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죄와 벌」 2권을 펼친 순간이었다. 이제 겨우 1권을 끝냈는데, 500 페이지나 되는 2권을 보고 한숨이 나왔다. 정말 꾸역꾸역 읽었다. 누구도 나에게 읽으라고 하지는 않았지만 중간에 포기하는 기분이 너무 싫었다. 그래서 하루에 세 페이지라도 읽었고, 완독 하는 데에는 3개월이 걸렸다.
페이지 수가 많아서 오래 걸린 것이 아니다. 칼 세이건의 「코스모스」는 페이지 수는 거의 비슷하지만 읽는 데에 2주밖에 안 걸렸다. 아마 학교 수업과 과제가 없었다면 더 빨리 읽었을 것이다. 어찌 됐든 결국 「죄와 벌」도 완독을 했다. 다시는 도스토예프스키의 책은 안 읽을 거라고 다짐했지만 그 이후에도 「지하로부터의 수기」나 조주관 교수님의 「죄와 벌의 현대적 해석」이라는 책을 찾게 됐다. 돌이켜보면 나는 읽는 동안에는 그렇게 지치던 「죄와 벌」이 도리어 그리웠던 것 같다.
비법이라는 말을 나는 그다지 좋아하지 않는다. 하지만 내 블로그 독자, 그리고 브런치 독자들에게, 무엇보다 나에게 책 추천을 자주 부탁하는 내 친구들에게 '꼭' 하고 싶은 말이 있다. "아무리 지겨운 책도 중간에 그만둬서는 안 된다." 끝까지 읽어야 한다. 그런데 어떻게 해야 책을 정독(精讀) 하여, 완독(完讀) 할 수 있을까? 세상만사가 지름길이나 비법 같은 건 없는 것 같다. 나도 처음 경제학 서적이 아닌 다른 책들, 고전 문학이나 러시아 소설들을 접했을 때는 너무 어려웠다. '그때 알았으면 더 수월하게 읽었을 텐데...' 하는 것들이 있다. '끝까지' 읽기 위해, 책을 손에서 쉽게 놓지 않는 몇 가지 방법을 이야기해보고 싶다.
기록하며 읽는 것은 그 책을 꾸준히 읽는 데에 상당히 도움이 된다. 모든 내용을 기록하라는 게 아니라, 내 가슴에 와 닿는 구절이나 인상 깊은 내용을 기록하며 읽는 것이다. 이렇게 읽을 때의 장점은 읽으면서 '중요한 내용'을 찾게 된다는 점에 있다. 지루하다는 생각이 가득 찬 채로 책을 읽으면 눈은 글자를 읽고 있는데 머리로는 아무 내용이 들어오지 않는다. 의도적으로 중요한 내용을 찾아 기록하려 하면 글의 내용을 놓치는 불상사는 피할 수 있다. 그리고 의도적으로 와 닿는 말들을 찾으려 노력하면 평소였으면 와 닿지 않았을 말들이 오히려 가슴 깊이 새겨지기도 한다.
다만 너무 세세하게 기록하는 것은 주의해야 한다. 읽는 것보다 기록하는 데에 많은 시간이 걸리게 되면 책을 한 권 읽고 있는 동시에 책을 한 권 쓰고 있는 셈이다. 오히려 독서가 피로한 활동으로 느껴질 수 있다. 추천하는 방법은 페이지 수와 키워드만 간략하게 노트에 적어놓거나, 날개 포스트잇으로 중요한 부분을 표시해놓는 것이다. (나는 주로 중요한 부분은 포스트잇을 붙여놓고, 나중에 서평을 쓰면서 포스트잇을 하나씩 떼는 편이다)
독서가 도통 진도가 안 나갈 때 내가 쓰는 방법이다. 이번 주 중에 내가 시간이 가장 여유로운 날을 생각해본다. 그리고 그날 한 시간을 정확하게 잡아놓고 책을 읽는 것이다. 그 한 시간 동안은 휴대전화도 잠시 치워놓고 오로지 책과 단둘이 시간을 보낸다. 타이머를 맞춰놔도 좋다. 하지만 한 시간이라는 약속은 지켜야 한다. 만일 이게 아직 어려운 독자라면 30분도 괜찮다. 시간의 양보다도 그 시간을 온전히 책 읽는 데에만 쓰는 게 중요하다. 어림잡아 한 시간 동안 40 페이지를 읽는다 치자. 나는 글을 읽는 속도가 빠른 편은 아니어서, 보통 한 시간이면 40에서 50쪽 정도 읽는다. 그리고 만일 책이 200 페이지라고 치면, 그 한 시간만으로 최소한 5분의 1은 읽은 셈이다. 공부를 도통 안 하는 아이에게 부모님이 공부할 시간을 정해주고 그 시간을 다 채우면 놀게끔 해주는 것과 비슷하다. 우리도 책 앞에서는 그냥 어린 아이다.
가장 중요한 말, 핵심적인 내용은 책의 맨 마지막에 나온다는 말이 있다. (그래서 이 글도 맨 마지막인 이 부분에 가장 중요한 팁이 있다) 하지만 실제로 꼭 그렇지는 않다. 작가는 저마다의 글쓰기 방식이 있고, 중요한 부분을 마지막에 갖다 놓는 작가들도 있지만 그러지 않는 작가들도 상당히 많다. 그런데 책을 마지막까지 읽어야 그 책의 진가를 알 수 있다는 점은 분명한 사실이다. 그 이유가 있다. 책을 중요한 부분만 발췌독 한다거나, 이미 핵심 내용은 다 이해했다면서 중간에 덮어버리면 그 책을 읽는 데에서 얻는 성취감을 느낄 수 없다. 나는 내가 완독 해낸 책의 내용은 시간이 지나도 잘 기억하는데 완독 하지 못했던 것들은 내용이 하나도 기억나지 않는다. 대표적인 예시로 학교 과제 때문에 억지로 읽었던 존 롤스의 「만민법」는 이제는 한 톨씨의 내용도 기억나지 않는다. 아무튼, 책의 진가를 알려면 그 책의 전체적인 내용을 알아야 하고, 전체적인 내용을 알고 기억하려면 완독에서 얻는 성취감이 있어야 한다.
책의 첫 장을 펴는 순간 그 행위는 그 책과의 약속이라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 이 책을 '꼭' 완독 하겠다고 약속하는 것이다. 요즘은 유튜브와 팟캐스트, 몇 분이면 다 볼 수 있는 정보 매체가 너무 많다. 심지어는 정보가 선택과 소비의 대상, 다시 말해 상품이 되고 있다. 그래서 사람들은 "읽는 행위"를 자신의 권리라고 생각하지 책임이라고 생각해본 적이 없다. 하지만 책을 읽는 것은 내 권리인 동시에 책임이다. 완독을 하겠다는 약속이라는 뜻이다.
친구들이 나에게 책 추천을 종종 부탁한다. 예전에는 내가 좋아하는 책들, 정말 좋은 작품들을 여럿 추천해 줄 수 있었는데 요즘은 그렇게 하지 못한다. 그런 책들은 그들이 안 읽을 게 뻔하기 때문이다. 이제는 짧은 책들, 쉽지만 의미 있었던 책들을 추천하게 된다. 심지어는 그 책들도 완독 했다는 소식을 듣기 어렵다. 언젠가 내가 그런 걸 신경 쓰지 않고 다시 솔직하게 책을 추천해 줄 수 있으면 좋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