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어느 번역가 Jul 19. 2023

왠지 고난의 길에 들어선 냄새가 나지만

'호랑이는 죽어서 가죽을 남기고 사람은 죽어서 이름을 남긴다'는 속담을 들을 때마다 나는 아닌데 하고 생각했었다. 죽으면 그만이지 왜 세상에 이름을 남기고 싶고 또 남겨야 하는지 납득이 가지 않았다. 하지만 출판을 준비하는 요즘 나야말로 이름을 남기고 싶은 욕구가 누구보다 강하다는 사실에 새삼 놀란다. 지난 10년간 산업번역을 하면서 가장 아쉬웠던 것이 내 이름이, 아니 내 일에서 내 흔적을 발견할 수 없다는 점이 아니었을까 한다. 일은 하는데 얻는 것이 돈밖에 없다는 사실이 못내 아쉬웠다. 일종의 기계 같달까. 


물론 이런 기계 같음에 내가 일조한 부분이 없지는 않다. 번역 일을 시작할 때 집중력을 기르기 위하여 타이머 앱을 처음으로 사용하기 시작했다. 최소한 1시간은 딴짓하지 말고 번역에 집중하자는 취지였는데, 그것이 생산성을 따지는 일로 확대되었다. 시간당 이쯤은 벌어야 내 존재감이 유지되는 것처럼 타이머를 꼬박꼬박 돌렸고 그때마다 이 작업은 시간당 얼마, 저 작업은 시간당 얼마 이런 식으로 늘 습관적으로 측정하게 되었다. 이런 사고와 습관이 몸에 밴 상태에서 내 1인 출판의 첫 원고가 될 번역 초고를 완성한 뒤, 그 일에 소요된 시간을 보고는 입이 떡 벌어졌다. 원고지 250매 분량의 짧다면 짧은 이 소설의 초고에 꼬박 47시간이 걸렸던 것이다. 휴대폰을 보거나 화장실을 가거나 물을 마시거나 하는 이런 시간을 제외한, 순전히 자판을 두드린 시간이다. 그러면 첫 번째 퇴고에는 얼마가 걸렸을까? 무려 30시간이 걸렸다. 아직도 몇 차례의 퇴고가 남은 가운데 지금까지 들인 시간이 총 77시간이라니. 이 일은 생산성을 따지며 하는 일이 아님을 깨달았다. 그러고는 이 번역 원고 작업에는 더 이상 타이머를 돌리지 않는다.


이 중편소설을 처음 읽었을 때는 이러이러한 사람이 이런저런 일을 겪으며 이렇게 저렇게 대처하거나 행동하는구나, 작자가 이런 말을 하고 싶었구나 정도의 감흥을 느꼈다. 그런데 번역을 시작하고 한 문장씩, 한 단어씩 뜯어보며 초고 번역을 하는 과정에서는 '와, 그걸 이렇게 표현한다고?' 하는 단락이 한두 군데가 아니었고, '내가 작가의 의도를 이렇게 면밀히 파악할 수 있다니.'라는 뿌듯함이 수없이 밀려왔다. 두 번째 퇴고 중인 지금은 번역문을 종이에 출력해서 보고 있는데, 왜 진작 이렇게 해보지 않았는지 살짝 후회가 들었다. 나도 모르는 사이에 몇몇 기회를 놓쳤을 것 같아서 말이다. 컴퓨터 화면에서 보는 내 번역과 종이에 출력된 내 번역은 마치 제2의 눈으로 보는 듯 사뭇 달랐다. 손볼 곳이 무수하게 보인다는 것도 사실이지만, 신기하게도 컴퓨터로 작업할 때는 떠오르지 않던 단어가 떠오르고 앞뒤 문맥이 좀 더 깊이 이해가 되기도 했다. 타인 혹은 전문가의 몇 차례 교정교열이 필요한 이유가 이 때문이겠지 싶었다. 교정교열을 거친 뒤 편집 디자인 프로그램인 인디자인에 조판된 원고와 책의 모습으로 출력된 원고가 또 다를 터라 기대가 된다.


이 원고를 붙들고 있은 지 아마 85시간째쯤 되는 지금 나는 틀림없이 고난의 길을 가고 있다. 탈고까지는 아직 멀었고, 게다가 나는 원고의 탈고가 고난의 끝이 아닌 1인 출판을 선택했다. 편집 디자인, 제작, 판매, 마케팅 등 배울 일과 할 일이 줄줄이 기다리고 있다. 하지만 종이에 출력되어 빨간 글씨를 뒤집어쓰고 책상 한 편에 얌전히 있는 저 퇴고 원고가 사랑스러운 것을 보면 내가 이 일을 꽤 즐기는 것 같다.

매거진의 이전글 함께함의 맛을 보다(2)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