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타츠루 Oct 11. 2021

개인은 두려움을 극복할 수 있는가?

타인에 대한 연민을 읽다가


우리는 이미 일어난 일에 대한 보복,  응보적 정신으로 징벌을 바라보는지도 모른다. 내가 지금까지 비판한 태도이며 이는 사회에 엄청난 해악을 끼치고 상황을 악화시키는 섬뜩한 전략으로 이어진다. 이는 범죄의 피해를 보상해주는 전략도 아니다.  나은 태도가 분명히 있다. 바로 좋은 부모에게서 찾아볼  있는 태도다.


회복적 생활교육은 철학이나 심리학에서 시작하지 않았다. 하지만, 마사 누스바움의  책을 읽으니, 그녀의 철학에서 기반을 가지고 오면 충분하겠구나 생각이 들었다.


마사 누스바움은 사람들은 두려움을 갖고,  두려움 때문에 사실을  파악하려 하지 않는다. 고로 선동에 휘둘리기 쉽고, 결국 누군가를 악한으로 규정하고 그들은 외면하고 처벌하거나 배제한다. 두려움이 분노로 표출되고, 분노는  강도가 강하지만,  속성은 파괴적이고 정의를 실현할 수도 없다. 게다가 분노로 이뤄진 움직임은 민주주의 건설을 해친다.


저자는 간디와 마틴 루터 킹의 이야기를 예로 든다. 분노가 아닌 힘으로 불의에 항거하고 민주주의에 대한 꿈을 가지고 세상을 바꾼 사람들. 책을 더 읽어봐야 하겠지만, 그게 가능할까. 나처럼 나약한 한 개인은 어떻게 분노에 저항할 수 있을까? 나는 마틴 루터 킹이 아니다. 분노에 잠식되고 다른 사람을 통제하고 싶어지면 어떻게 해야 할까? 타인의 행동에 분개하여 그에 복수를 다짐하게 되면 어떻게 할까? 나만 손해를 보는 것 같은 기분을 벗어날 수 있을까? 그런데 대한 안내가 없다면, 개인 수준에서의 민주주의 실현이 가능할까.


저자는 좋은 부모 하는 것처럼, 행동에만 초점을 맞추고 사랑으로 기대하고 희망하라고 한다. 배신이나 실망에 대한 두려움은 있겠지만,  두려움을 분노로 표출하지는 않는다고. 좋은 부모가 되기가 쉬운 것도 아니다.  책은  질문에 대한 답을 안내해줄  있을까?

매거진의 이전글 진주 성광당에서 시계수리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