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Master Seo Mar 22. 2017

2. 온프레미스 인프라와 네트워크 알아보기

나는 ISP, 네이버, 대기업, 중소기업에서 20년이상 인프라를 운영 했다.

내용 공유합니다.


온프레미스가 이후 클라우드에서 다른 용어로 불리우게 된다.

우선 온프레미스 인프라와 네트워크를 알아보자~


다음은 IT 서비스를 오픈해야 하는데  인프라를 잘 모르는 분들을 위한 글이다.

인프라에 대한 전체적인 개념을 알고 싶은데 마땅한 정보가 없는분

네이버처럼 대규모 인프라는 어떻게 운영되는지 알고 싶은분

개발은 외주를 주는데 서비스 서버에 포팅해야 하는데 어떻게 하는지 궁금하신분


궁금해하는 점들

1. 서버가 어떻게 들어가 있는가?

2. 네트워크 구성을 알고 싶다.

3. 가상 서버는 뭐가 다른가?



1장. 전통적인 인프라 소개

2장. 네트워크 구성

3장. 서비스 오픈전 문서화 해야 할 내용




1장.  전통적인 인프라 소개


<1> 데이터 센터와 랙

<2> 네트워크와 보안 장비

<3> 서버

<4> 스토리지



<1> 데이터 센터와 랙


1

데이터 센터는 서버,네트워크 장비등을 수용하는 공간이다.

예) 서울 데이터 센터, 부산 테이터 센터 , IDC (인터넷 데이터 센터)라고 부른다.


2

랙은 서버와 네트워크 장비를 수용하는 설비이다.

Data Center(IDC) 안에  전원을 공급받아 배치되어 있는 수용 장비이다.

서버,  네트워크 장비, 스토리지를 수용하고 있는 것이 랙이다.



3

랙에 서버는 다음과 같이 설치된다.

랙은 2개의 전원이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네트워크장비나 서버가 2개의 전원을 제공하므로 2개 전원을 각각 연결한다.



4

랙 배치를 보면 , 보통 L2 스위치인  Access Swich가 있고, 서버들이 연결된다.

Access Switch는 허브라고 보면 된다.





<2> 네트워크와 보안 장비



1

L2  ?

서버가 연결되는 스위치로  Access Switch라고도 한다.

서버에 가장 근접해 있는 스위치


2

L3 ?

인터넷 회선이 연결되는 장비이다.

라우터 또는 L3 Switch가 사용된다.


3

L4 ?

서버를 이중화하도록 해주는 장비이다.

서버 로드 밴런싱 장비라고 한다.

SLB 장비라고도 부른다.


4

보안장비

서버에 구축하기도 하고, 오플라이언스로 일체 솔루션 장비가 도입되기도 한다.

방화벽 , IDS (침입탐지시스템), IPS (차단 시스팀) 등이 있다.



<3>  서버


1

서비스가 올라가는 장비

CPU , Memory , 디스크(HDD)를 가지고 있는 장비.

물리 서버와 가상 서버로 나누어진다.


2

물리 서버

일반 물리적인 서버를 이야기한다.

서비스에는 웹, WAS, DB서버가 사용되는데, 주로 DB서버는  주로 물리 서버를 사용한다.

가상 서버는 물리 서버 안에 논리적으로 OS(이미지)를 만들어 올린 것이다.

IO가 많은 DB들은 가상 서버에서 느린경우  물리 서버를 권장한다.




3

가상 서버

주로 웹, 와스 서비스에 사용한다.


4

디스크 = 서버의 데이터 저장장치


RAID란?

서버는 디스크(HDD) 안정성 강화를 위한 RAID 구성을 한다.  (Redundant Array of Inexpensive Disks)

RAID는 여러 개의 디스크에 일부 중복된 데이터를 나눠서 저장하는 기술이다.

웹서버는  RAID 1(미러링)으로 구성을 보통 한다.




<4> 스토리지


1

NAS

웹서버에서 이미지를 같이 공유하고자 할 때 주로 사용한다.

데이터 저장, 이기종 간에 데이터  공유할 때 사용




2

SAN

높은 신뢰성, 빠른 전송,  DB 이중화 시 사용된다.

고비용이 발생한다.





2장. 네트워크 구성


<1>  인프라  구성




<2> 서버  설치


1

서버 HW설치

랙에 서버 연결 스위치에 설치 된다.(L2 스위치 =  Access SW라고 한다)

웹서버, WAS 서버, DB서버 이중화를 위해 물리적으로 2개 랙에 분산 배치하도록 한다.

스위치가 죽더라서 서비스가 계속되어야 하기 때문에 분산 배치를 한다.

전원은 이중화 되어 있으므로, 스위치나 서버도 이중화된 전원에 각각 연결한다.

전원은 1개 랙에 이중화 됨





2) OS 설치

Linux와 Windows가 설치된다.

Linux는 Centos나 Redhat이 주로 설치된다.




3장. IT 서비스 오픈전/후  문서화 해야 할 내용


1. 담당자 정보

2. 서비스 구성도

3. 서버 리스트, 서버 군별 특성

4. 연동 구성

5. 애플리케이션 정보 / 설정 최적화 확인

6. 데몬 재시작법

7. 모니터링 등록

8. 이중화 테스트

9. DB 백업




다음은

https://brunch.co.kr/@topasvga/62

감사합니다.

                    

매거진의 이전글 1.(입문) IT서비스는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