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매거진 THL 행복론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The Happy Letter Jul 14. 2023

"불행"해지지 않는 방법 먼저 배우기(THL행복론1)

3가지 이유의 유형, 이런 사람은 '지인'으로 두지 마라?


왜 우리는 지금도 행복하다는 데에 확신이 없을 까?


흔히 말하기를 행복은 "경제적 부"만으로 얻을 수 있는 것이 아니다고 한다. 이에 대해 이미 많은 지성인, 철학자, 종교 지도자, 행복 전도사(강연자)들이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이구동성으로 말하고 있는 것도 잘 알고 있다.


우리 역시 행복의 조건에 "돈이 전부"가 아님을 공감하고 고개를 끄덕이며 강연을 듣고, 방송을 보고, 또 그런 책을 읽곤 하지만 정작 집으로 돌아오면, 방송을 끄고 나면, 또 그런 책을 덮고 나면 또다시 '내가 과연 행복한 걸까?'라는 자기 물음에 빠지고 다시 급우울해지기 시작하며 이런 불확실성의 감정은 심지어 '마음의 병'이 되기도 한다.


이에 대한 '처방전'으로 많은 선각자들이 이미 수없이 여러 번 강조해서 말했듯이 그 '처방' 중 하나는, '현재 주어진 것에 지금 가진 것에 만족하라!'는 것이다. 이것이야말로 행복의 첫걸음이자 동시에 가장 중요한 마음가짐이며 궁극적으로는 '행복 문의 열쇠'라고들 한다.


하지만 예전부터 그 많은 훌륭한 사람들이 그 많은 책에 쓰고 또 다음 후세들이 옮겨 적어 또 다른 책에 쓰고 또 그다음 후세들이 그 책을 읽고 또 읽어도 우리는 '현재 주어진 것에 지금 가진 것에 만족하라!'라는 말에는 공감은 하면서도 여전히 쉽게 실행하지는 못한다. 도대체 왜일까?


왜 우리는 지금도 '충분히' 행복하다는 데에 확신이 없을 까?




이러한 물음에 필자가 주목하는 것은 바로 우리가 사회생활을 하면서 겪게 되는 다양한 '인간관계'의 문제이며, 우리가 부대끼며 같이 살아가는(혹은 살아가야 하는) 내 주위의 '사람'과 '갈등', '관계 형성'에 대한 왜곡과 타성의 문제이다.(다음 [어학사전] '타성' : '사람의 말이나 행동에 굳어진 습성')


필자의 일천한 생각으로는 우리가 이 세상을 '혼자' 사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라고 본다. 이 사회와 단절된 외딴곳에서 혼자서 산다면 오늘 지금 나한테 주어진 것에 '만족'하고 되는대로 그냥 그렇게 살아도 될 것 같은데, 문제는 나의 주위에는 - 어떤 형태나 방식으로든지 - 다른 사람들이 있고, 또 그 다른 사람들과 '좋든 싫든' 우리들 대부분은 이 사회 속에 함께 어울려 살아야 하고 또 어떤 식으로든 그들과 상호 간 '관계'를 - 불편한 관계까지도 "어쩔 수 없이" 감내하며 - 형성하며 살아가야 한다. 필자는 바로 여기에 우리의 불행하고 우울한 심리적 병인(병의 원인)이 있는지도 모른다고 생각한다. 이로 인해 우리는 늘 우리의 '행복'에 회의적이고, 또 '이런 상태'로도 행복해해도 되는지 자꾸 되묻게 되고 마는 것 같다.


본의 아니게 나와는 잘 맞지 않는 성향의 사람들과도 어울려 만나야 하는 사회생활이고 인간관계이다 보니 이리저리 치이기도 하고 때로는 마음의 '상처'를 크게 입기도 한다. 내가 좋아하는 사람만 만나며 살면 얼마나 좋을까(행복할까)? 이것이야말로 - 소제목에 언급한 바와 같이 - 우리가 행복하려면(동시에, 불행해지지 않으려면) 무엇보다도 '사람 만나는' 것에 매우 신중해야 하는 이유에 다름 아니다.




이러한 문제의식하에 여기서 이 문제를 좀 더 직관적으로 바로 느낄 수 있도록 - 개인적 소견이지만 일상생활에서 볼 수 있는 예로서 - 짧고 간명하게 '피해야 할 사람'의 유형을 나열해 보자면 다음과 같다.


먼저, 자신의 이야기만 하는 사람. 자신의 주변 화제만 주로 - 좋은 일이든 안 좋은 일이든 - 얘기하고 나에겐 질문을 거의  1도 안 하는 사람, 만나지 마라고 말하고 싶다. 그 자리에 같이 앉아 대화해서 결코 행복해질 수 없다. "넌(혹은 다른 호칭으로) 요즘 좀 어떻니? 힘든 일은 없니?" 조차도 묻지 않는 사람은 나한테 무관심한 사람일 가능성이 매우 높다라고 생각한다.


