입니다. 이 글은 예술의 기원과 인간과 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해야 하며, 예술이 제공하는 즉각적인 만족감에만 시야를 한정해서는 안 된다고 주장합니다. 예술의 역할을 진정으로 이해하려면 음식의 영양가와 사회적 역할을 맛으로만 평가할 것이 아니라 예술의 본질적인 특성과 예술이 인간의 경험을 반영하고 형성하는 방식을 고려해야 합니다.
비유와 사례:
음식이 신체에 영양분을 공급하는 것처럼 예술을 인간 정신에 영양분을 공급하는 원천으로 생각해 보세요. 음식의 영양 성분을 고려하지 않고 맛으로만 음식의 가치를 정의한다면, 당장의 즐거움에도 불구하고 결국 건강을 해치는 식단을 즐기게 될 수도 있습니다. 마찬가지로 예술의 가치를 달콤한 디저트의 순간적인 만족감처럼 예술이 주는 즐거움으로만 정의하면 예술이 마음과 영혼에 영양을 공급하는 중요한 방식을 놓치게 됩니다. 예를 들어, 감동을 주는 소설이나 생각을 자극하는 영화는 전통적인 의미의 '즐거움'을 제공하지 않을 수도 있고, 슬픔이나 불편함을 불러일으킬 수도 있지만, 우리의 이해와 공감을 풍부하게 하여 개인의 성장을 촉진한다는 점에서 귀중한 가치가 있습니다. 쓴맛이 나는 채소와 달콤한 과일이 모두 포함된 균형 잡힌 식단처럼, 예술에 대한 균형 잡힌 감상은 예술이 제공하는 다양한 정서적, 지적 영양소를 고려하여 보다 건강하고 총체적인 문화 식단을 조성합니다.
문장:
인간은 자기보다 앞선 인간이 잉태한 사상을 받아들이고, 자기 안에서 생겨난 사상뿐만 아니라 타인으로부터 동화시킨 사상을 동시대인과 후손에게 전수하는 능력이 부족했다면, 예술을 통해 타인의 감정에 감염될 수 있는 인간의 능력 덕분에 동시대인이 살아가고 있는 모든 것, 수천 년 전 인간이 경험한 감정에 접근할 수 있으며, 자신의 감정을 타인에게 전달할 수 있는 가능성도 갖게 된 것이다. 어떤 사람이 자신의 외모나 그 감정을 경험하는 바로 그 순간에 내뱉는 소리로 다른 사람이나 타인에게 직접적으로, 즉시, 감염시킨다면, 자신이 하품을 할 수밖에 없는데도 다른 사람에게 하품을 하게 하거나, 자신이 웃거나 울 수밖에 없는데도 웃거나 울게 하거나, 자신이 고통받는데도 고통스럽게 한다면 그것은 예술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예술은 한 사람이 다른 사람이나 다른 사람을 하나의 동일한 느낌으로 자신과 결합시키는 대상을 가지고 그 느낌을 특정 외부 표시로 표현할 때 시작됩니다.... 따라서 예술의 활동은 언어의 활동만큼이나 중요하고 일반적으로 확산되는 가장 중요한 활동입니다. If people lacked this capacity to receive the thoughts conceived by the men who preceded them, and to pass on to their contemporaries and descendants the thoughts they have assimilated from others, as well as those which have arisen within himself; so, thanks to man’s capacity to be infected with the feelings of others by means of art, all that is being lived through by his contemporaries is accessible to him, as well as the feelings experienced by men thousands of years ago, and he has also the possibility of transmitting his own feelings to others. If a man infects another or others, directly, immediately, by his appearance, or by the sounds he gives vent to at the very time he experiences the feeling; if he causes another man to yawn when he himself cannot help yawning, or to laugh or cry when he himself is obliged to laugh or cry, or to suffer when he himself is suffering - that does not amount to art. Art begins when one person, with the object of joining another or others to himself in one and the same feeling, expresses that feeling by certain external indications... And therefore the activity of art is a most important one, as important as the activity of speech itself, and as generally diffused.
설명:
이 섹션에서는 예술이 언어와 마찬가지로 시간과 개인의 경험을 뛰어넘는 중요한 의사소통 수단으로 작용한다는 점을 강조합니다. 감정을 전달하고 불러일으키는 능력은 단순한 표현을 예술로 변화시키는 요소입니다. 하품과 같이 전염될 수 있는 무의식적인 반응과 달리, 예술은 더 깊은 느낌이나 경험을 다른 사람들과 공유하기 위한 의식적인 노력입니다. 이 발췌문은 예술의 토대가 다양한 시대와 사회에 걸쳐 인간을 연결하는 공유 경험이라는 점을 지적합니다. 이는 예술을 통한 인간 경험의 연속성과 연결성을 강조하며, 감정과 관점의 심오한 교류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사회의 유지와 발전에 있어 예술의 역할을 뒷받침합니다.
비유와 사례:
예술을 개인적 경험의 땅과 집단적 인간 의식의 땅이라는 두 개의 분리된 땅을 연결하는 다리라고 생각해 보세요. 다리를 통해 서로 다른 편에 있는 사람들이 만나서 공유할 수 있는 것처럼, 예술은 개인의 내적 경험을 다른 사람들이 만날 수 있는 공동의 공간으로 건너가게 해줍니다. 예를 들어, 반 고흐와 같은 화가가 '별이 빛나는 밤'과 같은 그림을 그릴 때, 그는 자신의 격동적인 감정적 풍경에서 우리의 감정적 풍경으로 다리를 놓는 것입니다. 그의 그림을 보는 사람들은 그가 겪은 어려움을 겪지 않았을 수도 있지만, 소용돌이치는 색채의 다리를 건너면서 경이로움이나 슬픔과 같은 감정에 감동하여 그의 감정에 동참할 수 있습니다. 이 공동의 감정적 공간은 수 세기에 걸쳐 떨어져 있던 사람들이 예술이라는 매체를 통해 인간 경험의 가장 깊은 측면을 함께 나눌 수 있는 시대를 초월한 포럼과도 같은 곳입니다.
문장:
한 번 경험한 감정을 움직임, 선, 색채, 소리, 또는 말로 표현된 형태를 통해 스스로 불러일으켜 다른 사람들도 같은 감정을 경험할 수 있도록 전달하는 것, 이것이 바로 예술의 활동입니다. 예술은 한 인간이 의식적으로 어떤 외적 징후를 통해 자신이 겪은 감정을 다른 사람에게 전달하고, 다른 사람이 그 감정에 감염되어 그 감정을 경험하는 것으로 구성된 인간 활동입니다. 예술은 형이상학자들이 말하는 것처럼 아름다움이나 신에 대한 어떤 신비한 관념의 발현이 아니며, 심미적 생리학자들이 말하는 것처럼 인간이 저장된 과도한 에너지를 발산하는 게임이 아니며, 외적 기호에 의한 인간의 감정 표현이 아니며, 즐거운 대상의 생산이 아니며, 무엇보다도 쾌락이 아니라 인간을 같은 감정으로 하나로 묶어주는 결합의 수단이며, 개인과 인류의 삶과 복지를 향한 진보에 필수 불가결한 요소이다. To evoke in oneself a feeling one has once experienced, and having evoked it in oneself then, by means of movements, lines, colours, sounds, or forms expressed in words, so to transmit that feeling that others may experience the same feeling—this is the activity of art. Art is a human activity, consisting in this, that one man consciously, by means of certain external signs, hands on to others feelings he has lived through, and that other people are infected by these feelings, and also experience them. Art is not, as the metaphysicians say, the manifestation of some mysterious Idea of beauty, or God; it is not, as the æsthetical physiologists say, a game in which man lets off his excess of stored-up energy; it is not the expression of man’s emotions by external signs; it is not the production of pleasing objects; and, above all, it is not pleasure; but it is a means of union among men, joining them together in the same feelings, and indispensable for the life and progress towards well-being of individuals and of humanity.
설명:
이 구절은 예술이 인류에게 진정으로 의미하는 바의 핵심을 깊이 파고듭니다. 화자는 예술을 예술가의 개인적 표현을 초월하여 그것을 받아들이는 모든 사람에게 보편적으로 공명하는 심오한 감정 전달의 매개체로 묘사하고 있습니다. 예술은 아름다움이나 쾌락의 개념에 갇히거나 정의되지 않고 다양한 개인의 정서적 경험을 연결하는 필수적인 다리로 간주되어 인류가 공유하는 경험을 담는 그릇이 됩니다. 이러한 관점은 예술을 공감과 공동체적 이해를 증진하는 데 유용한 도구로 효과적으로 구성하여 예술을 개인의 즐거움을 넘어 집단적 인간 여정과 행복의 기본 요소로 끌어올립니다.
비유와 사례:
예술을 전파가 아닌 감정의 주파수를 통해 신호를 보내는 무선 송신탑과 같은 강력한 송신기라고 생각해보세요. 베토벤 교향곡 9번을 들으면 작곡가의 승리와 기쁨에 대한 심오한 감정이 과거로부터 전해지고, 듣는 사람은 이러한 감정에 동조하여 현재 순간에도 생생하게 경험하게 됩니다. 이 음악을 듣는 모든 사람은 감정적 연속성의 사슬로 연결되어 시간을 초월하여 울려 퍼지는 인류애의 교향곡에 참여하게 됩니다. 바람에 씨앗을 퍼뜨리는 나무처럼, 예술의 나무는 감정의 씨앗을 널리 퍼뜨려 수용적인 마음의 비옥한 토양에 뿌리를 내리고 서로 연결된 영혼의 숲을 가꾸어 나갑니다. 이 은유에서 예술은 단순히 하나의 나무가 아니라 인간의 연결과 공동 성장의 전체 생태계를 의미합니다.
문장:
예술가가 다른 사람을 감염시키는 감정은 매우 강하거나 매우 약하거나, 매우 중요하거나 매우 사소하거나, 매우 나쁘거나 매우 좋은 등 매우 다양할 수 있습니다: 조국에 대한 사랑, 드라마에서 표현되는 운명이나 신에 대한 자기 헌신과 복종, 소설에서 묘사되는 연인의 황홀경, 그림에서 표현되는 풍만한 느낌, 개선 행진곡에서 표현되는 용기, 춤에서 느껴지는 환희, 재미있는 이야기에서 느껴지는 유머, 저녁 풍경이나 자장가가 전하는 고요함, 아름다운 아라베스크에서 느껴지는 감탄 등 모든 것이 예술입니다. 작가가 느낀 감정에 관객이나 감상자만 감염된다면 그것은 예술입니다. The feelings with which the artist infects others may be most various—very strong or very weak, very important or very insignificant, very bad or very good: feelings of love for native land, self-devotion and submission to fate or to God expressed in a drama, raptures of lovers described in a novel, feelings of voluptuousness expressed in a picture, courage expressed in a triumphal march, merriment evoked by a dance, humour evoked by a funny story, the feeling of quietness transmitted by an evening landscape or by a lullaby, or the feeling of admiration evoked by a beautiful arabesque—it is all art. If only the spectators or auditors are infected by the feelings which the author has felt, it is art.
설명:
이 섹션에서는 예술의 본질은 예술가의 다양한 감정적 경험을 관객에게 전달하는 능력에 있다고 주장합니다. 예술을 통해 전달할 수 있는 다양한 감정을 강조하면서 예술이 반드시 긍정적이거나 전통적으로 아름다운 감정에 관한 것이어야 한다는 제한적인 시각을 거부합니다. 그 대신, 예술은 감정의 정확한 성격과 관계없이 정서적 영향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이 정의는 예술 작품의 구체적인 내용이나 형식보다 창작자와 수용자 간의 교감의 강도를 중시하여 예술로 간주될 수 있는 범위를 확장함으로써 예술을 보편적인 감정의 언어로 자리매김하게 합니다.
비유와 사례:
요리사가 가장 매운 칠리 커리부터 가장 편안한 치킨 수프까지 다양한 요리를 만들어낸다고 상상해 보세요. 각 요리는 독특한 맛의 프로필을 가지고 있으며, 카레는 열정과 흥분을, 수프는 따뜻함과 위안을 주는 등 특정한 반응을 이끌어내도록 설계되었습니다. 이 비유에서 셰프의 요리 창작물은 예술가의 작품이며, 식사하는 사람은 관객입니다. 매운 카레의 짜릿함이나 수프의 포근함 등 특정한 감정적 반응이 '요리 예술'로서의 식사의 가치를 정의하는 것은 아닙니다. 중요한 것은 반응을 불러일으키고, 식사하는 사람들이 심오하거나 기억에 남는 무언가를 느낄 수 있도록 하는 셰프의 능력입니다. 마찬가지로 예술은 그것이 이끌어내는 특정한 감정이 아니라 우리를 느끼게 하고, 예술가의 경험 및 우리가 공유하는 인간 조건과 연결되는 방식으로 우리를 감동시키는 힘에 의해 가치가 평가됩니다.
문장:
그런데 어떻게 고대에는 그저 용인될 뿐이었던 바로 그 예술이 우리 시대에는 즐거움만 준다면 변함없이 좋은 것으로 간주될 수 있게 되었을까요? 그 원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예술의 가치(즉, 예술이 전달하는 감정)에 대한 평가는 삶의 의미에 대한 인간의 인식에 달려 있으며, 삶의 선과 악을 무엇이라고 생각하느냐에 따라 달라집니다. 그리고 무엇이 선이고 무엇이 악인지는 종교라고 불리는 것에 의해 정의됩니다. 인류는 삶에 대한 더 낮고 부분적이며 모호한 이해에서 보다 일반적이고 명료한 이해로 끊임없이 전진하고 있습니다. But how could it happen that that very art, which in ancient times was merely tolerated (if tolerated at all), should have come, in our times, to be invariably considered a good thing if only it affords pleasure? It has resulted from the following causes. The estimation of the value of art (i.e. of the feelings it transmits) depends on men’s perception of the meaning of life; depends on what they consider to be the good and the evil of life. And what is good and what is evil is defined by what are termed religions. Humanity unceasingly moves forward from a lower, more partial, and obscure understanding of life, to one more general and more lucid.
설명:
이 인용문은 예술의 진화와 당시의 지배적인 도덕적, 종교적 신념 사이의 깊은 연관성을 강조합니다. 이 글은 예술이 한 시대의 지배적인 이데올로기의 저류를 반영하는 사회적 거울 역할을 하면서 어떻게 견뎌왔는지에 대한 역사적 고찰을 제시합니다. 이 구절은 예술이 단순한 쾌락의 원천이 아니라 그 시대의 가치와 집단 의식을 담는 그릇이라는 저자의 핵심 주장을 강조합니다.
비유와 사례:
예술을 인류 역사의 풍경을 관통하며 흘러온 강이라고 상상해 보세요. 고대에는 사람들의 삶과 도덕에 대한 이해가 덜 발달했기 때문에 이 강은 좁게 흐르고 때로는 숨겨지거나 낙인찍혀서 하늘을 비추는 물빛이 선명하지 않았습니다.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종교적, 철학적 신념이 강 유역을 확장하여 강물을 맑고 깨끗하게 정화했습니다. 예술의 강은 시대의 도덕적 나침반을 통합하고 그 시대를 지배했던 종교적 신념에 의해 정의된 선함을 보여 주면서 더 명료한 하늘을 반영하기 시작했습니다. 예를 들어, 성당의 종교 벽화는 장식적인 역할을 넘어 기독교의 이야기와 가치를 일반 대중에게 전달하여 당시의 도덕적 신념과 가르침을 강화하고 전파하는 예술적 표현의 역할을 했습니다. 예술은 인류의 가장 깨달은 사람들이 이해한 삶의 의미를 명확하게 표현하는 매개체가 되었습니다.
