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Jieun Choi Jan 28. 2016

칸트, 그리고 글을 쓰는 목적

Immanuel Kant and the Purpose of Writing

2016년 1월 27일, 멜버른


    매일 이렇게 글을 쓰기  시작한 지 2주가 조금 넘었다. 짧다면 짧다, 길다면 길다고 볼 수 있는 2주라는 기간 동안 나름 다채로운 주제로 글을 써왔다. 이제는 일상이 된 글쓰기가 아직은 재미있는 것을 보니 외부적 강제성이 없어서 그런가 싶기도 하다.


    하지만 이렇게 글을 써 내려가고 미미하게나마 피드백을 받으며, 그리고 무엇보다도 나 자신과의 약속을 지키고 있다는 데에 큰 만족감을 느끼다가도 드문드문 망설여지기도 한다.


    망설임. 특정한 대상을 상대로 쓰는 것도, 그리고 특별한 목적을 가지고 쓰는 것도 아닌데 (물론 글 쓰기로  마음먹은 첫날 나는 글을 쓰면서 내가 아끼는 사람들에게 공유해 왔던 내면의 생각들을 공유하고, 내가 미래에 어떠한 일을 할지에 대한 고민을 풀어나감으로써 궁극적으로는 답을 찾고 싶다고는 했지만) 왜 하루의 작지 않은 부분을 글쓰기에 할애하고 있는 것인지 스스로에게 몇 번씩이나 묻기도 한다. 


    새벽까지 글을 쓰다 잠드는 경우가 많아, 아침에는 평소와 달리 여덟 시가 되기 전에는 일어나지 못하는 편이다. 하지만 별다른 계획이 없는 날이라도 아홉 시 즈음에는 눈을 떠서 잠이 들기 전 공유한 글을 한 번 더 읽어보거나 전날 밤 미처 끝내지 못하고 잠든 영화를 마저 보고나 하곤 한다. 찌뿌둥한 날이면 요가를 하거나 나가서 빨리 달리기를 하기도 하고 너저분한 방을 치우거나 아무도 치우지 않은 부엌으로 내려가 설거지를 하기도 한다. 자전거를 타고 친구와 동네에 있는 레바논 음식점에서 만나 점심을 먹으며 소소한 대화를 나누고는 꽤 오랫동안 내 침대맡에 있던 두툼한 책을 꺼내 읽기도 한다.


    이러한 여유로운 일상을 보내다 보면 드문드문 알 수 없는 불쾌함이 나를 콕콕 찌르다 어느새 홍수처럼 밀려오기도 한다. 그동안 반복적으로 말했듯이 내게 주어진 한정된 시간을 나는 분명히 인지하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오히려 그 시간에  대신할 수 있는 무언가를 생각하게 된다. 


    기회비용, 내가 매일같이 글을 쓰느라 포기한 나머지 시간에 대한 내적 갈등의 다른 이름. 이것이 나를 유난히 괴롭히는 날이면, 차라리 그 시간에 조금 더 가시적으로 생산적인 일 — 이를테면 돈을 벌거나 자원봉사를 한다든지 — 을 하는 것이 옳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일말의 죄책감과 함께 몰려오곤 한다.


    그러면 언제나처럼 한 구석에 소중히 꽁꽁 감싸 놓은 생각들을 하나씩 꺼내와 스스로를 위안한다. 이를테면, 세상은 불공평한 거라고, 주변과 나를 비교하면서 죄책감을 가질 시간에 주어진 것에 감사하라던 엄마의 말. 그리고 세상에는 돈보다 중요한 것이 훨씬 더 많다고 가르쳐온 엄마의 모습을 떠올린다.



    오늘따라 유난히 그 답답함이 나를 옥죄어 왔다. 괜한 투정으로 들릴까 봐 누구한테 괜히 말하지도 못하다가 오빠랑 메시지 하다가 알듯 모를 듯 한 마디 했다.


