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매거진 여러 생각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윤여경 Apr 26. 2019

폭력과 이성

사실 따지고 보면 모든 것이 거짓이다. 진실 따윈 없지만 만약 누군가에게, 행여 나에게 진실이 있다는 그것은 내가 믿고 있고, 내 친구와 주변인들이 믿고 있기 때문이다. 즉 진실이란 그 순간의 믿음에 불과하다. 우리가 말하는 소위 지성 또한 진실 믿음의 한 단면이다. 

-

디자인학교 철학 선생님이신 이성민 샘은 아렌트의 말을 빌려 지성과 이성을 구분한다. 진실을 믿지 않으면 어떤 것이 진실인지 고민하게 된다. 이 생각과정이 이성이다. 이성이란 일종의 우유부단 상태... 즉 결정하지 못하는, 판단이 중지된 상태를 말한다. 오래전 서양의 어떤 학파는 이런 상태를 에포케라 말하며 최고의 경지라 여겼고, 근대 철학의 아버지는 이 문제를 마지막으로 골몰했다. 아 그보다 훨씬전 소크라테스는 모름의 자각을 주장했고, 붓다는 참나란 ‘모름’이라 설법했다. 이처럼 역사 속에서 이성적 펙트체크 노력은 가장 중요한 가르침이었다. 

-

요즘 우리 세상은 가짜뉴스로 넘쳐난다. 그래서 팩트체크 뉴스가 중요해졌다. 나 또한 요즘 어떤 팩트 체크 회사의 브랜딩을 돕고 있다. 이 도움이 저널리즘 문화에 기여할수 있길 바라며. 하지만 사실 난 모든 뉴스는 쇼며 드라마며 가짜 뉴스라고 생각한다. 심지어 팩트체크 뉴스도 마찬가지다. 앞서 말했듯 진실은 없으니까.

-

그러나 ‘진실이 없다’는 표현은 좀 가혹하다. ‘진실이 유보된다’라는 정도가 좋을듯 싶다. 유보는 곧 진실여부를 알기 위해 노력하는 판단력, 바로 이성을 부른다. 그렇다면 우린 어떤때 이 이성을 써야 할까? 바로 악을 만났을 때이다. 여기서 악은 실체적 악마는 아니다. 어떤 해로운 판단이나 폭력을 의미한다. 뉴스나 이론, 이념, 관점에서 악은 선악의 이분법이다. 가령 지성과 이성의 이분법은 악이 아니다. 이 이분법은 사태를 이해하기에 아주 유용하고 유익하다. 반면 남북을 가르고 북은 나쁜놈, 빨갱이로 규정하는 이분법은 나쁘다. 이것은 해로운 판단을 낳고, 폭력을 유발한다. 

-

앞서 나는 폭력은 폭력을 낳는다고 썼다. 이번 글은 폭력이 어디서 기인하는지 말하고 있다. 그것은 바로 ‘이성 없음’에서, 아렌트가 말한 ‘악의 평범성’에서, 선악을 이분법으로 나누는 견고한 지성에서 온다. 그것을 경고하고 싶다. 

-

내가 이런 글을 쓰는 이유는 패턴으로 역사를 읽었던 유사 역사디자이너로서 앞으로 수년안에 폭력이 우리 사회를 지배할까 두려워서이다. 그래서 지금 내가 할수 있는 건 사전에 폭력을 인지하고 그 원인을 알려줌으로써 혹 폭력적 사태가 올 경우 스스로 자제할 수 있도록... 결국 폭력을 막는 유일한 방법은 이성적 판단력에 호소하는 길 뿐이기에... 그렇다.

매거진의 이전글 서울시 맛집 리스트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