문장:
유대인들이 그랬던 것처럼 종교가 삶의 의미를 한 신을 숭배하고 그분의 뜻으로 여겨지는 것을 성취하는 데 둔다면, 선지자들의 시, 시편, 창세기의 서사시를 통해 성공적으로 전달된 그 신과 그분의 법에 대한 사랑에서 흘러나오는 감정은 선하고 높은 예술입니다. 이에 반대되는 모든 것, 예를 들어 이방 신에 대한 헌신적인 감정이나 하나님의 법과 양립할 수 없는 감정의 전달은 나쁜 예술로 간주될 것입니다. If the religion places the meaning of life in worshipping one God and fulfilling what is regarded as His will, as was the case among the Jews, then the feelings flowing from love to that God, and to His law, successfully transmitted through the art of poetry by the prophets, by the psalms, or by the epic of the book of Genesis, is good, high art. All opposing that, as for instance the transmission of feelings of devotion to strange gods, or of feelings incompatible with the law of God, would be considered bad art.
설명:
이 인용문은 사회에서 종교와 예술의 가치 평가 사이의 본질적인 연관성을 설명합니다. 한 사회의 지배적인 종교적 견해와 일치하는 예술은 '좋은' 또는 '높은' 예술로 간주되는 반면, 이러한 견해에서 벗어난 예술은 '나쁜' 예술로 분류된다는 개념을 설명합니다. 저자는 예술에 대한 감상이 예술이 해석되는 종교적, 도덕적 맥락과 분리될 수 없음을 시사하고 있습니다.
비유와 사례:
중세 시대에 만들어진 스테인드글라스 창을 생각해 보세요. 이 창은 단순한 장식 예술품이 아니라 성경의 이야기와 가르침을 보여주는 당시의 종교적 정신이 담긴 내러티브 패널입니다. 예술이 언어라면 이 스테인드글라스 창문은 빛과 색채로 하나님의 영광을 이야기하는 웅변적인 시이며, 널리 퍼진 신념 체계와 공명합니다. 반대로 일신교를 신봉하는 사회에서 이교도 신에게 헌정된 조각품은 미적 가치가 부족해서가 아니라 지배적인 종교적 내러티브와 어긋난다는 이유로 비판을 받고 무시당할 수 있습니다. 이 창문과 조각품은 예술이 현대적 가치의 틀 안에 깊이 자리 잡고 있으며, 집단적 신념 체계를 강화하거나 도전하는 역할을 한다는 개념에 대한 증거로 서 있습니다.
문장:
1세기의 기독교는 그리스도에 대한 사랑, 그의 삶에 대한 감동, 그의 모범을 따르고자 하는 열망, 세속적 삶의 포기, 겸손, 타인에 대한 사랑을 불러일으키는 전설, 성인의 삶, 설교, 기도, 찬송만을 좋은 예술 작품으로 인정했고, 개인적인 즐거움을 전달하는 모든 작품은 나쁜 것으로 간주하여 거부했다: 예를 들어, 조형적 표현은 상징적인 경우에만 용인하고 모든 이교도 조각품은 거부했다. The Christianity of the first centuries recognized as productions of good art, only legends, lives of saints, sermons, prayers and hymnsinging, evoking love of Christ, emotion at his life, desire to follow his example, renunciation of worldly life, humility, and the love of others; all productions transmitting feelings of personal enjoyment they considered to be bad, and therefore rejected: for instance, tolerating plastic representations only when they were symbolical, they rejected all the pagan sculptures.
설명:
이 구절은 초기 기독교 사회의 규범과 교리가 '좋은' 또는 '나쁜' 예술로 간주되는 것에 어떻게 큰 영향을 미쳤는지를 강조합니다. 저자는 예술의 가치는 기독교의 가르침과 일치하고 영적 관조와 경건한 감정을 불러일으키는 능력에 따라 결정되었다고 말합니다. 이 인용문은 예술의 궤적과 사회적 수용성을 결정하는 데 중추적인 역할을 해온 상황적 종교 이데올로기에 의해 예술이 어떻게 형성되어 왔는지에 대한 역사적 관점을 제공합니다.
비유와 사례:
초기 기독교 시대의 예술을 특정 유형의 식물, 즉 기독교적 미덕과 내러티브를 상징하는 식물만 재배하고 가꾸는 정원으로 상상해 보세요. 이 정원에는 성인들의 이야기와 기독교 교리의 원리를 상징하는 꽃이 가득하고, 각 꽃은 헌신과 희생, 경건의 향기를 발산합니다. 반면, 개인적인 향락의 향기를 풍기거나 기독교가 아닌 신을 묘사한 식물은 꽃이 아닌 잡초로 간주되어 뿌리째 뽑혀 버려졌습니다. 마찬가지로 당시의 장인들은 기독교 정신을 반영하는 작품만을 '재배'했으며, 아무리 훌륭한 조각품이라도 기독교 교리가 소중히 여기는 상징적인 덕목을 표현하지 않는다면 정원에 놓일 자리를 찾지 못했습니다. 예술에 대한 이러한 접근 방식은 이미지가 그 자체로 목적이 아니라 신앙의 강화를 위한 수단으로 사용되는 문화를 형성했습니다.
문장:
두 번째 결과는 소수의 사람들만 바라보게 되면서 형식의 아름다움을 잃고 영향을 받아 모호해졌다는 것이고, 세 번째이자 가장 중요한 결과는 자연스럽거나 진지하지 않고 철저하게 인위적이고 두뇌에 의해 만들어졌다는 것입니다. 첫 번째 큰 결과는 예술이 예술에 적합한 무한하고 다양하며 심오한 종교적 주제를 박탈당했다는 것입니다. 주제의 빈곤이 뒤따랐던 이유는 그것만이 인간이 이전에 경험하지 못한 신선한 감정을 전달하는 진정한 예술 작품이기 때문입니다. The second result was that having only a small circle of people in view, it lost its beauty of form and became affected and obscure; and the third and chief result was that it ceased to be either natural or even sincere, and became thoroughly artificial and brainspun. The first great result was that art was deprived of the infinite, varied, and profound religious subjectmatter proper to it. The impoverishment of subjectmatter followed because only that is a true work of art which transmits fresh feelings not before experienced by man.
설명:
이 인용문에서 저자는 예술이 편협하게 정의된 청중을 대상으로 할 때 예술의 질이 저하된다는 점을 강조합니다. 예술은 인간의 감정과 경험을 진정성 있게 표현하는 것에서 벗어나면 보편적인 매력을 잃고 복잡하고 불성실해집니다. 여기서 저자는 예술의 진정한 가치, 즉 새롭고 독창적인 감정을 불러일으키고 광범위하게 공유되는 인간의 경험에 대해 이야기할 수 있는 예술의 힘에 대해 심오한 통찰을 제시합니다.
비유와 사례:
예술의 발전을 강의 여정에 비유해 봅시다. 원래 이 강은 광활하고 영적인 대수층에서 발원하여 넓게 뻗어나가며 인간과 신의 영역에 대한 심오하고 다양한 통찰을 반영하는 신선하고 맑은 물로 모든 기슭에 닿습니다. 그러나 이 강이 좁아지고 소수의 특권층을 위해 건설된 좁은 운하를 통해 흐르게 되면서 강물은 혼탁해지고 빛의 반사가 왜곡됩니다. 강이 소수의 엘리트들을 위해 흐르게 되면서 강은 더 이상 주변 토지를 관개하거나 모두에게 생명과 재충전의 원천이 될 수 없게 됩니다. 강이 좁은 강바닥에 갇혀 생명력을 잃는 것처럼, 예술도 인류 전체의 공감을 불러일으킬 수 있는 자연스럽고 진솔한 표현을 버리고 고립된 집단의 취향만을 충족시키기 위해 만들어질 때 생명력 있는 신선함과 보편적인 매력을 잃게 됩니다.
문장:
그리고 이 사람들 사이에서 인간의 종교적 감정을 표현하는 데 성공한 것이 아니라 그 아름다움에 비례하여, 즉 그것이 주는 즐거움에 따라 존경받는 예술이 자랐다는 것을 주목하자. 거짓이 드러난 교회 종교를 더 이상 믿을 수 없었고, 삶의 방식 전체를 비난하는 참된 기독교 가르침을 받아들일 수 없었던 이 부유하고 힘 있는 사람들은 종교적 삶의 개념 없이 좌초된 채 무의식적으로 삶의 의미를 개인적인 쾌락에 두는 이교도적 사물관으로 돌아갔습니다. And, let it be noticed, it was just among these people that there grew up an art esteemed not according to its success in expressing men’s religious feelings, but in proportion to its beauty,—in other words, according to the enjoyment it gave. No longer able to believe in the Church religion whose falsehood they had detected, and incapable of accepting true Christian teaching, which denounced their whole manner of life, these rich and powerful people, stranded without any religious conception of life, involuntarily returned to that pagan view of things which places life’s meaning in personal enjoyment.
설명:
저자는 예술에 대한 인식이 종교적 경외심에서 미적 아름다움과 개인적 쾌락의 추구로 바뀌고 있음을 제시합니다. 이러한 전환은 기독교 이전 또는 '이교도'의 가치를 연상시키는 보다 세속적이고 개인주의적인 세계관으로의 복귀를 의미합니다. 상류층 사이에서 종교적 교리로부터의 박탈이 어떻게 영적 또는 공동체적 풍요로움보다 개인적인 만족을 우선시하는 예술 문화로 이어졌는지에 대한 비판적 관찰입니다.
비유와 사례:
한 시대의 문화 풍경을 대극장이라고 상상해 보세요. 초기에 이 극장의 작품은 대본, 배우, 장면 하나하나가 종교적, 공동체적 가치를 반영하는 데 전념한 웅장한 도덕적 서사시였습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이 극장의 후원자들은 오래된 서사에 환멸을 느끼기 시작했고, 도덕적 내용과 상관없이 아름다움과 즐거움에 대한 그들의 취향에 맞는 공연을 요구하기 시작했습니다. 강력한 관객의 변덕에 반응하는 극장은 스펙터클과 미적 매력으로 가득 찬 엔터테인먼트를 무대에 올리기 시작하지만 한때 도덕적 삶에 대한 소중한 성찰은 없습니다. 극장의 레퍼토리 변화는 사회가 집단적이고 영적인 삶의 방식에서 개인주의적 쾌락 관념을 충족시키는 방식으로 초점을 옮기고 있음을 상징하며, 공동의 신념과 개인의 방종 사이에서 순환하는 문명의 역사적 썰물과 흐름을 반영합니다.
문장:
외형적으로는 여전히 교회 가르침의 형식을 고수하고 있었지만, 그들은 더 이상 그것을 믿을 수 없었고, 관성에 의해서만, 그리고 교회 교리를 맹목적으로 계속 믿고 있는 대중에게 영향을 미치기 위해서, 그리고 상류층이 자신들의 이익을 위해 그러한 믿음을 지지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대중에게 영향을 미치기 위해서만 그것을 고수하고 있었습니다. 그래서 교회 기독교가 모든 기독교인의 일반적인 종교적 교리가 되지 못하는 시대가 왔고, 일부 대중은 계속해서 맹목적으로 믿었지만 권력과 부, 따라서 예술을 생산할 수 있는 여유와 예술을 자극하는 수단을 손에 쥔 상류층은 그 가르침을 믿지 않게 되었습니다. If, in externals, they still kept to the forms of Church teaching, they could no longer believe in it, and held to it only by inertia and for the sake of influencing the masses, who continued to believe blindly in Church doctrine, and whom the upper classes, for their own advantage, considered it necessary to support in those beliefs. So that a time came when Church Christianity ceased to be the general religious doctrine of all Christian people; some—the masses—continued blindly to believe in it, but the upper classes—those in whose hands lay the power and wealth, and therefore the leisure to produce art and the means to stimulate it—ceased to believe in that teaching.
설명:
이 심오한 발췌문은 종교적 형식에 대한 외적 준수와 상류층의 내적 불신 사이의 이분법을 강조합니다. 이는 사회 상류층이 신앙의 모습을 유지하도록 영향을 준 은밀한 동기, 즉 대중에 대한 통제력을 행사하고 특권적 지위를 유지하려는 동기에 대해 이야기합니다. 저자는 궁극적으로 종교적 실천과 더 나아가 예술의 창작과 후원에서 진정성의 위기를 초래하는 엘리트층의 위선을 지적하고 있습니다.
비유와 사례:
교회의 가르침을 상징하는 웅장하고 오래된 배가 있고, 사회 구성원들이 선원이라고 상상해 보세요. 갑판의 손과 같은 대중은 배의 항로와 무결성을 믿으며 배에서 지칠 줄 모르고 일합니다. 그러나 상류층인 선장과 장교들은 배의 구조에 누수와 결함이 있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그들은 배를 수리하거나 고장난 상태를 인정하는 대신 자신들의 지위와 지휘권을 유지하기 위해 이러한 사실을 숨기기로 합니다. 선원들은 선실에서 새로운 모험을 계획하고, 사치품에 탐닉하고, 멋진 예술 작품을 의뢰해 선실을 장식하는 등 선원들을 이끄는 신앙과는 단절된 채 살아갑니다. 시간이 지나면서 한때 공동의 신념과 공동의 방향성을 상징하던 배는 진정한 리더십과 신념이 결여된 속 빈 강정이 되어버립니다. 공유된 미덕을 고양하는 데 사용되던 예술은 본래의 정신적 또는 공동체적 기능을 상실한 채 상류층의 부유함과 한가로운 여가를 반영하는 도구가 됩니다.
문장:
이 교회 기독교는 참된 기독교의 근본적이고 본질적인 입장, 즉 각 사람과 아버지의 직접적인 관계, 그에 따른 모든 사람의 형제애와 평등, 모든 종류의 폭력을 대신하는 겸손과 사랑의 대체를 인정하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오히려 그 반대의 입장을 취했다, 이교도 신화와 유사한 하늘의 위계를 세우고 그리스도, 동정녀, 천사, 사도, 성인, 순교자, 그리고 이러한 신들 자체뿐만 아니라 그들의 형상에 대한 숭배를 도입함으로써 교회와 그 의식에 대한 맹목적인 믿음을 가르침의 본질적인 요점으로 만들었습니다. This Church Christianity not only did not acknowledge the fundamental and essential positions of true Christianity,—the immediate relationship of each man to the Father, the consequent brotherhood and equality of all men, and the substitution of humility and love in place of every kind of violence—but, on the contrary, having set up a heavenly hierarchy similar to the pagan mythology, and having introduced the worship of Christ, of the Virgin, of angels, of apostles, of saints, and of martyrs, and not only of these divinities themselves, but also of their images, it made blind faith in the Church and its ordinances the essential point of its teaching.
설명:
이 작품은 교회가 진정한 기독교의 가르침에서 벗어난 것을 비판하며, 진정한 겸손과 사랑이 맹목적인 믿음과 위계질서를 강요하는 종교적 구조로 대체되었음을 강조합니다. 또한 그러한 가르침에서 비롯된 예술은 깊은 영적 연결이 아니라 교회의 권력을 꾸미기 위한 것임을 지적합니다. 저자는 예술과 교리를 통해 기독교의 핵심인 평등주의와 평화주의 철학을 권위주의와 맹목적인 우상숭배로 왜곡해 온 교회 기관에 도전합니다.
