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Jieun Choi Apr 15. 2016

자기계발서의 위험성

The Danger of Self-Help Books

There is no such thing as one-size-fits-all kind of an advice, which a self-help book claims to be.
자기계발서에서 제시하는 것처럼 모든 상황에 적합한 조언은 사실 없다.

[한국어는 아래에]


Day 96: 14 April 2016, Melbourne


When I was a teenager, and very insecure and emotionally unstable like my peers, I loved self-help books. They were inspirational, useful and full of quotes to highlight or write down on my journal. They mostly had clean layouts and pretty images too. And I was a sucker for such details too.


As I continued to read more self-help books, at some point I turned into a walking self-help book. Or just a help book. I gave the advices and tips that I had read to the people, especially when they were going through hardships and difficulties. Maybe I always have been one, years before my infatuation for self-help book came about, because I’ve always loved helping out people. 


But eventually I grew up. I shed off most of my naivety, and cast off my reliance on the overpriced books with pretty covers. They say not to judge a book by its cover, but when I saw a self-help book it uncannily reminded me of a pretentious, fake person with a friendly and attractive smile. My distaste for self-help books grew bigger as time passed by. They were repeating the same old, generic and petty words. Self-help books were not helpful anymore. They were annoying.


At the same time, my attempt to help people out also felt quite empty and meaningless, despite my genuine intent to do so. 


So when I started sharing my writings, I was very cautious not to sound like a self-help book. I didn’t want to tell people that everything is going to be okay even when the sky was grim and the earth below was trembling. I didn’t want to preach to be optimistic and happy all the time. Life simply doesn’t work that way. There is no such thing as an eternal happiness. Besides, many feign to have achieved such impossibility on social media anyways.


While I was truthfully writing about my perspective in life, the world and the people around me, I tried to veer away from writing frivolous, empty and meaningless advices. It wasn’t that easy, because I’ve been the go-to person for many of my friends to come seek for consolation and advices, while they may be helpless in their essence. 


And it occurred to me countless times, just before I published an article and read through for the very last time I would ask myself. What’s the point? Am I just repeating myself? and all the identical self-help books? But I would never find out until I published it and saw people’s reaction.


So when people would give me positive feedbacks, like how my words and sentences resonated in them, they made it so worthwhile to have spent time to write up something that was relevant. The fact that I could caress a adamant mind and thaw the frigid heart over the gleaming screen was so rewarding.


But at the end it is a continuous dilemma. There is no such thing as one-size-fits-all kind of an advice, which a self-help book claims to be. But I’m writing for basically everyone. So I’m not sure to what I should do or not do.


Thanks for reading. I’m Jieun Choi, a student, creative, photographer and writer currently based in Melbourne, Australia. While I stopped posting on Instagram, come see my old photos.


96일: 2016년 4월 14일, 멜버른


청소년기에 나는 또래의 다른 친구들처럼 정서적으로 불안했었다. 그렇기에 나는 자기계발서를 좋아했었다. 이 종류의 책은 영감을 주었고 유용했으며 밑줄을 칠만한 문장들이 가득했다. 깔끔한 디자인과 예쁜 사진들로 장식되어있기도 했는데, 이 역시 내가 좋아하는 것 중 하나였다.


계속해서 자기계발서를 읽다 보니 나는 마치 걸어 다니는 자기계발서가 된 듯했다. 아니 계발서가 되었달까. 왜냐하면 내가 책에서 읽은 것들을 다른 사람들에게 전해주기 시작했기 때문이다. 특히 그들이 어려운 상황에 처해있을 때 말이다. 어쩌면 나는 항상 그런 사람이었을지도 모른다. 왜냐하면 자기계발서에 빠져들기 전에 나는 사람들을 돕는 걸 좋아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결국 나는 성장했다. 대부분의 순진함을 덜어냈고 예쁘게 포장된 값비싼 책에 더 이상 의지하지 않게 되었다. 겉모습으로 판단하지 말라는 이야기가 있지만 자기계발서를 보면 나도 모르게 가식적인 웃음으로 상대방을 헷갈리게 하는 교태 부리는 사람이 떠올랐다. 시간이 지날수록 자기계발서에 대한 염증은 커져만 갔다. 이 책들은 단지 오래되고 일반적인, 크게 도움이 되지 않는 말들로만 가득한 것이었다. 자기계발서는 계발에 도움이 되지 않았다. 이는 성가실 뿐이었다.


동시에 나는 다른 이들을 도와주는 것도 때로는 텅 비고 의미 없는 것이라 느껴졌다. 비록 나의 의도는 진실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말이다.


그래서 내가 쓴 글을 공유하기 시작했을 때 나는 자기계발서처럼 들리지 않으려고 조심했다. 사람들에게 하늘이 깜깜하고 땅이 흔들리고 있어도 모든 건 다 괜찮아질 것이라고 말하고 싶지 않았다. 항상 긍정적이고 행복하라고 가르쳐 들고 싶지 않았다. 인생은 그렇게 돌아가는 것이 아니기에. 영원한 행복은 없기에. 어차피 SNS에 그 불가능함을 성취한 양 들먹이는 사람들이 넘처나는 시대니까 말이다.


삶과 이 세상 그리고 주변 사람들에 대한 나의 관점을 진실되게 표현하려고 했지만 가볍고 빈, 무의미한 조언들에서는 멀어지려고 노력했다. 쉽지는 않았다. 왜냐하면 그동안 나는 친구들이 조언이나 위로가 필요할 때 곧잘 찾아오는 그런 사람이었기에. 비록 내가 주는 조언이나 위로가 근본적으로는 그다지 도움이 되지 않았을지라도 말이다.


그렇기에 수도 없이 많이 내게 이런 일이 일어났다. 글을 발행하기 직전에 마지막으로 한 번 훑어볼 때마다 나는 스스로에게 물었다. 이게 무슨 소용이지? 나는 스스로를 반복하고만 있는 걸까? 수많은 자기계발서들이 반복하는 것처럼? 하지만 내가 글을 발행한 후 사람들의 반응을 받을 때까지 나는 절대 그에 대한 답을 알지 못했다.


그래서 사람들이 내게 긍정적인 피드백을 주었을 때, 내 말과 문장에 공감했을 때에서야 나는 내가 적어도 적절한, 의미 있는 글을 썼구나 싶어 안도했다. 화면 너머로 단호한 마음을 부드럽게 안고, 단단히 언 가슴을 조금이나마 녹였다는 사실에 보람을 느꼈다.


하지만 결국 이는 끝이 없는 딜레마이다. 자기계발서에서 제시하는 것처럼 모든 상황에 적합한 조언은 사실 없다. 하지만 나는 기본적으로 모든 이를 독자로 생각하고 글을 쓰고 있다. 그래서 모르겠다. 무엇을 해야 할지. 무엇을 하지 말아야 할지.

제 글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저는 학생이자 창작자, 사진가 그리고 작가입니다. 현재 호주의 멜버른에 거주하고 있습니다. 더 이상 사진을 올리지는 않지만 과거에 제가 찍은 사진들은 인스타그램에서 볼 수 있습니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