두 번째는, 항상 '돈 이야기'만 하는 사람. 좀 더 정확하게는 늘 돈이 궁하다고만 하는 지인은 피해야 한다. 매번 "돈 없다, 돈 없어서 힘들다..."로 시작해서 "돈 있었으면 좋겠다..."로 모든 이야기를 끝내는 사람, 개인적으로 별로 만나고 싶지 않다. 당연히 돈도 중요하지만 세상에는 돈 주제 말고도 얘기할 수 있는 게 무궁무진하다. 그리고, 종국에는 어느 순간 돈 빌려 달라고 할 가능성도 높다. 어렵사리 모은 돈을 빌려주고 나면 되돌려 받을 때까지 내내 불안하고 걱정되어 결코 "행복해질 수" 없다.


가까운 지인일수록 '돈 문제'로 잘못 엮이면 사람도 잃게 되고 여러모로 곤란해진다. 또한 그 돈 빌려준 동안은 우리 마음의 평정과 "행복"은 저 멀리 달아나 버릴 것이다.(진짜 돈이 궁하고 꼭 필요한 사람은 비싼 디저트 + I.A. 먹고 마시며 노는 그 시간에 뭐라도 하기 위해 일자리를 찾아 나서거나 '알바'하러 나간다.)


그리고 세 번째는, 유형이라기보다는 어떤 '부류'로 구분할 수 있는데, 자신의 주위에 "형식적"으로 만나는 친구나 지인을 최소화하고 그들 중 신중하게 엄선해서 만나야 한다. 때로는 딱히 친하지도 않은데 오래전부터 '아는 사이'라는 이유만으로, 또는 '옛 동창', 혹은 꽤 잘 나가는 '힘 있는' 지인이라는 이유만으로 어정쩡하게 만나는 그런 인간관계는 불필요하게 에너지만 낭비(그들과 일일이 '비교'하고 스스로 불운하다고 느끼게 되는 감정 소비 포함) 할 수도 있다. 만약에 그럼에도 불구하고 어쩔 수 없이 "의례적"으로 만나야 하는 '친구'(?)가 있다면 일 년에 한두 번쯤은 불행을 느끼는 것은 참아낼 각오를 해야 한다. 다른 이들과 "비교"하는 그 순간, "행복 끝, 불행 시작!"이니까.


혹여 행복을 위한 이런 선택적 기피와 '손절'이 너무 '배타적 자기 방어'로만 비치는가?





'사람 조심'은 걸어 다니거나 차 운전하고 다닐 때만이 아니다. 내가 성심성의껏 온 정성을 다해 누군가를 만나고 그의 눈을 바라보며 마주 보고 대화할 때, 그때 '판단(!)'할 수 있다. 아니, 그때 자각하고 판단해야 한다. 이 사람이 나를 행복하게 만드는지 아니면  불행하게 하는지! 내가 끊임없이 그와 비교하며 스스로를 불행하게 만들고 있는지도! (독자들은 인간관계에 기피하고 싶은 유형, 최악의 유형이 있는지 궁금하다.)




다시 이 글의 화두, 그 제시된 물음, "왜 우리는 지금도 행복하다는 데에 확신이 없을 까?"로 돌아가보자.


그 물음 속에 내재된 또 다른 문제로, 그런 인간관계 형성이 어려운 것은 바로 "기피해야 할" 그 유형 속에 - 상대방(친구나 지인, 동료 등) 입장에서는 - 나 자신도 포함될 수 있다는 사실이다.(우리가 이러한 사실을 자주 잊고 살지만.)


나 자신이 바로 그 "기피대상"에 속하면 안 되겠지만 내가 지금 하고 있는 (앞서 위에 언급된) 이 생각을 - 내 친구든 가까운 혹은 먼 지인이든 - 다들 "똑같이" 다 해봤거나, 지금도 하고 있다는 데 우리의 판단과 처신의 딜레마(dilemma)가 있다고 생각한다.


우리가 불행해지지 않기 위해 또 행복한 인간관계를 새롭게 형성해 가기 위해 그리고, 자꾸만 어디선가에서 "어떤 새로운" 행복을 찾으려고 너무 애써지 말고, '우리는 최소한 불행해지지만 않으면, 지금 어쩌면 그것으로 충분하지 않은 가?'라는 것을 먼저 배워나가는 시간이 좀 필요할 것 같다. 스스로 나 자신을 - 그리고 상대방인 내 친구와 지인을 - 불행하게 만들지만 않는다면.


결국 문제는 사람과의 '관계'다. 가족, 친구, 지인, 동료 모두 다. 행복하려면, 또 불행해지지 않으려면.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