비유와 사례:
성당은 원래 모든 배경을 가진 사람들이 평등하고 겸손한 마음으로 함께 모일 수 있는 공간으로 설계된 예배당이라고 생각해 보세요. 그러나 이러한 관대한 비전은 결국 권위에 대한 기관의 욕망과 자신의 권력을 과시하려는 마술적 전시로 인해 가려집니다. 대성당은 웅장한 조각상과 그림으로 장식되어 있는데, 이는 신도들에게 순수한 신앙심을 불러일으키기보다는 교회의 힘과 위계질서를 상징하는 인물들의 화려함을 나타내기 위한 것입니다. 이러한 맥락에서 예술은 진정한 영적 교감을 위한 통로라기보다는 지배권을 주장하기 위한 도구가 됩니다. 원래 모두에게 그늘을 제공하기 위해 뿌리를 내린 나무가 선택적으로 그림자를 드리우도록 다듬고 모양을 만들 수 있는 것처럼, 교회는 넓은 가지 아래에서 일치와 친교라는 원래의 의도를 가리고 새롭고 변질된 목표를 위해 가르침과 그에 수반되는 예술적 표현을 구조화했습니다.
문장:
우리의 예술이 진정한 예술이라면 모든 사람이 그 혜택을 누려야 한다는 말에 대해, 현재 모든 사람이 기존의 예술을 이용하지 않는다면 그 잘못은 예술에 있는 것이 아니라 사회의 잘못된 조직에 있다는 것, 미래에 육체 노동이 부분적으로 기계에 의해 대체되고, 부분적으로 정당한 분배에 의해 가벼워지며, 예술 생산을 위한 노동이 교대로 이루어지는 상태를 스스로 상상할 수 있다는 것이 일반적인 대답이다; 어떤 사람들은 항상 무대 아래에 앉아 장식을 옮기고, 기계를 감고, 피아노나 프렌치 호른을 연주하고, 활자를 세팅하고 책을 인쇄할 필요는 없지만, 이 모든 일을 하는 사람들은 하루에 몇 시간만 종사하고 여가 시간에는 예술의 모든 축복을 누릴 수 있다는 것입니다. To the remark that if our art is the true art everyone should have the benefit of it, the usual reply is that if not everybody at present makes use of existing art, the fault lies, not in the art, but in the false organization of society; that one can imagine to oneself, in the future, a state of things in which physical labour will be partly superseded by machinery, partly lightened by its just distribution, and that labour for the production of art will be taken in turns; that there is no need for some people always to sit below the stage moving the decorations, winding up the machinery, working at the piano or French horn, and setting type and printing books, but that the people who do all this work might be engaged only a few hours per day, and in their leisure time might enjoy all the blessings of art.
설명:
저자는 '진정한 예술'은 보편적으로 접근할 수 있어야 한다는 가정을 다루며, 그러한 접근을 가로막는 장벽이 단지 사회 구조 때문이라는 생각에 이의를 제기합니다. 이 글은 기술 발전과 노동의 공평한 분배가 잠재적으로 예술에 대한 접근을 민주화할 수 있는 평등주의 사회에 대한 비전을 제시합니다. 이 이상적인 시나리오는 예술이 소수의 특권적 영역이 아니라 모두를 위한 공유된 문화유산이자 풍요로움의 원천이 되어야 하며, 엘리트주의적 현상에 근본적으로 반대한다고 가정합니다.
비유와 사례:
사회를 웅장한 연극이 공연되고 있는 거대한 극장으로 상상해 보세요. 현재 상황에서는 대부분의 관객은 좌석이 없고 소수의 관객만이 가장 좋은 좌석에서 공연을 즐깁니다. 나머지 관객인 스태프들은 무대 뒤에서 필요한 지원을 제공할 뿐, 직접 연극을 관람할 기회는 없습니다. 이 텍스트는 이 극장이 다르게 운영되는 미래를 제시합니다. 노동 집약적인 작업은 기계가 보조하고, 일감은 공정하게 배분되어 무대 뒤에서 지칠 줄 모르고 일하던 사람들이 객석에서 차례를 기다릴 수 있게 됩니다. 이 새로운 극장에서 예술은 모든 사람이 참여할 수 있는 놀이이며, 예술의 즐거움은 배급을 위해 희소화된 상품이 아니라 모두가 동등하게 경험할 수 있는 공동의 보물이라는 생각을 재확인합니다. 이 은유는 예술을 소비할 수 있는 특권을 누리는 소수만이 아니라 모든 사회 구성원에게 문화적 자양분을 공급해야 한다는 점을 고려하도록 촉구합니다.
문장:
거짓이 드러난 교회 종교를 더 이상 믿을 수 없었고, 삶의 방식 전체를 비난하는 참된 기독교의 가르침을 받아들일 수 없었던 부유하고 힘 있는 사람들은 종교적 삶의 개념 없이 좌초된 채 무의식적으로 삶의 의미를 개인적인 쾌락에 두는 이교도적 사물관으로 돌아갔다. 그리고 상류층 사이에서 '과학과 예술의 르네상스'라고 불리는, 실제로 모든 종교를 부정할 뿐만 아니라 종교가 불필요하다는 주장이 일어났습니다. No longer able to believe in the Church religion whose falsehood they had detected, and incapable of accepting true Christian teaching, which denounced their whole manner of life, these rich and powerful people, stranded without any religious conception of life, involuntarily returned to that pagan view of things which places life’s meaning in personal enjoyment. And then took place among the upper classes what is called the “Renaissance of science and art,” and which was really not only a denial of every religion but also an assertion that religion is unnecessary.
설명:
이 구절은 르네상스 시대와 그 이후에 유럽 엘리트들 사이에서 일어난 사상적 변화를 탐구하며, 전통적인 교회 신앙에 대한 믿음의 상실이 어떻게 세계관의 근본적인 변화로 이어졌는지를 묘사합니다. 이러한 변화는 인본주의와 개인적 만족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키며 사회적 가치와 예술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이 인용문은 종교적 신앙, 사회적 역학관계, 예술적 표현의 궤적 사이의 복잡한 연관성을 반영하여 삶의 목적에 대한 인식이 신정주의적 관점에서 인간 중심적 관점으로 역사적으로 재조정되었음을 지적합니다.
비유와 사례:
수세기 동안 벽으로 둘러싸인 정원, 즉 교회의 울타리 안에서 자라온 장엄한 나무 한 그루가 정원 관리인에 의해 엄격하게 지시되고 형성되었다고 상상해 보세요. 하지만 벽에 균열이 생기면서 외부 세계의 햇빛이 스며들었고, 정원 안의 사람들은 나무를 새로운 시각으로 바라보게 되었습니다. 교회의 도그마처럼 위압적이었던 벽은 점차 무시되고 나무는 자연스럽고 자유롭게 자랄 수 있게 되어 자신만의 형태와 넓이를 추구하게 됩니다. 새롭게 찾은 자유는 개인의 즐거움과 인본주의적 사고의 포용을 상징하며 나무의 결실에 영향을 미쳤습니다. 예술은 나무와 마찬가지로 엄격한 종교적 표현에서 자연 세계, 세속적 주제, 개인의 경험을 기념하는 것으로 진화했으며, 이는 르네상스 시대의 특징입니다. 화가들은 교회적인 주제뿐만 아니라 인간의 감정, 자연의 아름다움, 일상의 경험을 포착하기 시작했고, 신적인 것에서 인간적인 것으로의 극적인 전환을 예술적 노력의 중심 주제로 구현하기 시작했습니다.
문장:
우리가 가진 예술은 예술의 전부이며, 진정한 유일한 예술이지만, 인류의 3분의 2(아시아와 아프리카의 모든 민족)는 이 유일하고 최고의 예술에 대해 아무것도 모르고 살다가 죽습니다. 그리고 우리 기독교 사회에서도 우리가 예술의 전부라고 말하는 이 예술을 사용하는 사람은 거의 1퍼센트도 되지 않으며, 나머지 99퍼센트는 대대로 수고에 짓눌려 이 예술을 맛보지 못한 채 살아가고 죽으며, 더구나 이 예술은 얻을 수 있다고 해도 전혀 이해하지 못하는 성질을 지니고 있습니다. The art we have is the whole of art, the real, the only art, and yet twothirds of the human race (all the peoples of Asia and Africa) live and die knowing nothing of this sole and supreme art. And even in our Christian society hardly one per cent of the people make use of this art which we speak of as being the whole of art; the remaining ninetynine per cent live and die, generation after generation, crushed by toil and never tasting this art, which moreover is of such a nature that, if they could get it, they would not understand anything of it.
설명:
이 섹션에서는 사회와 사회 계층에 따른 예술에 대한 접근과 인식의 극명한 격차를 다룹니다. 저자는 서구 예술 형식이 가치 있는 예술의 전부라는 생각은 전 세계 인구의 다양한 예술적 표현을 무시하는 것이라고 비판합니다. 또한 이 글은 노동에 몰두하고 사회경제적 제약으로 인해 '예술의 전체'와 사실상 단절된 사회 내 대다수를 배제하는 것에 주의를 환기시킵니다.
비유와 사례:
예술을 호화로운 성에서 열리는 호화로운 연회라고 상상해 보세요. 이 연회는 최고급 요리와 가장 아름다운 음악을 자랑하며 문화의 전형으로 찬사를 받습니다. 손님이 모르는 사이에 성벽 너머에는 다양한 요리와 음악, 춤이 번성하는 광활한 세계가 존재하지만, 성 안의 사람들은 이러한 다양한 문화 유산을 간과하고 인식하지 못합니다. 또한 영지 주변의 들판에서는 수많은 사람들이 자신의 문화와 경험에 의해 형성된 다른 입맛에 맞춰져 있기 때문에 축제에 초대받지 못하거나 내부에서 축하하는 외국 음식을 감상하지 못한 채 수고하고 있습니다. 예술에 대한 이러한 접근 방식은 장벽을 쌓아 고립된 세계를 만들어 세계 곳곳에서 발견되는 예술의 풍요로움을 무효화하고, 노동의 짐을 짊어진 대다수의 사람들이 이 엄선된 예술의 향연에 참여할 수 없는 현실을 인정하지 못하도록 합니다.
문장:
그러나 우리가 인정할 수 없는 것을 인정하고, 예술(우리 사이에서 예술로 간주되는 예술)이 모든 사람들에게 접근될 수 있는 수단을 찾을 수 있다고 말하더라도, 유행 예술이 예술의 전부가 될 수 없다는 사실, 즉 그것이 사람들에게 완전히 이해될 수 없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또 다른 고려사항이 나타난다. But even were we to admit the inadmissible, and say that means may be found by which art (that art which among us is considered to be art) may be accessible to the whole people, another consideration presents itself showing that fashionable art cannot be the whole of art, viz. the fact that it is completely unintelligible to the people.
설명:
이 인용문에서 저자는 엘리트적이고 유행에 민감한 예술을 더 많은 대중이 접근하고 이해할 수 있게 만들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해 회의적인 입장을 표명하고 있습니다. 그는 예술의 내용이 대부분의 사람들이 일상적으로 경험하고 이해하는 것과 동떨어져 있다면 단순히 모든 사람이 예술을 물리적으로 이용할 수 있게 만드는 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대중과 동떨어진 예술은 예술의 사회적, 소통적 기능을 수행하는 진정한 예술의 한 형태로서 그 타당성에 의문을 제기하고 있습니다.
비유와 사례:
예술을 학자들 사이에서 난해한 담론에 갇혀 있는 복잡한 과학 이론에 비유해 봅시다. 이 이론이 일반 대중에게 기존의 형태 그대로 제공된다면, 사람들의 생활 현실과 연결되는 번역이나 설명이 없다면 이해할 수 없고, 따라서 그들과는 무관한 이론이 될 것입니다. 마찬가지로 상류 사회에서 탄생하여 배타성에 갇혀 일반인의 삶과는 거리가 먼 예술은 모든 가정의 벽에 걸려 있더라도 대중의 공감을 얻거나 이해받지 못할 수 있습니다. 논리학의 기본 원리나 만유인력의 법칙과 같은 진정한 보편적 예술은 개인의 배경이나 교육 정도에 관계없이 분명하고 이해할 수 있습니다. 보편적으로 이해되는 자연의 원리가 모든 인간 경험에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관찰 가능한 현상을 기반으로 하는 것처럼, 보편적 예술은 정서적, 미적 경험에 대한 인간의 본질적인 능력에 기반을 두고 있습니다.
문장:
1세기의 기독교는 그리스도에 대한 사랑, 그의 삶에 대한 감동, 그의 모범을 따르고자 하는 열망, 세속적 삶의 포기, 겸손, 타인에 대한 사랑을 불러일으키는 전설, 성인의 삶, 설교, 기도, 찬송만을 좋은 예술 작품으로 인정했고, 개인적인 즐거움을 전달하는 모든 작품은 나쁜 것으로 간주하여 거부했다: 예를 들어, 조형적 표현은 상징적인 경우에만 용인하고 모든 이교도 조각품은 거부했다. The Christianity of the first centuries recognized as productions of good art, only legends, lives of saints, sermons, prayers and hymnsinging, evoking love of Christ, emotion at his life, desire to follow his example, renunciation of worldly life, humility, and the love of others; all productions transmitting feelings of personal enjoyment they considered to be bad, and therefore rejected: for instance, tolerating plastic representations only when they were symbolical, they rejected all the pagan sculptures.
설명:
이 구절은 무엇이 "좋은" 예술인지에 대한 초기 기독교의 접근 방식에 대해 설명합니다. 당시에는 기독교적 미덕에 부합하는 도덕적, 영적 지침을 제공하는 예술을 높이 평가했습니다. 반면에 개인적인 쾌락을 조장하는 예술은 기독교가 장려하는 영적, 도덕적 발전에 기여하지 못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거나 "나쁜" 것으로 간주되었습니다. 이러한 묘사는 예술과 지배적인 사회적 가치 사이의 연관성에 대해 많은 것을 말해줍니다. 초기 기독교인들은 예술이 단순한 개인적 즐거움을 넘어 신성한 원칙과의 연결을 강화해야 한다고 믿었습니다.
비유와 사례:
예술이 영양을 공급하는 음식처럼 감상된다고 상상해 보세요. 초기 기독교적 맥락에서 영적 성장을 강화하는 예술은 신체의 성장과 유지에 필수적인 건강하고 건전한 음식과 같았습니다. 그리스도의 삶, 겸손, 형제애라는 주제는 전반적인 웰빙에 기여하는 단백질, 비타민, 미네랄과 같은 필수 영양소와 같았습니다. 반면에 개인의 쾌락을 강조하는 예술은 정크푸드와 같아서 당장은 만족감을 주지만 영양가가 거의 없거나 전혀 없으며 영적 건강을 해칠 가능성이 있습니다. 양심적인 영양사가 건강에 유익한 음식을 권장하고 해로운 간식을 멀리하는 것처럼, 초대 교회는 영적 건강을 유지, 증진하는 예술 작품을 지지하고 도덕적 타락을 초래하거나 참된 길에서 멀어지게 할 수 있는 예술 작품을 정죄했습니다.
