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매거진 감성ZIP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Comma Jun 26. 2022

[소년적니 (Better Days), 2019]

교육이란 목적 하에 자행되는 침묵 속 폭력




우리는 수많은 빛깔들로 세상을 본다. 색깔들은 우리로 하여금 아름다운 감정을 느끼게도 하고, 하염없이 우울하게도 만들었다가, 평온을 찾게끔 돕기도 한다.


영화에서 쓰여지는 색채의 의미는 그 때 그 때 다르지만, <소년적니> 에서의 "파랑"은 타인의 고통에 무감할 것을 교육받고 체득한 수많은 청소년들을 의미한다.



주인공 첸니엔 반의 한 학생이 학교폭력을 당하다가 결국 자살을 한다. 피해자가 죽자, 첸니엔은 곧바로 가해자들의 다음 타겟으로 지명된다. 카메라는 이를 방관하는 학생들 얼굴 하나하나를 빠른 컷 전환으로 보여준다. 그 누구도 첸니엔에게 손을 내밀지 않는다. 방관하거나, 때로는 동조하거나, 그저 불안한 표정으로 바라만 볼 뿐이다.




첸니엔은 도움을 요청해봤자 돌아오는 건 "참으라"는 대답 뿐이라는 사실에 절망한다.

"가오카오 (중국의 수능)가 끝나면 모든 게 끝날 거고, 너는 떠날 수 있을 테니까."

이에 분개하지만, 한편으로는 그 말에 설득된 첸니엔은 공부에만 매진한다.





그렇게 벼랑 끝에 내몰린 채 하루하루를 살아가던 첸니엔은 우연히 길거리의 양아치 샤오베이를 만나게 된다.

마치 잘못 꿰어진 단추처럼, 둘은 맞는 듯 안 맞는 듯 삐걱이다가 서서히 서로를 마음 속에 들이게 된다.


"꼭 베이징 대학에 가야 해" 라고 스스로에게 세뇌하듯 말하는 첸니엔을, 어쩌면 그가 이해할 수 없는 세계에 사는 첸니엔을 샤오베이는 지켜주기로 결심한다. 그저 멀리서, 자신이 보이지 않을 만큼의 거리를 두고


"넌 계속 걸어. 네 바로 뒤에 내가 있을게"



이들의 사랑은 낭만적이다. 그럴 수밖에 없었을 지도 모른다.

모든 걸 잃은 이들에게 붙잡을 것은 서로 뿐이었을 테니까


또다시 벼랑 끝에 내몰린 첸니엔을 위해 샤오베이는 자신의 모든 것을 걸고 그녀를 지킨다.


"넌 세상을 지켜, 난 너를 지킬게"


그리고 몇 년 뒤, 다시 현재 시점으로 돌아온 씬에서도 샤오베이는 여전히 멀리서 첸니엔을 지킨다.

더이상 그때처럼 모자를 눌러쓰고, 모르는 사람처럼 거리를 두지 않고도, 당당히 낮에 거리를 걸을 수 있는 사람이 되었다.








중국의 학교와 한국의 그것은 무척이나 닮아 있다. 대학 잘 가면 다 해결돼. 지금은 힘들어도 조금만 참으면, 대학 잘 가면 네 인생은 달라질거야.


학교는 세상의 꼭대기에 서는 방법만을 가르친다.

그러나 정작, 어떻게 하면 "좋은 어른"이 되는지는 그 누구도 가르치지 않는다.

도움을 청할 때 제대로 된 손길을 내미는 어른은 없다. 어떻게 해야 이들을 바른 길로 인도할 수 있을까, 고민하는 어른도 없다.





인간은 완벽하지 않다. 겉으로 보기에 완벽한 사람도 허실을 숨기고 있으며, 완벽한 선인도 악인도 존재하지 않는 게 세상이다. 그러나 우리는 그 사실을 자주 망각하며 살아간다.

선악을 구분짓고, 타인의 도덕성을 비판하고, 사회에 다신 나와선 안될 존재라며, 갱생이 불가능하다며, 그렇게 타인을 비난하며 희열을 느끼는 것에 익숙해진다.


교육이란 뭘까. 학교는 대체 아이들에게 무엇을 가르치고, 그 댓가로 무엇을 빼앗아가고 있는 걸까. 학생이 아닌 한 명의 사회 구성원으로서 이 작품을 보는 내내 수많은 감정을 느낄 수밖에 없었다.


배움의 목적은 곧 인간다움을 배우는 것이다. '인간다움'의 필수요건은 타인에 대한 이해와 존중, 그리고 공감이다. 한 명이라도 더 나은 선택을 하고, 더 나은 사람이 되는 것이 교육의 목적이 되어야 한다. 어떻게 하면 모든 것들에 무감해지는 어른이 되는 방법이 아니라.



"참으라" 말하면서 아이들이 당하는 폭력엔 무책임한 어른들에게 던지는 말들 같아서 인상깊었던 첸니엔의 대사들.





















매거진의 이전글 [언내추럴: Unnatural, 2018]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