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매거진 Book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윤여경 Jun 12. 2018

스매로기=천황

<역사의 역습> 김용운, 209p

"아마도 스매로기를 천황을 일컫는 가장 오래된 고어로 알고 칭했겠지만, 그는 그 말이 백제어에서 나온 것이라고는 꿈에도 생각하지 못했을 것이다. 스매로기는 '소머리+기'이다. '기'는 '치=사람' 스매로는 소머리가 변형된 말이다" <역사의 역습> 김용운, 209p


여기서 그는 미시마 유키오를 의미한다. 그는 천황이 인간임을 선언하자 고대의 방식으로 할복한 일본의 유명 작가다. 나는 그의 신념이 흥미롭지만, 더 흥미로운건 천황의 의미가 '소머리 사람'이었다는 점이다. 

-

소머리 사람이 신이자 왕이었던 곳을 하나 더 알고 있다. 바로 지중해 크레타 섬이다. 크레타 문명을 미노스 문명이라고도 말한다. 여기서 미노스는 미노타우르스의 줄임말이다. 미케네의 테세우스는 그 섬의 신=왕인 미노타우르스를 죽이고 영웅이 된다. 고대그리스의 술잔에는 테세우스가 소머리 인간과 싸우는 그림이 그려져 있다. 

-

공교롭게도 두 지역 모두 섬이다. 그들은 소를 신으로 여기고 있던 것이다. 호전적인 미케네와 아시리아 등은 사자를 신으로 여겼다. 한국은 곰을 신으로 여기는데 동료로 호랑이가 등장한다. 주로 고구려 지방 북방민족이 그랬다. 반면 백제와 신라는 좀 달랐던듯 싶다. 

-

우리말에 '우두머리'라는 말이 있다. 한자인가 찾아봤더니 순우리말이다. 그래도 '우'가 소이고 '두'가 머리라는 느낌은 여전히 강하다. 즉 우두머리란 소머리 중에 으뜸, 즉 리더 중의 리더를 의미한다. 놀랍지 않은가... 한반도 남쪽의 신은 곰이 아니라 소란 점이.

-

사실 크레타도 비슷하다. 크레타 남쪽 내륙, 고왕국 이집트 조각에는 소머리를 한 여신이 등장한다. 그들도 소를 신성시 여겼던 셈이다. 나는 이런 구도를 보면서 지중해와 서해를 겹쳐 보게 되었다. 둘의 구조는 닮아있다. 마치 프랙탈처럼. 게다가 두 지역 대부분이 강에 기반한 문명이다. 여기서 유일한 예외 지역이 그리스이다. 그들에게는 강이 아니라 바다가 있었다. 

-

요즘은 자크 르 고프의 중세와 김용운의 이 책을 읽는다. 예전과 달리 역사책이 재밌다. 이제 역사를 보는 눈이 좀 생긴 걸까? 아니면 역사책을 쓰지 않아도 된다는 부담에서 벗어나서 그런걸까... 아무튼 역사를 읽으면 유익하다. 투키디데스는 전쟁은 잔혹한 선생님이라 말했는데, 문명의 역사는 온건한 선생님인듯 싶다.

매거진의 이전글 역사의 역습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