문장:
불교도들처럼 삶의 의미를 동물성의 멍에에서 벗어나는 것으로 본다면, 영혼을 고양하고 육체를 낮추는 감정을 성공적으로 전달하는 예술은 좋은 예술이 될 것이고, 육체적 정욕을 강화하는 감정을 전달하는 것은 모두 나쁜 예술이 될 것이다. If the meaning of life is seen in freeing oneself from the yoke of animalism, as is the case among the Buddhists, then art successfully transmitting feelings that elevate the soul and humble the flesh will be good art, and all that transmits feelings strengthening the bodily passions will be bad art.
설명:
이 인용문은 육체적 욕망보다 정신적 깨달음을 우선시하는 불교의 가치관을 반영한 것입니다. 영적 고양과 육체적 욕망의 겸손이라는 감정을 전달하는 예술은 불교의 신념과 일치하므로 이 틀에서는 '좋은' 예술로 간주됩니다. 반대로 육체적 욕망을 강조하거나 미화하는 예술은 그러한 본능을 초월하려는 목적에 반하기 때문에 '나쁜' 것으로 간주됩니다. 저자는 예술이 미적 가치만으로 판단되는 것이 아니라 관찰자의 문화적, 종교적 신념과 얼마나 일치하는지에 따라 판단되는 방식을 강조합니다.
비유와 사례:
인간의 경험을 새의 여행으로 생각해 보세요. 불교에서는 새가 더 높이 날아 태양을 향해 도달하는 것이 목적이며, 이는 깨달음과 세속적 또는 "동물적" 제약으로부터의 자유를 상징합니다. 이 경우 예술은 새의 날개 아래에서 새를 위로 날아오르게 하는 바람의 역할을 합니다. 예술이 새를 원초적 충동의 무게로부터 해방시키는 감각을 전달할 때, 예술은 새의 비상을 지원하기 때문에 '선'으로 여겨집니다. 그러나 예술이 새를 지상으로 되돌려 세속적인 쾌락으로 유혹하는 돌풍과 비슷하다면, 새가 천상의 목적지로 향하는 것을 방해하기 때문에 '나쁜' 것으로 간주됩니다. 마찬가지로 명상 중인 부처를 묘사한 조각상은 평화와 초월적 열망을 불러일으키므로 '좋은' 예술로 간주됩니다. 반대로 매우 관능적인 조각품은 원초적인 열정을 자극하여 영적 탐구에 역행할 수 있으므로 이 패러다임에서는 '나쁜' 예술로 분류됩니다.
문장:
이 교회 기독교는 참된 기독교의 근본적이고 본질적인 입장, 즉 각 인간과 아버지의 직접적인 관계, 그에 따른 모든 인간의 형제애와 평등, 모든 종류의 폭력 대신에 겸손과 사랑을 대체하는 것을 인정하지 않았을뿐만 아니라 오히려 그 반대의 입장도 인정하지 않았습니다, 이교도 신화와 유사한 하늘의 위계를 세우고 그리스도, 동정녀, 천사, 사도, 성인, 순교자, 그리고 이러한 신들 자체뿐만 아니라 그들의 형상에 대한 숭배를 도입함으로써 교회와 그 의식에 대한 맹목적인 믿음을 가르침의 본질적인 요점으로 만들었습니다. This Church Christianity not only did not acknowledge the fundamental and essential positions of true Christianity,—the immediate relationship of each man to the Father, the consequent brotherhood and equality of all men, and the substitution of humility and love in place of every kind of violence—but, on the contrary, having set up a heavenly hierarchy similar to the pagan mythology, and having introduced the worship of Christ, of the Virgin, of angels, of apostles, of saints, and of martyrs, and not only of these divinities themselves, but also of their images, it made blind faith in the Church and its ordinances the essential point of its teaching.
설명:
저자는 교회 기독교 제도가 예수 그리스도께서 직접 가르치신 기독교 신앙의 기본 원칙에서 벗어났다고 비판합니다. 개인이 하나님과 직접적으로 연결되고 형제애와 겸손이라는 평등주의적 이상에서 교회를 주요 매개체로 삼는 경직된 예배 구조로 초점이 이동하여 교회의 교리에 대한 맹목적인 믿음을 강요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교회 기독교가 개인의 영적 관계와 도덕적 행위보다 위계와 의식을 강조하면서 기독교의 본래 메시지에서 벗어난 종교 및 예술 문화를 확립했다는 비판도 있습니다.
비유와 사례:
이러한 비판을 이해하기 위해 종교를 나무로 비유해 볼 수 있습니다. 나무의 핵심인 줄기와 가장 깊은 뿌리는 하나님에 대한 사랑, 인간 간의 평등과 형제애, 폭력보다 도덕적 덕목을 우선시하는 기독교의 중심 가르침을 나타냅니다. 그러나 기독교라는 나무가 성장하면서 위계질서와 경직된 교리를 상징하는 가지들이 뻗어나가면서 본래의 가르침의 핵심을 가리고 있습니다. 종교 예술과 예배를 상징하는 나뭇잎, 꽃, 열매는 예수의 순수한 가르침을 반영하여 신자들의 영혼에 영양분을 공급할 수 있었을 것입니다. 하지만 그 대신에 사람들의 시선을 하나님과의 개인적인 관계로 향하게 하기보다는 교회의 권위로 향하게 하는 세속적인 권력 구조와 의식의 수액이 스며들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종교적 의식과 도상학의 풍요로움은 아름다웠을지 모르지만, 저자가 언급하는 '참된 기독교'의 의도처럼 신자들에게 신과의 직접적이고 순수한 접촉을 지속시키는 데 도움이 되지는 못했습니다.
문장:
그리고 주목할 점은, 인간의 종교적 감정을 표현하는 데 성공한 것이 아니라 그 아름다움에 비례하여, 즉 그것이주는 즐거움에 따라 존경받는 예술이 성장한 것은 바로이 사람들 사이에서 자랐다는 것입니다. 거짓이 드러난 교회 종교를 더 이상 믿을 수 없었고, 삶의 방식 전체를 비난하는 참된 기독교의 가르침을 받아들일 수 없었던 부유하고 힘 있는 사람들은 종교적 삶의 개념 없이 좌초된 채 무의식적으로 삶의 의미를 개인적인 쾌락에 두는 이교도적 사물관으로 돌아갔습니다. 그리고 상류층 사이에서 '과학과 예술의 르네상스'라고 불리는, 실제로 모든 종교를 부정할 뿐만 아니라 종교가 불필요하다는 주장이 일어났습니다. And, let it be noticed, it was just among these people that there grew up an art esteemed not according to its success in expressing men’s religious feelings, but in proportion to its beauty,—in other words, according to the enjoyment it gave. No longer able to believe in the Church religion whose falsehood they had detected, and incapable of accepting true Christian teaching, which denounced their whole manner of life, these rich and powerful people, stranded without any religious conception of life, involuntarily returned to that pagan view of things which places life’s meaning in personal enjoyment. And then took place among the upper classes what is called the “Renaissance of science and art,” and which was really not only a denial of every religion but also an assertion that religion is unnecessary.
설명:
이 구절은 예술에 대한 감상이 종교적 관점에서 아름다움과 쾌락을 중심으로 한 미학적 관점으로의 역사적 전환을 강조합니다. 이러한 이데올로기적 전환은 부유하고 권력 있는 사회 구성원들이 교회의 전통적인 교리적 가르침이 자신들의 생활 방식과 맞지 않는다는 것을 깨닫고 거부하기 시작하면서 발생했습니다. 종교의 약속에 매혹된 이들은 삶과 예술의 아름다움을 찬양하던 기독교 이전 시대를 연상시키는 새로운 세계관을 갖게 되었습니다. 이는 지식과 예술에 대한 추구가 번성하고 예술이 종교적 정서를 전달하는 능력보다는 육체적 아름다움과 그것이 제공하는 즐거움에 더 큰 가치를 두었던 르네상스 시대에서 잘 드러납니다.
비유와 사례:
한 사회가 울창한 전통 정원이 있고, 모든 나무가 심어져 있고 모든 길이 종교적 상징성이 강한 곳, 즉 삶과 예술이 교회를 중심으로 돌아가는 중세의 세계라고 상상해 보세요. 그런데 갑자기 정원사들 중 일부, 즉 상류층이 정원을 다른 시각으로 바라보기 시작합니다. 그들은 각 식물과 조각품에 부여된 경직된 형태와 의미에 의문을 제기합니다. 그래서 그들은 새로운 생각과 창의성의 씨앗, 즉 과거의 씨앗과 인문학적, 자연적 아름다움의 씨앗을 심는 정원의 다른 부분을 가꾸기 시작합니다. 이 새로운 공간은 이국적이고 화려한 꽃들로 가득 차 독립적으로 번성하며 종교적 색채 없이 다양한 아름다움과 삶의 즐거움을 표현합니다. 이 정원은 종교적 헌신보다는 인간의 호기심과 미적 매력을 바탕으로 예술과 과학이 번성하는 르네상스의 중심지가 되었습니다. 사람들은 르네상스 정원의 매력에 이끌려 멀리서부터 찾아왔고, 엄격한 종교적 의미를 지닌 옛 정원은 그늘에 가려졌습니다.
문장:
이 교회 기독교는 참된 기독교의 근본적이고 본질적인 입장, 즉 각 인간과 아버지의 직접적인 관계, 그에 따른 모든 인간의 형제애와 평등, 모든 종류의 폭력을 대신하는 겸손과 사랑의 대체를 인정하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오히려 그 반대의 입장을 취했다, 이교도 신화와 유사한 하늘의 위계를 세우고 그리스도, 동정녀, 천사, 사도, 성인, 순교자, 그리고 이러한 신들 자체뿐만 아니라 그들의 형상에 대한 숭배를 도입함으로써 교회와 그 의식에 대한 맹목적인 믿음을 가르침의 본질적인 요점으로 만들었습니다. This Church Christianity not only did not acknowledge the fundamental and essential positions of true Christianity,—the immediate relationship of each man to the Father, the consequent brotherhood and equality of all men, and the substitution of humility and love in place of every kind of violence—but, on the contrary, having set up a heavenly hierarchy similar to the pagan mythology, and having introduced the worship of Christ, of the Virgin, of angels, of apostles, of saints, and of martyrs, and not only of these divinities themselves, but also of their images, it made blind faith in the Church and its ordinances the essential point of its teaching.
설명:
이 섹션에서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교회 기독교가 예수 그리스도가 지지한 원칙에서 어떻게 갈라졌는지를 비판적으로 살펴봅니다. 신과의 직접적인 교제, 형제애, 평등, 겸손, 사랑에 대한 참된 기독교의 강조는 신성한 인물뿐만 아니라 그들의 성상에 대한 위계와 숭배에 대한 제도적 초점으로 인해 가려졌습니다. 이러한 변화는 기독교 이전의 이교도 관습을 강하게 연상시키는 보다 의례적이고 의식적인 예배 형태로의 전환을 반영합니다. 초기 기독교 가르침의 개인적이고 내면적인 믿음보다는 교회의 권위에 대한 맹목적인 믿음이 중심이 되었습니다.
비유와 사례:
기독교를 예수 그리스도의 가르침이라는 순수한 샘에서 시작된 강이라고 생각해 보세요. 이 샘은 개인의 영성과 고결한 행동을 강조하면서 맑은 물을 제공했습니다. 강이 흐르고 세력을 얻으면서 기독교는 한 제국의 공식 종교가 되었고, 한때 맑았던 물에는 침전물과 쓰레기가 쌓이기 시작했습니다. 이 잔해는 교회가 쌓아 올린 교리 위계와 도상학의 층위를 상징하며, 고대 그리스 신들과 매우 흡사한 성인과 천사의 판테온을 가진 이교도들의 다신교적 관습과 유사합니다. 교회 신자들은 이제 더 이상 예수의 순수한 가르침이 아니라 일련의 의식과 성상 숭배를 통해 항해해야 하는 조직화된 종교의 탁한 물살을 헤쳐나가야 하는 강을 항해하고 있었습니다. 원래의 샘은 여전히 강으로 흘러들어가지만, 수세기에 걸친 교리 축적과 개인의 영적 여정보다 제도를 강조하는 의식에 의해 그 명료성이 희석된 채 수많은 지류 중 하나가 되었습니다.
문장:
그러나 우리가 허용할 수 없는 것을 인정하고, 예술(우리 사이에서 예술로 간주되는 예술)이 모든 사람들에게 접근될 수 있는 수단을 찾을 수 있다고 말하더라도, 유행 예술이 예술의 전부가 될 수 없다는 사실, 즉 그것이 사람들에게 완전히 이해할 수 없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또 다른 고려 사항이 제시된다. But even were we to admit the inadmissible, and say that means may be found by which art (that art which among us is considered to be art) may be accessible to the whole people, another consideration presents itself showing that fashionable art cannot be the whole of art, viz. the fact that it is completely unintelligible to the people.
설명:
인용된 부분은 문화 엘리트들이 존경하는 예술은 일반 대중이 이해할 수 없다는 개념을 다루고 있습니다. 저자는 물리적 접근성뿐만 아니라 지적, 정서적 접근성이 진정한 예술의 핵심 속성이라는 것을 암시합니다. 엘리트 집단에서 유행처럼 여겨지는 예술은 대중과 소통하고 공감하지 못하기 때문에 진정한 예술 전체를 대표할 수 없습니다. 이러한 관점에 따르면 예술의 본질은 보편성인데, 유행하는 예술에는 이 특성이 결여되어 있는 것처럼 보입니다.
비유와 사례:
그림 예술은 광대하고 다양한 커뮤니티에서 소통하기 위한 언어입니다. 문화 엘리트들이 사용하는 방언이 일반인이 알아들을 수 없을 정도로 난해하다면, 예술은 소수의 엘리트 집단이 다른 사람들이 해독할 수 없는 복잡한 암호화된 언어를 사용하는 것과 같습니다. 이제 예술의 본질이 수학이나 음악처럼 누구나 이해할 수 있는 보편적인 언어, 즉 모든 사람이 이해할 수 있는 기본 교리, 다양한 문화와 사회 계층에 걸쳐 공명하는 아름다움과 메시지라고 상상해 보세요. 예술이 소수만이 사용하는 암호화된 언어처럼 된다면, 예술은 보편성을 잃고 더 이상 다양한 인간 경험을 연결하는 가교 역할을 할 수 없게 됩니다. 이런 의미에서 유행하는 예술은 암호화된 메시지가 되어 열쇠를 가진 사람만 알아듣고, 열쇠가 없는 사람은 고립되고 소외되며, 궁극적으로 보편적 소통과 정서적 연결이라는 예술의 진정한 목적을 달성하지 못하게 됩니다.
문장:
이 미학 이론의 당파들은 그 진위를 확인하기 위해 그것이 자신들이 발명한 것이 아니라 사물의 본성 속에 존재했으며 고대 그리스인들도 인정했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러나 이 주장은 상당히 자의적인 것으로, 고대 그리스인들 사이에서 (기독교인에 비해) 도덕적 이상이 낮았기 때문에 선(τὸ ἀγαθόν)에 대한 개념이 미(τὸ καλόν)에 대한 개념과 뚜렷하게 구분되지 않았다는 사실 외에는 아무런 근거가 없습니다. The partisans of this aesthetic theory, in confirmation of its truth, affirmed that it was no invention of their own, but that it existed in the nature of things, and was recognised even by the ancient Greeks. But this assertion was quite arbitrary, and has no foundation other than the fact that among the ancient Greeks, in consequence of the low grade of their moral ideal (as compared with the Christian), their conception of the good, τὸ ἀγαθόν, was not yet sharply divided from their conception of the beautiful, τὸ καλόν.