`오빠는 특정한 목적 없이 하는 일의 아름다움을 강조했다. 아마 내게 아마도 자신감을 주려고 이 이야기를 해주었다고 생각한다. 다만, 생각해보면 내가 쓴 글들은 사실 칸트가 말한 공통감에 근거한 주관적 보편성을 일으키지는 못했다. 그러나 특별히 독자를 생각하고 글을 쓰지는 않기에, 또한 내가 판단한 것과 전혀 다른 반응이 종종 나오기 때문에 그 부분에 있어서는 크게 고민하지 않는다. 오히려 다행이다, 덕분에 조금은 확신이 생겼다. ‘목적 없는 합목적성’을 매일 같이 반복하면 조금씩 그 주관적 필연성에 가까워지지 않을까 하는 희망도 생겼다.



    It’s been over two weeks since I have started writing everyday. And during that seemingly short (or long) period of time, I have wrote about diverse topics. Writing has now become a part of my daily routine, and luckily I still find it fun. I guess when no one pressures you to do something, the fun stays.


    Nevertheless, every now and then the whole concept of writing down my thoughts and receiving insignificant amount of feedbacks and above all, feeling satisfied for having been keeping my own promise suddenly turns into a hesitation.


    Hesitation. It comes from knowing that I don’t have a particular audience nor purpose in writing (although I have mentioned on the first day that I am writing to share my thoughts I used to only do with the ones I care, and to write about my concerns about the future and hopefully find an answer to my questions), especially by spending a big chunk of time everyday on it. I have been questioning myself many times.


    It has become quite usual for me to write until late and hence fall asleep in the early mornings. So unlike my usual routine, I wouldn’t be able to wake up before eight. Still, on days without any plans I would still wake myself up around nine and read through what I have wrote, or finish the movie through which I fell asleep midway the night before. If I feel under the weather, I would do some yoga or go out and sprint. Or if I feel like staying in, I would tidy up the messy room or go down stairs and do the dishes in the kitchen. Then, I would cycle to a local Lebanese restaurant and catch up with a friend over a lunch and come home to read a thick book that has been lying by my bedside for awhile.


    A leisurely day is sometimes overtaken by a troubling sense of displeasure that soon dawns on me like a flood forcing its way through my mind. As I have been saying repetitively, I am aware of the limited time that is given to me. Yet, that notion also compels me to think about the things that I can do instead of writing.


    Opportunity cost is another name for my internal struggle for the amount of time I have ‘given up’ for writing everyday. Days when it torments me too much, thoughts like whether it would be better to do something more tangibly productive — like earning money or doing voluntary works — daunt me along with a tinge of guilt.


    And that’s when I reach into a deeper end of my mind where the invaluable lessons and words are kept and bring up one at a time to comfort myself. : for instance, ‘the world is unfair, so instead of feeling guilty by comparing yourself to the rest, be grateful for what you have’, as mom used to say, or ‘there are more important things than money in this world’.


    Such a terrifying pressure especially suffocated me today. I couldn’t tell anyone, afraid to come across as an idle whiner. But while talking to my brother on Facebook I slipped a bit of my concern in a stealthy manner.


    A form of finality without an end. That’s what he told his younger sister who was troubled with her purpose of writing, quoting Immanuel Kant. Simply put, Kant said that a tulip is beautiful for its purposelessness while a pot is not because it has a purpose. And subjective universality is inherent in beauty while based on subjective necessity or Sensus Communis. 


    He emphasized the beauty of doing something without any ends. He probably told me so to boost my confidence. It made me realized that my writings did not quite arouse a sense of subjective universality based on Sensus Communis. However, I do not write for a specific audience and even if I do, I am aware that the response is not under my control, making it my least concern. But that’s alright, because thanks to my brother now I have a bit of stronger conviction. I now have a hope that if I repeat this act of ‘a form of finality without an end’, I might get closer to that subjective necessity little by little.

작가의 이전글 좌절감 아래 단결하는 소수(少數)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