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도시락 한방현숙 Aug 24. 2022

오랫동안 같이 하고픈 정태춘, 박은옥 콘서트!

섬세하고 여린 마음으로 시를 쓰고 부조리한 세상에 맞서 버틴 사람!

 사실 잘 몰랐다. 대학 2학년 동아리 축제 때 정태춘, 박은옥의 노래를 불러놓고도 그들과 멀리 있었다. 윙윙윙윙~ 고추잠자리를 되뇌면서도 박은옥과 연결하지 못했다. 수십 년이 흐르고 그들의 천재성을 남편의 LP 음반을 통해 간간이 확인할 뿐, 그런데 지금 일주일 내내 그들의 노래에서 헤어나지 못하고 있다.

 지난 토요일, 그들의 공연을 본 이후에 '시대, 아픔, 시인, 노래, 자연'에 이어 '투사'라는 단어까지 떠올리며 곱씹는 중이다.

 엄청난 재능을 가진 예술가이며, 대단한 실천가인 정태춘과 박은옥!
공연일 하늘은 맑고 푸르렀다.
1부 공연 후 쉬는 시간(공연 내내 오른쪽에 보이는 틈 때문에 공연에 집중할 수 없었다. 지나가는 스텝까지 보이고, 옥에 티, ㅜㅜ)
♡ 8/21(토), 인천문화예술회관에서 정태춘 박은옥의 공연이 있었다.
♡ 공연 관람자 대부분이 나보다 연배(50대 이상이 주류)가 높아 보였다.
♡ 포토존 대기줄도 길지 않았고 요란스럽게 사진 찍는 이도 드물었다.
♡ 무대와 가까운 E열에서 관람하였다. 노래의 울림이 가방까지 떨리게 할 정도로 강렬했다.
♡ 무대에는 음악밴드와 가수만 있을 뿐, 어떤 화려함도 기교도 없었다.
♡ 무대 조명보다 빛나는 노래의 울림으로 가슴이 말랑해지다 먹먹했다.
♡ 익히 들어 친숙한 멜로디의 노래들이 시대의 아픔과 그때의 청춘을 데려다 놓았다.
♡ 무심한 듯, 툭툭 던지는 부부의 애정 표현이 귀엽고 푸근했다.
♡ 나이는 들었어도 목소리는 그대로인 그들은 정말 히어로였다.
♡ 노래한 지 40년이라는데 그들의 목소리와 신념과 믿음은 늙지 않은 채, 청춘 그대로라니!
♡ 5.18 광주를 노래할 때는 묵직한 것이 가슴에 내려앉았다.
♡ 마무리 앙코르는 '사랑하는 이에게'를 부르며 우리의 마음을 말랑하게 해 주었다.
팜플렛 판매대도 소박하다. 굿즈는 당연히 없고...(젊은 세대로 가득했던 데스노트 공연장과 대비되었다.)

 정말 대단했다. 어쩜 그리 놀라운 음색을 지닐 수 있을까? 박은옥은 박은옥대로, 정태춘은 정태춘대로.... 참으로 놀랍고 드라마틱한 환상의 커플이다.

 지난 5월에 개봉한 다큐멘터리, 음악인생 40년을 담은 < 아치의 노래, 정태춘>을 배경으로 영상과 노래가 어우러진 공연이었다. 그가 왜 음유시인으로 불리는지, 왜 그의 삶을 뜨겁다는 형용사로 설명하는지 충분히 이해할 수 있었다.

 밥 딜런 Bob Dylan에 대해서 잘 모르지만, 왠지 공연을 보면서 한국의 밥 딜런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노래로 불의에 저항하고, 노랫말로 시대의 아픔에 공감하는 멋진 사람! 우리에게 좋은 길을 보여주며 선한 영향력을 끼치는 사람! 노래만 잘하고, 잘 만드는 이가 아니라 더 나아가 대중 음악사에, 한국 현대사에 큰 획을 긋고 지금도 변화하는 사람, 우리의 인생 리더로서 손색없는 모습이 자랑스러웠다.

♡ 고영재 감독의 음악영화 <아치의 노래, 정태춘>은 정태춘 데뷔 40주년을 기념하는 작품으로 여러 상(제13회 DMZ 국제다큐멘터리 영화제 예술 공헌상 등)을 수상했다.
♡ 정태춘 박은옥의 데뷔 때 모습부터 전국 투어 콘서트 실황을 담아 완성했다.
♡ '아치'는 정태춘이 기르던 잉꼬의 이름 '양아치'에서 따온 말이다.
♡ '새장 주위로만 그저 뱅뱅 도는' 가사를 통해 세상에 절망한 정태춘의 심정을 읽을 수 있다.
♡ 영화에도 나오고, 포스터로도 활용한 정태춘의 옆으로 누워 있는 사진(아치의 노래- 가사가 담겨있음)은 박은옥이 직접 찍어 인화한 사진이라고 한다.
♡ 정태춘은 스스로 장르가 된 뮤지션이라고 영화는 말한다.
이미지 출처-다음 이미지

 남편과 모처럼 한가한 데이트라도 할 요량으로 공연장을 찾았는데, 가벼운 마음은 어느새 단단해져 묵직한 집회 현장에 와 있는 듯했다. 2006년에 와서야 가요사전심의제가 폐지되었다니... 당연한 자유와 권리를 위하여 그가 얼마나 애를 썼으며, 지난한 투쟁 과정에서 얼마나 힘들었을지... 그 장한 일을 이루었음에도 결국 불이익을 당하고 노래 현장에서 떠날 수밖에 없었다니!

 우리가 지금 당연하게 누리는 것이 누군가의 피땀 눈물로 이루어졌으며 그 고생에 대한 감사의 상장은커녕 블랙리스트로 또 고초를 겪게 했다니... 그래도 그는 멈추지 않았다.

 '아, 대한민국, 92년 장마, 종로에서, 정동진과 5.18'을 노래하며 우리의 잠든 의식을 깨웠다. 치열하고 처절했던 진실된 그의 삶 속에서 생각(의식)이 빠진 노래는 이미 노래가 아닐 것이다. (누군가는 정태춘의 공연장에서 나는 당신의 노래를 들으러 왔지, 이념을 들으러 온 것이 아니라며 따졌다고 한다.) 정태춘, 박은옥은 그렇게 40년을 채웠다.

평택에서, 광주에서 또 다른 현장에서 끊임없이 '정의'를 노래했다.
이미지 출처-다음 이미지

 20대 딸들은 정태춘, 박은옥을 모른다. 40대 직장 후배도 모른다고 한다.(정태춘, 박은옥보다 대충 10년 아래인 나도 잘 몰랐으니) 일주일 내내 그들의 노래를 찾아 듣고, 노래의 가사를 음미하니 이 고운 가락을, 이 특별한 음색을 딸들에게, 후배에게 알리고 싶다. 가슴에서 우러나는 이 진심을, 더불어 올곧게 살고자 애쓰는 이 가락을 함께 하고 싶다.

 섬세하고 여린 마음으로 시를 쓰고 부조리한 세상에 맞서 버틴 사람, 하늘이 준 목소리와 감각으로 노래하는 이 위대한 능력자와 오랫동안 함께하고 싶다.

건강하게 다음 공연에서 또 만나요.
가슴이 벅차오르는 공연!


매거진의 이전글 뮤지컬 '데스노트' 관람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