설명:
이 구절에서 저자는 예술적 원리로서 아름다움은 보편적으로 내재되어 있으며 고대부터, 특히 그리스인들에 의해 그렇게 인식되어 왔다는 일부의 견해를 비판합니다. 이 미학 철학을 지지하는 사람들은 아름다움과 선의 융합이 문화적 구성물이 아니라 자연스럽고 부인할 수 없는 진리라고 주장합니다. 그러나 저자는 이것이 본질적인 진리보다는 고대 그리스 사회의 제한된 도덕적 관점에 근거한 잘못된 해석이라고 주장합니다. 그리스인들은 후대의 기독교 영향을 받은 사회처럼 도덕적 미덕과 미적 아름다움(선과 미)을 명확하게 구분하지 않았습니다. 이는 예술의 선함의 척도로서 미적 아름다움에 부여하는 가치가 보편적인 진리가 아니라 전통적으로 특정한 역사적 맥락에서 비롯된 문화적 관점임을 시사합니다.
비유와 사례:
예술과 도덕에 대한 인간 사상의 흐름을 상징하는 거대한 강이 있다고 상상해 보세요. 고대 그리스에서 이 강은 도덕(τὸ ἀγαθόν)과 미학(τὸ καλόν)의 지류를 거의 구분할 수 없을 정도로 매끄럽게 흘러갔습니다. 그리스인들에게 선과 미는 서로 밀접하게 얽혀 있는 지류였으며, 물리적, 철학적 형태에서 조화와 비례를 중시하는 사회에 영양분을 공급했습니다. 시간이 흐르고 기독교적 이상이 사회 규범에 영향을 미치기 시작하면서 강은 도덕적 미덕을 대표하는 강과 미적 가치를 대표하는 강으로 뚜렷하게 분리되었습니다. 저자는 아름다움을 선으로 인식하는 것은 자연스럽고 자명한 일이라고 주장하면서 이 두 물줄기를 다시 합치려는 시도는 오래 전에 갈라진 강 지류를 다시 연결하기 위해 운하를 건설하는 것만큼이나 인위적인 일이라고 주장합니다. 이 미학 이론을 지지하는 사람들은 예술에서 무엇이 선이고 무엇이 아름다운지에 대한 우리의 다양한 이해를 형성한 복잡성과 문화적 변화를 무시하고 있습니다.
문장:
이사야 시대에도 유대인들이 분별하고 기독교에서 충분히 표현했던 선의 최고 완성도(아름다움과 동일하지 않을 뿐 아니라 대부분 대조적인)는 그리스인들에게는 잘 알려지지 않았습니다. 그들은 아름다운 것이 반드시 선한 것이라고 생각했습니다. 소크라테스,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 등 그리스 최고의 사상가들은 선이 아름다움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다고 생각했습니다. That highest perfection of goodness (not only not identical with beauty, but, for the most part, contrasting with it) which was discerned by the Jews even in the times of Isaiah, and fully expressed by Christianity, was quite unknown to the Greeks. They supposed that the beautiful must necessarily also be the good. It is true that their foremost thinkers—Socrates, Plato, Aristotle—felt that goodness may happen not to coincide with beauty.
설명:
저자는 유대-기독교 사상, 특히 이사야의 예언서나 기독교 교리에서 선은 미적 아름다움을 초월하고 때로는 미적 아름다움과 대조된다는 점을 강조하면서 선의 개념과 아름다움의 개념을 구별하고 있습니다. 그리스 문화에서는 아름다움을 선과 동일시하는 경우가 많았지만, 유대교와 기독교 전통에서는 미적 특성에 의존하지 않는 더 높은 형태의 선을 인정했습니다. 소크라테스,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와 같은 그리스 철학자들은 아름다움과 선이 항상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을 감지하기 시작했지만, 도덕적 미덕의 전형이 육체적 아름다움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는 생각을 명확하게 발전시킨 것은 아브라함의 전통이었습니다.
비유와 사례:
두 가지 유형의 조각상으로 가득한 조각 정원을 상상해 보세요. 어떤 조각상은 완벽한 신체적 특성과 비율을 구현한 신과 여신의 조각상처럼 아름다움이 선함과 동의어인 그리스의 이상을 담아 숨이 멎을 정도로 아름답습니다. 그러나 정원의 다른 부분에는 유대 기독교 전통의 선지자와 성인 조각상이 서 있는데, 육체적으로 인상적이거나 대칭적이지는 않지만 그 형태 자체에서 심오한 영적 깊이와 도덕적 진실성을 느낄 수 있습니다. 이러한 조각상은 단순한 육체적 아름다움을 넘어선 선함을 가르친 이사야나 그리스도와 같은 인물을 상징할 수 있습니다. 같은 정원에 있는 이 두 조각상의 차이는 저자가 말한 이데올로기적 전환, 즉 아름다움과 도덕적 선의 그리스적 결합에서 선은 항상 육체적 아름다움을 통해 드러나지 않는 더 깊고 영적인 속성이라는 유대교적 이해로의 전환을 보여줍니다.
문장:
분명히 그리스 현자들은 불교와 기독교에서 표현되는 선에 대한 인식에 가까워지기 시작했고, 선과 아름다움의 관계를 정의하는 데 얽매이게 되었습니다. 아름다움과 선에 대한 플라톤의 추론은 모순으로 가득 차 있습니다. 그리고 모든 믿음을 잃은 후대의 유럽인들이 법으로 승화시키려 했던 것은 바로 이러한 생각의 혼란이었습니다. 그들은 아름다움과 선의 결합이 사물의 본질에 내재되어 있고, 아름다움과 선은 반드시 일치해야 하며, 그리스인에게는 의미가 있지만 기독교인에게는 전혀 의미가 없는 단어이자 개념인 καλοκἀγαθία가 인류의 최고 이상을 나타낸다는 것을 증명하려고 했습니다. 이러한 오해를 바탕으로 미학이라는 새로운 과학이 탄생했습니다. Evidently the Greek sages began to draw near to that perception of goodness which is expressed in Buddhism and in Christianity, and they got entangled in defining the relation between goodness and beauty. Plato’s reasonings about beauty and goodness are full of contradictions. And it was just this confusion of ideas that those Europeans of a later age, who had lost all faith, tried to elevate into a law. They tried to prove that this union of beauty and goodness is inherent in the very essence of things; that beauty and goodness must coincide; and that the word and conception καλοκἀγαθία (which had a meaning for Greeks but has none at all for Christians) represents the highest ideal of humanity. On this misunderstanding the new science of aesthetics was built up.
설명:
이 섹션에서 저자는 신앙의 공허함을 느낀 유럽 사상가들이 아름다움과 선에 관한 그리스 철학적 혼란에 사로잡혀 아름다움과 도덕적 미덕이 하나라는 잘못된 개념을 체계화하려 했다고 주장합니다. 그리스인들은 이후 유럽의 미학자들과 마찬가지로 아름다움(τὸ καλόν)에 대한 이해와 선(τὸ ἀγαθόν)에 대한 이해를 통합하는 데 고심했으며, 이를 καλοκἀγαθία라고 불렀습니다. 이 미묘한 관계를 보편적인 진리로 착각한 후대의 유럽인들은 미의 본질과 선과의 관계를 잘못 해석한 미학 이론을 발전시켰고, 유대교와 불교의 선 개념에 명시된 미묘한 차이를 무시했습니다.
비유와 사례:
고대 그리스와 르네상스 유럽 출신의 두 명의 보석 세공 장인을 생각해 봅시다. 그리스 보석 세공사는 목걸이를 만들면서 땅의 아름다움이 자연스럽게 선함을 구현한다고 믿으며 그 아름다움을 목걸이에 불어넣습니다. 목걸이가 시간이 흐르면서 교회에 환멸을 느끼고 새로운 기반을 찾고 있던 유럽의 보석상이 목걸이를 받게 됩니다. 목걸이의 화려함에 반한 그는 그 아름다움이 세상의 선함을 증명하는 증거라고 선언합니다. 하지만 그의 선언은 본질적인 진리가 아니라 그리스 보석상인의 잘못된 믿음에 근거한 것입니다. 그 결과 많은 사람들이 비슷한 목걸이를 착용하게 되었고, 그 아름다움 때문에 보편적인 선이 깃들어 있다고 믿게 되었으며, 선은 보석의 순도나 보석을 획득하는 윤리적 수단에 더 가깝다는 사실을 무시하게 되었습니다. 미학을 통해 신앙의 대용품을 찾으려는 시도에서 그들은 오해를 원칙으로 승화시켜 예술과 삶에서 진정으로 선이 무엇인지에 대한 새롭지만 결함이 있는 이해를 이끌어냅니다.
문장:
이 느낌의 가장 큰 특징은 진정한 예술적 감동을 받는 사람이 예술가와 너무도 하나가 되어 마치 그 작품이 다른 사람의 것이 아니라 자신의 것인 것처럼, 마치 그 작품이 표현하는 것이 바로 자신이 오랫동안 표현하고 싶었던 것인 것처럼 느낀다는 것입니다. 진정한 예술 작품은 수용자의 의식 속에서 자신과 예술가 사이의 분리, 또는 그것만의 분리뿐만 아니라 자신과 이 예술 작품을 받아들이는 모든 사람의 마음 사이의 분리도 파괴합니다. 우리의 인격을 분리와 고립으로부터 해방시키고 다른 사람들과 결합시키는 데에는 예술의 가장 큰 특징이자 큰 매력의 힘이 있습니다. 한 사람이 작가의 영혼 상태에 감염된 경우, 그가이 감정과 다른 사람들과의 연합을 느낀다면 그 상태를 불러 일으키는 대상은 예술 작품입니다. 그리고 아무리 시적이거나, 사실적이거나, 효과적이거나, 흥미로운 작품일지라도 다른 모든 감정과 구별되는 기쁨과 다른 사람(작가)과의 영적 연합, 그리고 다른 사람(그 감정에 감염된 사람)과의 영적 연합을 불러일으키지 않는다면 그것은 예술 작품이 아닙니다. The chief peculiarity of this feeling is that the receiver of a true artistic impression is so united to the artist that he feels as if the work were his own and not someone else’s,—as if what it expresses were just what he had long been wishing to express. A real work of art destroys, in the consciousness of the receiver, the separation between himself and the artist, nor that alone, but also between himself and all whose minds receive this work of art. In this freeing of our personality from its separation and isolation, in this uniting of it with others, lies the chief characteristic and the great attractive force of art. If a man is infected by the author’s condition of soul, if he feels this emotion and this union with others, then the object evoking that condition is a work of art. And however poetical, realistic, effectful, or interesting a work may be, it is not a work of art if it does not evoke that feeling (quite distinct from all other feelings) of joy, and of spiritual union with another (the author) and with others (those who are also infected by it).
설명:
이 구절은 진정한 예술의 본질과 영향력에 관한 본문에 제시된 핵심 철학을 잘 표현하고 있습니다. 예술의 전염성과 통합의 힘을 강조하면서 창작자와 수용자 사이의 경계를 없애는 예술의 능력을 강조합니다. 진정한 예술은 관객에게 예술가의 내면과 정서적으로 일치하고 소유권을 공유한다는 느낌을 심어준다는 주장입니다. 이는 예술을 미적 또는 문체적 특성이 아닌 청중과 공감할 수 있는 능력으로 정의한다는 점에서 중요한데, 이는 예술의 목적과 효과에 대한 세련되고 심오한 관점입니다.
비유와 사례:
공원에서 낡고 풍화된 벤치를 발견했다고 상상해 보세요. 페인트가 벗겨지고 나무가 갈라져 간신히 버티고 있는 것처럼 보입니다. 이 벤치를 보면 소박한 외관이 마음에 들 수도 있고 수리가 필요한 눈엣가시라고 생각할 수도 있습니다. 이제 스토리텔러가 옆에 앉아 수십 년 전 이 벤치에서 첫 키스를 나누고 달콤한 말을 속삭이며 나무에 이니셜을 새겼던 젊은 커플의 이야기를 들려준다고 가정해 보세요. 스토리텔러는 그들의 가슴 벅찬 사랑, 미래에 대한 희망, 그리고 그곳에 앉아 바라본 수많은 일몰을 생생하게 묘사합니다. 이야기가 전개되면서 단순히 이야기를 듣는 것에 그치지 않고 젊은 사랑의 설렘, 석양의 따스함, 진정한 애정의 영원함을 느끼기 시작합니다. 이 벤치는 내레이션의 힘을 통해 공원의 단순한 오브제에서 영원한 사랑의 상징으로 변모합니다. 이는 진정한 예술의 전염성과 비슷합니다. 이야기꾼의 이야기가 우리를 감싸고 지나간 시대의 감정적 궤도로 끌어당기는 것처럼, 진정한 예술은 우리를 사로잡고 창작자의 경험의 본질로 끌어당겨야 합니다. 단순히 벤치나 그 기능만이 공감을 불러일으키는 것이 아니라, 인간의 경험을 공유하고 그 안에서 울려 퍼지는 감정의 메아리가 평범한 일상을 심오한 의미를 지닌 작품으로 변화시키는 것입니다. 벤치의 이야기처럼 예술이 이러한 연결을 이룰 때, 예술은 예술가의 영혼과 관객의 영혼을 잇는 살아있는 다리가 되어 최고의 소명을 완수하게 됩니다.
문장:
우리 사회에서는 위작의 외형적 품질이 진품보다 나쁘지 않을 뿐 아니라 오히려 더 좋은 경우가 많고, 위작이 진품보다 더 효과적이고 주제가 더 흥미로운 경우가 많다는 사실 때문에 진품 예술 작품을 알아보는 것이 더욱 어려워집니다. 어떻게 구별할 수 있을까요? 의도적으로 정확하게 모방하기 위해 만들어진 수십만 개의 다른 제품과 외관이 전혀 구별되지 않는 제품을 어떻게 찾을 수 있습니까? 변태적인 취향을 가진 시골 농부에게 이것은 때묻지 않은 향기를 가진 동물이 나무 나 숲에있는 수천 명의 다른 사람들 사이에서 필요한 흔적을 따르는 것만 큼 쉽습니다. 동물은 필요한 것을 틀림없이 찾습니다. 인간도 자신의 타고난 자질만 변질되지 않았다면, 수천 개의 사물 중에서 자신이 필요로 하는 진정한 예술 작품, 즉 예술가가 경험한 느낌으로 자신을 감염시키는 작품을 틀림없이 선택할 것입니다. In our society the difficulty of recognising real works of art is further increased by the fact that the external quality of the work in false productions is not only no worse, but often better than in real ones; the counterfeit is often more effective than the real, and its subject more interesting. How is one to discriminate? How is one to find a production in no way distinguished in externals from hundreds of thousands of others intentionally made to imitate it precisely? For a country peasant of unperverted taste this is as easy as it is for an animal of unspoilt scent to follow the trace he needs among a thousand others in wood or forest. The animal unerringly finds what he needs. So also the man, if only his natural qualities have not been perverted, will, without fail, select from among thousands of objects the real work of art he requires—that infecting him with the feeling experienced by the artist.
