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박찬학 Jan 10. 2024

나의 삶을 결정하는 과정

진로 선택 서두르지 마세요 


즘 고등학생들은 진로 결정을 빨리 하려고 한다. 

학생부 종합전형 때문이다. 

아니 학생부 종합전형에 유리하다는 학원들의 허위와 과장의 마케팅 때문이다. 


진로를 빨리 결정하고 소위 '세특엮기'를 해야 한다는 학원들의 허위 정보에 아이들은 진로를 빨리 결정하고 탐구 과정을 그 진로에 맞춘다. 

정확히 말하면 직업이나 학과를 결정하고 대부분의 과목의 탐구 주제를 학과나 직업과 관련하여 엮는다. 


한국사 시간에 기계공학을 탐구하고, 국어 시간에 의학을 탐구하고, 수학시간에 생명과학을 탐구한다. 


상위 1%을 위한 입시 컨설팅이라는 타이틀로 운영하는 대치동 학원의 블로그에서 이런 식을 학부모의 지갑을 유혹한다. 


분명 주요 대학에서는 그렇게 하지 말라는데 많은 학부모와 학생들의 속는다. 

학생부 종합전형에 불리하는 생기부를 만드는데 수백 만원을 내고 있다. 


12월에 경기 모 고등학교로부터  1학년 11개 학급, 2학년 10개 학급 총 21개 학급의 프로그램 의뢰를 받았다. 

1학년은 <소셜임팩트>를 주제로 한 창의 융합 수업을 진행하였고, 2학년은 진로특강을 준비했다. 

직업과 관련한 기능, 업무 특징, 소득 등을 이야기하는 그런 진로 특강이 아니라 다양한 청년들의 삶을 함께 공유하는 그런 특강을 준비했다. 


진로, 직업을 선택한다는 것은 그에 맞는 가치와 태도를 갖추어 나가는 것이다. 



진로를 선택한다는 것은 그리고 직업을 선택한다는 것은 그에 맞는 가치와 태도를 갖추어 나가는 것이다.

나의 삶의 가치와 태도를 탐색하고 고민하는 것이다. 

고등학교는 진로 탐색의 과정이지 진로 결정의 과정이 아니다. 

그래서 '나의 직업'이 아닌 '나의 삶'의 이야기를 나누는 과정을 준비했다. 

총 2시간 프로그램인데, 강사는 1시간 강의를 준비하고 아이들은 2개의 강의를 신청해서 들을 수 있도록 준비했다. 



노호태 : 껴울림 대표 

콘텐츠 제작, 공론장 개최, 공간 제공 등의 사업합니다. 삶의 과정에서 연결을 느끼고 나를 넘어서는 경험을 통해 세상의 아름다움을 발견하고 함께 창조하며 나를 특별하게 만드는 과정을 운영합니다.  
최원석 :인문학협동조합 '그리고' 이사장 

인문학을 연구하며 먹고사는 방법을 고민합니다. 우리 마을에서 '함께 살기 '함께 공부하기'를 지향하며 연구, 강연, 공유 공간을 운영하는 인문학 협동조합 운영합니다.
김환주 
전) 네스트앤드 창업 멤버 및 커뮤니티 매니저
현) 좋은 세상 연구소 연구원

전) KT&G 상상플래닛의 멤버십 운영 관리 전문회사의 매니저. 현) 좋은세상연구소 연구원입니다. 새로운 사회혁신을 만들어가는 창업가와 스타트업이 사회적 가치 안에서 성장할 수 있도록 다양한 공간 서비스 및 브랜드 마케팅을 리딩합니다.
김도연 : 마음쓰임 대표 

건강한 마음쓰임을 연구합니다. 작가, 기획자, 미술심리상담사와 함께 마음돌봄에 필요한 것들을 문화예술의 방법으로 만들어 가고 있습니다. 1인 가구들의 생각과 감정이 연결될 수 있도록 제품과 서비스를 제안합니다.


배성진
전) 데일리 필드 대표 

축구라는 콘텐츠를 통해 성별, 국적, 나이를 불문하고 서로 이해하고 자유롭게 소통하는 커뮤니티를 운영합니다. 그리고 축구라는 문화를 통해 보다 풍요로운 삶을 추구합니다.  
이상윤 : 고래실 팀장 

농촌 지역의 다양한 콘텐츠를 만들어 내며 문화로 지역을 변화시켜 나갑니다. 지역과 관련한 문화 창작소 운영, 지역의 이야기를 담은 잡지 제작 활동을 합니다. 
김수완 : 낭만농객 대표 

사라져 가는 지역을 여행합니다. 도시와 농촌의 양극화를 '여행'이라는 산업군으로 풀어나가며 지역주민이 만드는 로컬트립 사업을 구축합니다.  
이진희 : 성수희희마트 대표 

영양사에서 농산물 MD 그리고 콘텐츠 마케터까지 :
영양학과를 졸업하고, 농산물 MD를 거쳐 낮에는 콘텐츠 마케터로, 밤에는 먹거리 전문 잡화점 성수희희마트의 기획 인간으로 귀여운 디자인 상품을 만듭니다.
N잡으로 내가 가진 다양한 재능을 풀어내는 방법을 찾아가고 있습니다.


진로를 결정하려면 문장으로 해보세요 


진로를 결정하려면(빨리 결정하고 싶다면) 문장으로 작성해 보세요 

우리의 아이, 나의 아이와 나의 삶의 계획을 한 단어에서 한 줄로, 그리고 여러 희망 키워드를 모아 모아 문장으로 완성해 보세요.

그 키워드에는 학과도 포함되어도 좋고, 직업이 포함되어도 좋고, 나의 욕망이어도 좋습니다. 그리고 내가 추구하는 가치, 사회를 변화시켜보고 싶은 나의 마음이 포함되어도 좋습니다. 

그렇게 문장으로 진로를 완성하고 그 문장으로 완성된 나의 진로를 추구하기 위해서는 고등학교 졸업 이후 어떤 삶을 살아야 하는지 이야기 나누어보세요 

공부가 더 필요하다면 필요한 공부를 할 수 있는 학과를 선택하면 되고, 현장 경험이 빨리 필요하다면 과감하게 취업을 알아봐도 좋습니다. 


그것이 대학을 가는데도 더 유리합니다. 

교육의 이상과 대입 성공의 길은 결코 그 방향성이 다르지 않습니다. 




https://contents.premium.naver.com/thetablesetter/jinhka/contents/231231111102562lp


매거진의 이전글 진로탐색은 학과나 직업을 알아보는 것이 아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