설명:
이 발췌문은 위조품이 넘쳐나는 사회에서 진짜 예술이 직면한 난제를 강조합니다. 이 구절은 외형적인 매력과 도발적인 주제 면에서 진품 예술을 가리는 위조 예술품의 기만적인 매력을 강조합니다. 작가는 진품과 위작을 구별할 수 있는 사람과 피상적인 매력에 현혹되는 사람을 날카롭게 구분합니다. 진짜 예술은 정교한 장식이 아니라 공감을 불러일으키고 진정한 감정을 불러일으키는 고유한 능력으로 구별됩니다. 시골 농부의 때묻지 않은 미각에 대한 비유는 사회적 영향이나 예술적 유행에 의해 변질되지 않은 예술에 대한 타고난 감성을 묘사합니다.
비유와 사례:
파머스 마켓에서 현지 과일과 오랜 전통의 가족 레시피로 만든 정통 수제 젤리와 슈퍼마켓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대량 생산되고 화려하게 포장된 젤리를 함께 판매한다고 생각해 보세요. 대량 생산된 젤리는 선명한 색상의 매혹적인 용기에 담겨 있으며 인공 첨가물로 강화된 이국적인 풍미를 자랑합니다. 눈을 사로잡고 즉각적인 만족감을 약속합니다. 그러나 미각이 발달한 사람은 인공 젤리가 흉내 낼 수 없는 홈메이드 젤리의 풍부한 맛을 식별할 수 있습니다. 이런 사람은 농부가 수확한 열매에서 햇살을, 냄비를 저어주는 손길에서 정성을, 전수된 레시피에서 전통을 느낄 수 있습니다. 시장에 온 사람처럼 진정한 예술품 감정가는 진품 예술품의 심오한 진위를 구별할 수 있습니다. 진품은 피상적인 것이 아니라 진품이 제공하는 감각적, 정서적 깊이, 즉 위조품은 화려하고 매력적이지만 결코 진정으로 전달할 수 없는 경험을 선사합니다. 진품 젤리는 진짜 예술품과 마찬가지로 일시적인 욕구를 충족시키는 것이 아니라 감정적 울림을 주는 진짜 예술품처럼 진품의 진정성과 유산으로 영혼에 영양을 공급합니다.
문장:
관객, 청자 또는 독자가 작가가 자신의 만족을 위해 글을 쓰거나 노래를 부르거나 연주를 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이 표현하고자 하는 것을 스스로 느끼지 않고 수용자인 자신을 위해 하고 있다고 느끼는 순간, 저항이 즉시 생겨나고, 가장 개성적이고 새로운 감정과 가장 영리한 기교는 어떤 감염도 일으키지 못할 뿐만 아니라 오히려 반발하게 됩니다. As soon as the spectator, hearer, or reader feels that the author is not writing, singing, or playing for his own satisfaction,—does not himself feel what he wishes to express,—but is doing it for him, the receiver, a resistance immediately springs up, and the most individual and the newest feelings and the cleverest technique not only fail to produce any infection but actually repel.
설명:
이 구절은 예술 창작에 있어 진정성의 중요성을 드러낸다. 이 구절은 창작자의 주된 동기가 진정한 자기 표현이 아니라 관객에게 감동을 주거나 반응을 이끌어내기 위한 것이라고 인식할 때 관객이 예술 작품에 본능적으로 저항하는 현상을 강조합니다. 이는 창작자의 감정의 진정성이 작품의 예술적 가치를 구성하는 기본 요소임을 시사합니다. 콘텐츠의 기술력이나 독창성과 상관없이 진정성이 결여되면 작품이 관객에게 진정으로 감동을 줄 수 있는 가능성은 크게 줄어듭니다.
비유와 사례:
유명한 바이올리니스트의 공연에 참석한다고 상상해 보세요. 아티스트가 감각적인 의상을 입고 무대에 오르자 관객들은 기대에 찬 침묵에 빠집니다. 연주가 시작되고 바이올리니스트의 손가락이 현악기 위를 날아다니며 정교하게 연주합니다. 각 음이 완벽하게 연주되고 기교는 흠잡을 데가 없습니다. 하지만 연주가 진행되면서 무언가 부족함을 느낍니다. 연주에 기계적인 느낌이 들고, 연주자가 음악에 진정으로 몰입하는 것이 아니라 모인 사람들에게 감동을 주기 위한 동작을 취하는 것 같은 느낌이 듭니다. 이제 멋진 옷차림도 아니고 약간 거칠어 보이는 거리의 음악가가 낡고 흠집이 난 바이올린으로 같은 곡을 연주하는 모습을 상상해 보세요. 하지만 이 뮤지션이 연주할 때 여러분은 깊은 집중의 고랑, 감미로운 구절이 나올 때 눈가에 살짝 주름이 잡히는 것, 그리고 눈에 보이지 않는 몸의 흔들림을 느낄 수 있을 것입니다. 음악은 악기뿐만 아니라 영혼에서 들려오는 이야기처럼 그 사람에게서 뿜어져 나옵니다. 관중은 쇼맨십에 매료되지 않을 수 있지만, 진정으로 귀를 기울이는 사람은 넋을 잃습니다. 무대 위 연주자의 공허한 완벽주의에 비해 거리의 악사가 전달하는 감정의 진정성에 차이가 있습니다. 우리를 감동시키고 인간 경험의 아름다움에 우리를 연결시키는 예술의 능력은 화려한 외형적 표현이 아니라 진실한 표현에 있습니다.
문장:
보편적 예술은 종교적 인식이라는 분명하고 거부할 수 없는 내적 기준을 가지고 있지만, 상류층 예술에는 이러한 기준이 없기 때문에 그 예술을 감상하는 사람들은 어떤 외적 기준에 집착할 수밖에 없습니다. 그리고 그들은 영국의 한 미학자가 표현한 것처럼 "가장 잘 양육된 사람들의 판단", 즉 교육받은 것으로 간주되는 사람들의 권위에서, 또는 이것만으로는 아니지만 그러한 권위의 전통에서도 그것을 발견합니다. 이 전통은 "가장 잘 양육 된"의 의견이 종종 잘못되었을뿐만 아니라 한때 유효했던 판단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더 이상 유효하지 않기 때문에 매우 오해의 소지가 있습니다. 그러나 비평가들은 자신의 판단에 대한 근거가 없으면서도 전통을 반복하는 것을 멈추지 않습니다. 고전 비극은 한때 좋은 것으로 간주되었기 때문에 비평가들은 여전히 그렇게 간주합니다. 단테는 위대한 시인, 라파엘로는 위대한 화가, 바흐는 위대한 음악가로 존경받았지만 좋은 예술과 나쁜 예술을 구분할 기준이 없는 비평가들은 이 예술가들을 위대하다고 생각할 뿐만 아니라 그들의 모든 작품을 존경할 만하고 모방할 가치가 있는 것으로 간주합니다. 비평이 세운 권위만큼 예술을 왜곡하는 데 기여한 것도 없었고, 지금도 기여하고 있습니다. Universal art has a definite and indubitable internal criterion—religious perception; upperclass art lacks this, and therefore the appreciators of that art are obliged to cling to some external criterion. And they find it in “the judgments of the finestnurtured,” as an English æsthetician has phrased it, that is, in the authority of the people who are considered educated, nor in this alone, but also in a tradition of such authorities. This tradition is extremely misleading, both because the opinions of “the finestnurtured” are often mistaken, and also because judgments which were valid once cease to be so with the lapse of time. But the critics, having no basis for their judgments, never cease to repeat their traditions. The classical tragedians were once considered good, and therefore criticism considers them to be so still. Dante was esteemed a great poet, Raphael a great painter, Bach a great musician—and the critics, lacking a standard by which to separate good art from bad, not only consider these artists great, but regard all their productions as admirable and worthy of imitation. Nothing has contributed, and still contributes, so much to the perversion of art as these authorities set up by criticism.
설명:
이 섹션에서 저자는 상류층 예술이 평가되는 방식을 비판하며, 보편적 예술에 내재된 영적 지각력과 같은 본질적 가치를 외면하고 권위자의 의견에 의존한다고 주장합니다. '교육받은' 엘리트의 외부 판단과 전통에 대한 의존은 예술에 대한 잘못된 이해와 해로운 것으로 묘사됩니다. 예술의 가치는 그 시대의 일시적인 판단을 초월해야 한다는 개념이 전면에 등장하며, 진정한 예술은 어떤 권위자나 비평가에 의해 좌우될 수 없는 시대를 초월한 특성을 지니고 있다는 것을 암시합니다. 이러한 관점은 좋은 예술과 나쁜 예술을 구분하는 책임을 비평가나 전통이 아닌 개인의 인식과 경험에 위임함으로써 예술계 내의 전통적인 권력 구조에 도전한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집니다.
비유와 사례:
한 마을에서 매년 수확한 과일 중에서 가장 좋은 과일을 고르는 일을 노인 현자가 맡고 있다고 생각해 보세요. 전통적으로 현자의 미각을 존중하기 때문에 그의 선택에 의문을 제기할 수 없습니다. 만약 쓴맛이 나는 과일을 가장 달콤한 과일로 선택하면, 그 과일이 결정됩니다. 세월이 흐르면서 마을 사람들은 현자의 법령에만 의존하고 자신의 감각을 의심하지도, 믿지도 않습니다. 그러던 어느 날, 이런 전통에 물들지 않은 한 어린 아이가 현자가 버린 과일을 맛보고 가장 달콤하다는 것을 알게 됩니다. 흥분한 아이는 다른 사람들에게 그 과일을 먹어보라고 권유하고, 곧 많은 사람들이 현자가 무시한 과일이 실제로는 더 우수하다는 것을 깨닫게 됩니다.
문장:
보편적 예술은 종교적 인식이라는 분명하고도 거부할 수 없는 내적 기준을 가지고 있지만, 상류층 예술에는 이러한 기준이 없기 때문에 그 예술을 감상하는 사람들은 어떤 외적 기준에 집착할 수밖에 없다. 그리고 그들은 영국의 한 미학자가 표현한 것처럼 "가장 잘 양육된 자의 판단", 즉 교양 있는 것으로 간주되는 사람들의 권위에서, 또는 이것만으로는 아니지만 그러한 권위의 전통에서도 그것을 발견합니다. 이 전통은 "가장 잘 양육 된"의 의견이 종종 잘못되었을뿐만 아니라 한때 유효했던 판단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더 이상 유효하지 않기 때문에 매우 오해의 소지가 있습니다. 그러나 비평가들은 자신의 판단에 대한 근거가 없으면서도 전통을 반복하는 것을 멈추지 않습니다. 고전 비극은 한때 좋은 것으로 간주되었기 때문에 비평가들은 여전히 그렇게 간주합니다. 단테는 위대한 시인, 라파엘로는 위대한 화가, 바흐는 위대한 음악가로 존경받았지만 좋은 예술과 나쁜 예술을 구분할 기준이 없는 비평가들은 이 예술가들을 위대하다고 생각할 뿐만 아니라 그들의 모든 작품을 존경할 만하고 모방할 가치가 있는 것으로 간주합니다. 비평이 세운 권위만큼 예술을 왜곡하는 데 기여한 것도 없었고, 지금도 기여하고 있습니다. Universal art has a definite and indubitable internal criterion—religious perception; upperclass art lacks this, and therefore the appreciators of that art are obliged to cling to some external criterion. And they find it in “the judgments of the finestnurtured,” as an English æsthetician has phrased it, that is, in the authority of the people who are considered educated, nor in this alone, but also in a tradition of such authorities. This tradition is extremely misleading, both because the opinions of “the finestnurtured” are often mistaken, and also because judgments which were valid once cease to be so with the lapse of time. But the critics, having no basis for their judgments, never cease to repeat their traditions. The classical tragedians were once considered good, and therefore criticism considers them to be so still. Dante was esteemed a great poet, Raphael a great painter, Bach a great musician—and the critics, lacking a standard by which to separate good art from bad, not only consider these artists great, but regard all their productions as admirable and worthy of imitation. Nothing has contributed, and still contributes, so much to the perversion of art as these authorities set up by criticism.
설명:
이 구절은 사회적으로 예술이 평가되는 방식과 소위 전문가 또는 '잘난' 개인의 의견에 의해 예술이 어떻게 고착화되는지에 대해 비난합니다. 내재적 가치나 개인적 반응보다는 역사적 공로, 유산, 명성에 기반한 예술 작품에 대한 찬사가 지속되는 것을 비판합니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진정한 예술의 가치는 시대와 사회적 지위의 제약을 뛰어넘는 것이며, 전통에 관계없이 관련성과 공감을 불러일으킨다는 암묵적인 주장입니다. 문제는 객관적인 기준이 없는 비평가들이 예술의 본질과 감상을 왜곡하는 낡은 이상을 고착화한다는 것입니다. 이는 예술에 대한 보다 진정성 있는 참여를 요구하고, 집단적 세뇌보다 개인의 반응을 장려하기 때문에 특히 영향력이 큽니다.
비유와 사례:
장엄한 나무들로 인해 존경받는 울창한 고대 숲을 상상해 보세요. 수세기 전, 유명한 탐험가들이 이 숲을 발견했는데, 그들은 가장 크고 오래된 특정 나무를 가장 고귀하고 가치 있는 것으로 여겼습니다. 이러한 믿음은 여러 세대에 걸쳐 의심의 여지 없이 전해져 내려오고 있습니다. 매년 방문객들은 과거 탐험가들의 일기를 따라 이 '위대한 나무들'을 방문하며 숲을 직접 체험하기 위해 길을 벗어나지 않습니다. 세대가 지나면서 새로운 탐험가들이 선조들의 일기를 들고 숲에 들어옵니다. 그들도 큰 나무만 옹호하고 작은 묘목이나 독특한 아름다움과 유용성을 지닌 식물은 무시합니다. 숲 밖의 비평가들은 이러한 판단을 듣고 숲을 직접 보지 않고도 같은 나무를 계속 숭배하며 여행자의 욕망과 기대에 영향을 미칩니다. 이제 선대의 편견에서 벗어난 새로운 탐험가가 처음으로 숲을 헤매고 있다고 생각해 보세요. 이 탐험가는 위풍당당한 고목뿐만 아니라 활기찬 덤불이나 바람과 함께 음악을 만들어내는 젊고 생동감 넘치는 나무 군락 등 전체 생태계에 감탄합니다. 이 탐험가는 숲의 아름다움이 오래된 거목에만 국한된 것이 아니라 살아 숨 쉬며 진화하고 있다는 것을 이해합니다. 마찬가지로 예술에서도 작품을 직접적이고 개별적으로 경험하면서 기존의 명작뿐만 아니라 우리에게 공감을 불러일으키는 새롭거나 덜 알려진 작품도 발견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제안합니다. 큰 나무뿐만 아니라 숲의 모든 부분이 가치가 있듯이, 오래된 것이든 새로운 것이든, 유명한 것이든 잘 알려지지 않은 것이든 모든 진정한 예술 표현은 영향력을 발휘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예술은 자연과 마찬가지로 이미 전통적으로 존중받아온 것으로 축소되어서는 안 되며, 그 모든 다양성 속에서 개인적으로 탐구하고 경험해야 합니다.
문장:
주제는 점점 더 빈약해지고 형식은 점점 더 이해하기 어려워지면서 상류층의 예술은 최근 작품들에서 예술의 모든 특성을 잃어버리고 예술의 모방으로 대체되고 있습니다. 상류층 예술은 보편적 예술로부터 분리된 결과, 주제가 빈약하고 형식이 나빠졌을 뿐만 아니라, 즉 점점 더 이해할 수 없게 되었을 뿐만 아니라, 시간이 지남에 따라 아예 예술이기를 포기하고 모조품으로 대체되어 버렸다. [...] 보편적 인 예술은 강한 감정을 경험 한 사람들 중 누군가가 그것을 다른 사람들에게 전달할 필요성을 느낄 때만 발생합니다. 반면에 부유 한 계급의 예술은 예술가의 내적 충동에서 비롯된 것이 아니라 주로 상류층 사람들이 오락을 요구하고 그에 대해 많은 돈을 지불하기 때문에 발생합니다. 그들은 예술에서 자신을 기쁘게하는 감정의 전달을 요구하며 예술가들은 이러한 요구를 충족 시키려고 노력합니다. 그러나 부유 한 계층의 사람들은 게으름과 사치 속에서 삶을 보내고 예술에 의해 지속적으로 전환되기를 원하기 때문에 매우 어려운 일이며, 가장 낮은 예술조차도 마음대로 생산할 수 없지만 예술가의 내면에서 자발적으로 생성되어야합니다. 따라서 상류층 사람들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예술가들은 예술 모조품을 제작하는 방법을 고안해야 했습니다. Becoming ever poorer and poorer in subjectmatter and more and more unintelligible in form, the art of the upper classes, in its latest productions, has even lost all the characteristics of art, and has been replaced by imitations of art. Not only has upperclass art, in consequence of its separation from universal art, become poor in subjectmatter and bad in form, i.e. ever more and more unintelligible, it has, in course of time, ceased even to be art at all, and has been replaced by counterfeits. [...] Universal art arises only when some one of the people, having experienced a strong emotion, feels the necessity of transmitting it to others. The art of the rich classes, on the other hand, arises not from the artist’s inner impulse, but chiefly because people of the upper classes demand amusement and pay well for it. They demand from art the transmission of feelings that please them, and this demand artists try to meet. But it is a very difficult task, for people of the wealthy classes, spending their lives in idleness and luxury, desire to be continually diverted by art; and art, even the lowest, cannot be produced at will, but has to generate spontaneously in the artist’s inner self. And therefore, to satisfy the demands of people of the upper classes, artists have had to devise methods of producing imitations of art.
설명:
이 발췌문은 위조품이나 피상적인 형태의 예술로 대체된 상류층 사이에서 진정한 예술의 쇠퇴와 궁극적인 소멸을 비판적으로 다루고 있습니다. 이 작품은 진정한 예술은 계급과 부를 초월하여 타인에게 진정한 경험을 전달하고자 하는 정서적 필요성에서 비롯된다는 것을 시사합니다. 반면 상류층이 요구하는 '예술'은 진정한 감정적 참여나 예술적 충동보다는 무의미한 오락에 대한 욕구에서 비롯된 것입니다. 따라서 이러한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제작된 작품에는 깊이와 진정성이 부족합니다. 이는 부와 특권이 어떻게 창작 과정을 왜곡하고 억압하여 불성실하고 공허한 작품이 지배하는 문화 풍토로 이어질 수 있는지에 대한 강력한 비판입니다.
비유와 사례:
한때 온갖 종류의 꽃들이 선명한 색채와 독특한 향기로 피어 자연의 다양성과 아름다움의 증거였던 정원을 상상해 보세요. 그러나 시간이 지나면서 정원의 관리인은 부유한 사람들의 변덕에 부응하기 위해 후원자들의 호화로운 취향에 맞는 꽃만 재배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이러한 후원자들은 꽃의 자연적인 화려함이나 타고난 가치보다는 화려한 모임에 가져다줄 수 있는 명성과 참신함을 원했습니다. 이러한 외부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정원사들은 원래 식물의 다양한 아름다움을 향기가 없는 인공 금도금 꽃으로 체계적으로 대체하기 시작합니다. 햇빛 아래서 반짝이지만 정신과 진실은 시들어 버리는 꽃입니다. 이러한 인공 꽃은 본문에 묘사된 모조품과 유사합니다. 그것들은 흙과 씨앗 사이의 영혼적인 상호작용의 산물이 아니라, 예술에 대한 감상이 피상적인 것에 불과한 사람들이 이미 바람직하다고 판단한 것을 조작하려는 인위적인 노력의 산물입니다. 진짜 꽃이 유기적이고 자연스러운 과정의 결과인 것처럼, 진정한 예술은 진정한 인간의 감정을 표현하고 공유된 인간 경험과 연결하려는 자발적인 욕구에서 비롯됩니다. 이 은유에 등장하는 조화는 영감 없는 상류층이 의뢰한 계산적이고 영혼 없는 예술품으로, 한때 모든 사람에게 영감과 감동을 주고 영혼과 교감할 수 있는 생생하고 진실한 표현을 대신할 수 없는 형편없는 대체물입니다.
문장:
역사의 모든 시대, 모든 인간 사회에는 그 사회의 인간이 도달한 최고 수준을 나타내는 삶의 의미에 대한 이해, 즉 그 사회가 지향하는 최고의 선을 정의하는 이해가 존재한다. 그리고 이러한 이해는 주어진 시대와 사회에 대한 종교적 인식입니다. 그리고 이러한 종교적 인식은 항상 일부 선진적인 사람들에 의해 명확하게 표현되며, 사회의 모든 구성원들이 어느 정도 생생하게 인식합니다. 그러한 종교적 인식과 그에 상응하는 표현은 모든 사회에 항상 존재합니다. 우리 사회에 종교적 인식이 없는 것처럼 보인다면, 이것은 실제로 종교적 인식이 없기 때문이 아니라 우리가 그것을보고 싶지 않기 때문일뿐입니다. “In every period of history, and in every human society, there exists an understanding of the meaning of life which represents the highest level to which men of that society have attained—an understanding defining the highest good at which that society aims. And this understanding is the religious perception of the given time and society. And this religious perception is always clearly expressed by some advanced men, and more or less vividly perceived by all the members of the society. Such a religious perception and its corresponding expression exists always in every society. If it appears to us that in our society there is no religious perception, this is not because there really is none, but only because we do not want to see it.”
설명:
이 구절은 사회 가치의 진화에 있어 집단적 이해의 역할을 강조합니다. 여기서 말하는 '종교적 인식'은 엄밀히 말해 조직화된 종교에 관한 것이 아니라 도덕적 또는 윤리적일 수 있는 사회의 중요한 가치와 신념에 관한 것입니다. 이러한 집단 의식이 각 시대의 예술과 문화를 형성합니다. 이 인용문은 모든 사회에는 사상을 주도하는 사람들이 인식하고 표현하는 정의로운 이상이 있으며, 일반 대중도 어느 정도 공유한다는 점을 지적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습니다. 또한 한 사회의 겉으로 보이는 원칙의 부재나 혼란이 실제로는 기존의 인식을 인정하지 않거나 개인적 가치와 사회적 규범 사이의 단절에서 비롯된 것일 수 있음을 암시합니다.
비유와 사례:
여기에 표현된 철학적 개념과 인체의 해부학적 구조 사이에 은유를 그려보면 깨달음을 얻을 수 있습니다. 한 사회의 '종교적 인식'을 신체 정치의 척추라고 생각하면 지지와 방향을 모두 제공할 수 있습니다. 척추의 건강이 신체가 최적의 기능을 발휘하는 데 중요한 것처럼, 사회의 핵심 신념과 가치도 건강한 발전을 위해 매우 중요합니다. 사회가 이러한 기본 원칙을 인정하지 않거나 따르지 않는다면 척추가 굽거나 비틀어져 신체의 전반적인 기능이 손상되고 통증을 유발하는 척추측만증을 앓고 있는 신체와 비슷합니다. 이 은유는 르네상스 시대를 살펴보면 더욱 잘 드러납니다. 당시 인본주의는 레오나르도 다빈치나 미켈란젤로와 같은 예술가들에게 영향을 미쳤으며, 이들은 예술을 통해 인간의 성취와 잠재력을 찬양하는 인본주의적 이상을 받아들였습니다. 당시의 종교적 배경에도 불구하고 이들의 작품은 위대함을 향한 인류의 능력에 대한 믿음을 반영했으며, 이러한 인식은 예술에서 생생하게 인식되고 표현되었습니다.
문장:
예술은 말과 마찬가지로 소통의 수단이며, 따라서 인류가 완벽을 향해 나아가는 진보, 즉 진보의 수단입니다. 언어는 앞선 세대와 당대의 가장 뛰어난 사람들이 경험과 성찰을 통해 발견한 모든 지식을 최신 세대의 사람들에게 전달하고, 예술은 앞선 세대가 경험한 모든 감정과 가장 뛰어난 동시대 사람들이 느끼고 있는 감정을 최신 세대의 사람들에게 전달한다. 지식의 진화가 더 진실하고 더 필요한 지식이 잘못되고 불필요한 것을 제거하고 대체함으로써 진행되듯이, 감정의 진화는 예술을 통해 진행되며, 인류의 행복을 위해 덜 친절하고 덜 필요한 감정은 더 친절하고 더 필요한 다른 감정으로 대체됩니다. 이것이 바로 예술의 목적입니다. 그리고 이제 그 주제에 대해 말하자면, 예술이 그 목적을 더 많이 달성할수록 더 좋은 예술이 되고, 덜 달성할수록 더 나쁜 예술이 됩니다. Art, like speech, is a means of communication, and therefore of progress, i.e. of the movement of humanity forward towards perfection. Speech renders accessible to men of the latest generations all the knowledge discovered by the experience and reflection, both of preceding generations and of the best and foremost men of their own times; art renders accessible to men of the latest generations all the feelings experienced by their predecessors, and those also which are being felt by their best and foremost contemporaries. And as the evolution of knowledge proceeds by truer and more necessary knowledge dislodging and replacing what is mistaken and unnecessary, so the evolution of feeling proceeds through art,—feelings less kind and less needful for the wellbeing of mankind are replaced by others kinder and more needful for that end. That is the purpose of art. And, speaking now of its subjectmatter, the more art fulfils that purpose the better the art, and the less it fulfils it the worse the art.
설명:
제시된 인용문은 예술을 언어와 비교하여 진보를 위한 그릇으로서의 예술을 특징짓고 있습니다. 언어가 여러 세대에 걸쳐 지식을 전달하는 것처럼 예술은 감정과 경험을 전달합니다. 예술의 질에 대한 평가는 인류의 복지에 도움이 되는 더 친절하고 더 필요한 감정을 발전시키는 능력에 따라 결정됩니다. 이는 예술을 단순히 정적인 형태의 아름다움이 아니라 사회 발전과 인간 완성을 위한 능동적인 촉매제로서 높이 평가하는 것을 보여줍니다. 이 인용문이 인상적인 이유는 단순한 미적 가치를 뛰어넘는 예술 작품의 고귀하고 기능적인 목적을 제시함으로써 최고의 예술은 인류의 정서적 삶을 심화시키고 개선하여 공동의 발전을 도모한다는 것을 시사하기 때문입니다.
비유와 사례:
사회를 광활한 정원으로, 그 안에 있는 각 사람을 정원사라고 상상해 보세요. 언어적, 예술적 의사소통은 정원사가 사용하는 도구와 용품의 형태를 취합니다. 언어는 씨앗(과거와 현재의 아이디어)에 담긴 지식이 뿌리를 내리고 튼튼한 식물로 자라도록 도와주는 물과 영양분과 같습니다. 반면에 예술은 정원의 정서적 풍경을 가꾸는 햇빛과 기후에 비유할 수 있으며, 공감의 꽃, 연대의 나무, 공동의 기쁨을 나누는 열매를 맺게 합니다. 번성하는 정원은 단순히 식물이 많은 정원이 아니라 모든 생명체가 번성할 수 있는 생태계에 기여하는 정원입니다. 따라서 예술의 위대함은 악의와 무관심의 잡초를 연민과 이해의 꽃으로 대체하여 이 사회적 정원이 번성하도록 돕는 감정을 배양하는 능력으로 측정할 수 있습니다. 이 은유를 현실에 적용한 예로 해리엇 비처 스토우의 '톰 아저씨의 오두막'과 같은 소설을 들 수 있습니다. 격동의 시대에 발표된 이 소설은 독자들의 마음속에 노예에 대한 공감의 씨앗을 심어 궁극적으로 노예제 폐지 운동에 대한 광범위한 지지를 이끌어냈으며, 예술이 어떻게 더 친절하고 필요한 감정을 키워 사회 진화를 촉진할 수 있는지를 보여주었습니다.
문장:
우리 시대의 종교적 인식은 가장 광범위하고 실용적으로 적용될 때 물질적, 정신적, 개인적, 집단적, 현세적, 영원한 우리의 행복은 모든 인간이 서로 사랑으로 조화를 이루며 형제애를 키우는 데 있다는 의식입니다. 이러한 인식은 그리스도와 지난 시대의 모든 성인들에 의해 표현되었을 뿐만 아니라, 우리 시대의 성인들에 의해 가장 다양한 형태와 가장 다양한 측면에서 반복될 뿐만 아니라, 이미 인류의 모든 복잡한 노력의 단서가 되고 있으며, 이러한 노력은 한편으로는 인간의 결합을 가로막는 육체적, 도덕적 장애물을 파괴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모든 인간을 하나의 보편적 형제애로 결합시킬 수 있고 또 그렇게 해야 하는 공통의 원칙을 확립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인식을 바탕으로 우리는 우리 삶의 모든 현상을 평가해야 하며, 그중에서도 우리의 예술을 평가해야 합니다. The religious perception of our time, in its widest and most practical application, is the consciousness that our wellbeing, both material and spiritual, individual and collective, temporal and eternal, lies in the growth of brotherhood among all men—in their loving harmony with one another. This perception is not only expressed by Christ and all the best men of past ages, it is not only repeated in the most varied forms and from most diverse sides by the best men of our own times, but it already serves as a clue to all the complex labour of humanity, consisting as this labour does, on the one hand, in the destruction of physical and moral obstacles to the union of men, and, on the other hand, in establishing the principles common to all men which can and should unite them into one universal brotherhood. And it is on the basis of this perception that we should appraise all the phenomena of our life, and, among the rest, our art also.
설명:
이 인용문에서 화자는 인류의 보편적 형제애와 사랑을 강조하는 당시의 지배적인 '종교적 인식'을 설명합니다. 이러한 생각은 개인과 사회가 조화로운 공존, 공감, 공동체 구축을 통해 모든 측면과 차원에서 진정한 웰빙을 달성한다는 개념과 관련이 있습니다. 영향력 있는 인물들과 인류의 일반적인 노력에 의해 반영된 이 개념은 예술을 포함한 삶의 모든 측면을 평가하는 중요한 척도를 형성합니다. 이러한 관점은 문화적 표현을 포함한 사회 현상의 장점을 판단하는 기준을 제시하고, 통합과 공유된 이해를 촉진하는 것이 가장 높은 가치를 지닌다는 것을 시사하기 때문에 매우 중요합니다.
비유와 사례:
인류 문명 전체를 나타내는 거대한 태피스트리를 생각해 봅시다. 태피스트리의 각 실은 개인의 경험과 특성에 따라 고유한 색과 질감을 지니고 있는 개인의 삶을 상징합니다. 인용문에 묘사된 종교적 인식은 이러한 실을 엮는 바느질에 비유할 수 있습니다. 태피스트리가 일관되고 조화로운 이미지를 만들기 위해 실을 엮어야 하는 것처럼, 인간의 행복은 개인들의 상호 연결과 상호 지원에 달려 있으며, 사회의 원활한 구조를 형성합니다. 여기서 예술은 태피스트리에 새겨진 패턴의 역할을 하며, 바늘의 경로를 안내하고 모든 스티치가 단결과 형제애를 상징하는 이미지를 만드는 데 기여하도록 합니다. 나폴레옹 전쟁 이후 외교적 개념으로 등장한 '유럽 콘서트'는 콘서트의 음악가들처럼 여러 국가가 조화를 이루며 협력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는 예술적 영역의 대표적인 예입니다. 베토벤의 '환희의 송가'와 같이 이러한 정신에서 영감을 받은 문화 작품은 보편적 형제애라는 추상적인 개념을 생생한 감정적 경험으로 전환하여 예술이 인류의 집단적 행복에 필수적인 통합 원칙을 어떻게 구현하고 옹호할 수 있는지를 보여줍니다.
문장:
인류가 발전한다면, 즉 앞으로 나아간다면 필연적으로 그 운동의 방향에 대한 지침이 있어야 합니다. 그리고 종교는 항상 그 가이드를 제공했습니다. 모든 역사는 인류의 진보가 종교의 인도에 의해서가 아니라면 이루어질 수 없음을 보여줍니다. 그러나 종교의 인도 없이는 인류가 진보할 수 없고, 진보는 항상 진행 중이며, 결과적으로 우리 시대에도 진보는 계속된다면, 우리 시대의 종교가 있어야 합니다. 그래서 오늘날 소위 교양 있는 사람들이 기뻐하든 불쾌해하든, 그들은 가톨릭, 개신교 또는 다른 종교가 아니라 종교적 인식, 즉 우리 시대에도 진보가 있는 곳에 항상 존재하는 지침인 종교의 존재를 인정해야 합니다. 그리고 우리 사이에 종교적 인식이 존재한다면, 우리의 예술은 그 종교적 인식에 근거하여 평가되어야 합니다. If humanity progresses, i.e. moves forward, there must inevitably be a guide to the direction of that movement. And religions have always furnished that guide. All history shows that the progress of humanity is accomplished not otherwise than under the guidance of religion. But if the race cannot progress without the guidance of religion, and progress is always going on, and consequently also in our own times, then there must be a religion of our times. So that, whether it pleases or displeases the socalled cultured people of today, they must admit the existence of religion—not of a religious cult, Catholic, Protestant, or another, but of religious perception—which, even in our times, is the guide always present where there is any progress. And if a religious perception exists amongst us, then our art should be appraised on the basis of that religious perception.
설명:
이 발췌문은 특정 제도나 교리의 맥락이 아니라 사회 진보를 이끄는 근본적인 목소리로서 종교의 중요성에 대해 살펴봅니다. 여기서 '종교적 인식'은 인류의 나침반과 유사하며, 문명의 진보를 지향하고 안내합니다. 현대의 회의론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종교적 인식은 지금도 지속되고 있으며, 이를 인정하고 예술에 반영해야 한다는 주장입니다. 이 부분은 진보의 개념을 정신적, 윤리적 지침의 저류와 연결시켜 진정한 발전은 기술이나 물질적 이득만이 아니라 우리의 핵심 가치와 신념의 진화에 있음을 시사하기 때문에 매우 중요합니다. 이러한 관점은 종종 진보와 영성을 분리하는 현대의 이야기에 도전하며 윤리적 진화를 사회 발전의 중심에 놓습니다.
비유와 사례:
시간을 상징하는 광활한 바다와 그 바다를 항해하는 인류의 배를 상상해 보세요. 역사를 통틀어 다양한 등대(종교)가 해안을 따라 나타나 이 배를 안내하고 방향을 찾고 위험을 피하는 데 필요한 빛을 제공했습니다. 바다는 종종 삶의 복잡성과 도전으로 안개가 자욱한데, 등대의 불빛은 인류가 길을 잃지 않게 하는 집단적 종교적 인식, 즉 현재의 가치, 윤리, 열망입니다. 배의 일부 사람들은 순전히 데이터 중심의 내비게이션 시스템(순전히 과학적 또는 세속적 접근 방식을 대표)을 주장하며 이러한 등대의 필요성이나 존재를 부정할 수 있지만, 안전한 항구로 인도하는 것은 언제나 빛나는 윤리적, 영적 안내입니다. 이 은유가 현실화된 예로 마하트마 간디의 작품을 들 수 있는데, 그의 비폭력 저항 운동은 단순한 정치적 책략이 아니라 힌두교와 자이나교의 교리인 아힘사(비폭력)에 대한 깊은 종교적 인식을 반영하여 인도 사회를 형성하고 전 세계 운동에 영감을 불어넣었습니다. 영화 '간디'와 같이 간디의 철학을 보여주는 예술과 문학은 그의 종교적 인식이 더 넓은 인류에게 전달되는 매개체 역할을 하며, 우리 공동의 여정에서 윤리적 태도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문장:
소위 르네상스 시대의 상류층 사람들이 저지른 가장 큰 실수는, 우리가 여전히 반복하고 있는 실수는, 그들이 종교 예술을 소중히 여기고 중요시하는 것을 멈춘 것이 아니라(그 시대의 사람들은 우리 상류층처럼 대다수가 종교라고 생각하는 것을 믿을 수 없었기 때문에 종교 예술에 중요성을 부여할 수 없었다), 그들의 실수는 부족한 종교 예술 대신에 오직 즐거움을 주는 것을 목표로 하는 하찮은 예술을 세웠다는 것이다. 즉, 그들은 종교 예술 대신에 그러한 존경과 격려를받을 자격이없는 것을 선택하고, 가치있게 여기고, 장려하기 시작했습니다. The chief mistake made by people of the upper classes of the time of the socalled Renaissance,—a mistake which we still perpetuate,—was not that they ceased to value and to attach importance to religious art (people of that period could not attach importance to it, because, like our own upper classes, they could not believe in what the majority considered to be religion), but their mistake was that they set up in place of religious art which was lacking, an insignificant art which aimed only at giving pleasure, i.e. they began to choose, to value, and to encourage, in place of religious art, something which, in any case, did not deserve such esteem and encouragement.
설명:
이 구절에서 저자는 르네상스 시대의 상류층이 예술의 초점을 종교적이고 의미 있는 내용에서 오로지 오락과 즐거움을 위한 예술로 옮겼다고 비판합니다. 이러한 변화는 관객에게 도덕적, 정신적 고양을 위한 영감을 주는 예술에서 벗어나는 신호탄이었습니다. 이 책은 그 시대의 진정한 잘못, 그리고 저자의 현재에도 반영된 실수는 종교적 예술을 저평가하는 것이 아니라 사소한 예술을 과대평가하여 사회의 존경과 자원을 잘못 배분하는 데 있다고 주장합니다. 이러한 입장은 단순히 즐거움을 추구하는 예술보다 인류의 진정한 발전과 개선에 기여하는 예술을 우선시해야 하는 사회적 책임을 강조한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합니다.
비유와 사례:
한 문명이 소유한 거대한 도서관에 모든 책이 다양한 예술 형식과 내용을 담고 있다고 상상해 보세요. 시간이 지나면서 사서(사회 지도층 또는 상류층)는 가볍고 읽기 쉬운 잡지와 만화책만 눈에 띄게 진열하고 추천하기 시작하고, 지혜와 삶의 교훈이 담긴 심오한 책은 먼지가 쌓인 구석으로 밀려나기 시작합니다. 사회 전반을 대표하는 방문객들이 도서관을 자주 찾다 보니, 당장은 만족감을 주는 얕은 자료에만 치우쳐서 생각하고 느끼고 성장하는 데 도움이 되는 책은 소홀히 하게 됩니다. 도서관 큐레이션의 변화는 인용문에서 언급한 르네상스 시대의 예술 후원의 변화를 반영합니다. 이러한 잘못된 방향은 사회가 지적, 도덕적 성장을 촉진하는 더 깊고 생각을 자극하는 콘텐츠에 참여하지 못하도록 유도합니다. 이 은유의 실제 사례는 사회가 스펙터클은 넘치지만 내용은 피상적인 블록버스터 영화에는 찬사를 보내고 자금을 지원하는 반면, 심오한 사회적 메시지를 담은 독립영화나 다큐멘터리 영화는 인정과 지원을 받기 위해 고군분투하는 모습에서 볼 수 있습니다. 이는 진지하고 영향력 있는 예술 형식에 대한 참여보다 쾌락과 오락을 선호하는 사회적 선택을 반영합니다.
문장:
우리 시대 상류층 사람들의 가장 큰 불행은 종교 예술이 없다는 것이 아니라, 다른 모든 예술 중에서 특별히 중요하고 가치 있는 것으로 선택된 최고의 종교 예술 대신에 특정 사람들을 기쁘게 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가장 하찮고 일반적으로 해로운 예술을 선택했기 때문에 배타적인 성격으로만 보면 우리 시대의 종교적 인식을 형성하는 보편적 연합의 기독교 원칙에 모순된다는 것입니다. 종교적 예술 대신에 공허하고 종종 사악한 예술이 세워지고, 이것은 삶을 개선하기 위해 삶에 존재해야하는 진정한 종교적 예술의 필요성을 사람들의 눈에 띄지 않게 숨 깁니다. The great misfortune of the people of the upper classes of our time is not so much that they are without a religious art, as that, instead of a supreme religious art, chosen from all the rest as being specially important and valuable, they have chosen a most insignificant and, usually, harmful art, which aims at pleasing certain people, and which, therefore, if only by its exclusive nature, stands in contradiction to that Christian principle of universal union which forms the religious perception of our time. Instead of religious art, an empty and often vicious art is set up, and this hides from men’s notice the need of that true religious art which should be present in life in order to improve it.
설명:
이 발췌문은 일부 소수의 무의미함과 쾌락을 추구하는 예술을 채택한 상류층의 실수를 반성하며, 저자가 생각하는 진정한 종교 예술, 즉 화합과 연대의 보편적 원칙에 부합하는 예술에 대한 관심을 돌리고 있습니다. 이 통찰의 중요성은 포용성보다 배타성을, 보편적 향상보다 개인의 만족을 추구하는 예술에 대한 비판에 있습니다. 저자는 도덕적, 사회적 의식을 교육하고 고양시킬 수 있는 예술이 홀대받는 것을 한탄하며, 지배적인 종교적 인식의 통합 원칙을 예시하고 육성하는 예술을 옹호합니다.
비유와 사례:
사회를 다양한 형태의 예술이 요리되어 소비되는 연회라고 생각해 보세요. 예술가와 동의어인 요리사는 후원자, 즉 상류층의 입맛에 영향을 받습니다. 요리사들은 모든 손님들의 건강과 웰빙에 도움이 되는 건강하고 영양가 있는 식사를 준비하기보다는 미각은 만족시키지만 영양가는 거의 없는 퇴폐적인 디저트를 만드는 데 집중합니다. 이 연회 장면은 예술이 사회 전체를 풍요롭게 하기보다는 엘리트 소수의 즉각적인 욕구를 충족시키는 데 맞춰진 예술 환경에 대한 작가의 인식을 나타냅니다. 웅장하고 아름다운 표현으로 주로 부유층의 집과 교회를 장식하여 그들의 권력과 명성을 확대한 바로크 미술이 등장했을 때도 비슷한 상황이 벌어졌습니다. 이러한 작품들은 예술적으로 인상적이지만, 저자가 주장한 것처럼 대중을 하나로 묶고 영적으로 고양시킬 수 있는 잠재력은 부족했습니다. 모든 사람이 참여할 수 있는 영양가 있는 잔치처럼 인류 전체를 위한 '종교 예술'이 일부 소수의 향락을 위한 사치품으로 대체된 것입니다.
문장:
예술은 즐거움이나 위안, 오락이 아니라 위대한 문제입니다. 예술은 인간의 이성적 인식을 감정으로 전달하는 인간 삶의 기관입니다. 우리 시대에 인간에 대한 일반적인 종교적 인식은 인간의 형제애에 대한 의식이며, 우리는 인간의 행복이 동료와의 연합에 있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진정한 과학은 이 의식을 삶에 적용하는 다양한 방법을 제시해야 합니다. 예술은 이러한 인식을 느낌으로 바꿔야 합니다. 예술의 임무는 엄청납니다. 종교의 인도를 받는 과학의 도움을 받는 진정한 예술의 영향력을 통해, 현재 법원, 경찰, 자선기관, 공장 검사 등 외적 수단에 의해 얻어지는 인간의 평화로운 협력이 인간의 자유롭고 즐거운 활동에 의해 얻어져야 한다. 예술은 폭력을 제쳐두어야 합니다. Art is not a pleasure, a solace, or an amusement; art is a great matter. Art is an organ of human life, transmitting man’s reasonable perception into feeling. In our age the common religious perception of men is the consciousness of the brotherhood of man—we know that the wellbeing of man lies in union with his fellowmen. True science should indicate the various methods of applying this consciousness to life. Art should transform this perception into feeling. The task of art is enormous. Through the influence of real art, aided by science guided by religion, that peaceful cooperation of man which is now obtained by external means—by our lawcourts, police, charitable institutions, factory inspection, etc.—should be obtained by man’s free and joyous activity. Art should cause violence to be set aside.
설명:
이 심오한 구절에서 저자는 예술이 즐거움이나 오락을 제공하는 것 이상의 기념비적인 사회적 역할을 한다고 주장합니다. 예술은 인간의 이성적 이해를 깊은 감정으로 전환할 수 있는 변혁의 힘으로 여겨집니다. 저자는 웰빙이 인간 통합에 뿌리를 두고 있다는 생각을 강조하면서 예술이 이 개념을 반영하고 강화하여 사회 구조와 행동이 평화롭고 협력적인 존재로 나아갈 수 있도록 영향을 미칠 것을 촉구합니다. 윤리적 통찰력을 바탕으로 한 과학과 정서적 영역에 대한 통찰력을 전달하는 통로인 예술은 강제적 질서를 모든 개인의 내재적 이해와 공감에 의해 자연스럽게 유지되는 질서로 대체하는 임무의 협력자로 제시됩니다.
비유와 사례:
이 발췌문은 사회를 하나의 웅장한 오케스트라로 상상함으로써 설명할 수 있습니다. 음악가들은 사회의 개개인을 대표하고, 그들의 악기는 사람들의 다양한 역할과 직업입니다. 그들이 연주하는 악보는 인간의 교제와 화합에 대한 '공통의 종교적 인식'입니다. 과학은 서로 연결된 인간의 존재를 합리화하는 조화로운 편곡을 제공함으로써 음악의 일관성을 형성하고, 예술은 연주에 열정과 감성을 불어넣어 음악을 단순한 악보에서 청중과 연주자 모두의 마음을 움직이는 교향곡으로 끌어올립니다. 오케스트라가 이러한 교향적 형제애에 대한 통일된 이해 아래 연주할 때, 엄격한 외부 지휘자(경찰 및 기타 기관으로 대표되는)의 필요성이 줄어들고 조화롭고 자율적인 교향곡이 탄생하게 됩니다. 이 개념은 지역 사회 기반 예술 프로젝트에서 폭력과 불화가 협력과 이해로 바뀌는 환경을 조성할 때 현실에 반영됩니다. 예를 들어, 도심의 벽화와 같은 프로젝트에는 다양한 지역 사회 구성원이 참여하여 소외된 지역을 자부심과 평화를 공유하는 허브로 바꾸는 경우가 많으며, 이는 예술이 사고방식을 진심 어린 통합으로 변화시키는 능력을 보여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