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봄을 잃어버렸다. 2월말에 시작된 재택근무는 두 달 가까이 지속되었고, 다시 출근을 하면서도 생활의 거리두기는 계속되고 있기에 코로나19 이전의 일상과는 거리가 있는 생활을 하고 있다. 가장 평범한 일상이 얼마나 소중한지 깨닫게 되는 시간이다. 코로나 이후의 시대는 이전과 다른 Next Normal의 시대로 이야기하는데 일상과 근무 환경, 그리고 사람들의 인식도 바뀌는 전환점이 되고 있다. Untact로 인해서 오히려 누구와 연결되어 있는가가 중요해졌는데 Post Corona 시대에 관심을 가져야할 변화를 라이프 스타일과 인식의 변화를 중심으로 정리하고, 마케팅은 어떻게 변하게 될지 예상해 보았다.
1) 라이프 스타일
- Untact : 흩어지면 살고 뭉치면 죽는다
- 주요 키워드 : 원격 근무, 운동, 여가, 라이브 커머스
2) 인식
- Corona Blue : 안전과 신뢰
- 주요 키워드 : 공유보다 안전, 사생활, 커뮤니티
3) 마케팅
- Communication : 홍보에서 소통으로
- 주요 키워드 : 캐시리스, 언론과 미디어, 로컬
넷플릭스의 드라마 <블랙 미러>는 IT가 발달한 가까운 미래 사회를 그리고 있는데 출입시에 그 사람의 과거를 리플레이 해보면서 이상이 없는지 살펴보는 장면이 있는데 정말로 실현되는 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비대면 비접촉이 선호되고, 낯선 사람보다 아는 사람을 중심으로 만나며, 밀폐된 실내 공간보다는 환기가 잘 되는 아웃도어 활동이 증가하는 등 사용자의 라이프 스타일에 변화가 일어날 것이다.
먼저 원격 근무가 자연스럽게 확대되고 있다. 주 40시간 근무는 변하지 않지만 그 시간을 꼭 회사에서 있어야 하는 것은 아니기에 고정된 Office를 벗어나서 내가 있는 곳이 바로 Workplace가 되었다. 다양한 화상 회의 솔루션과 클라우드 환경 덕분에 재택근무를 해도 생산성 하락이 1% 뿐이었다는 조사도 있는데 오히려 출퇴근 시간이 사라지면서 직원 만족도는 올라갔으니 단순한 생산성으로만 평가할 수 있는 것도 아니다.
재택근무해도 생산성 하락 1%뿐… 직원들 지옥철 해방, 서로 못만나니 창의성은 떨어져… 종일 PC 앞도 못떠나, 조선일보, 2020.05.23.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20/05/23/2020052300211.html
재택근무를 해보니 오히려 더 바쁘게 일을 했는데, 방해받지 않고 집중할 수 있으니 장점도 컸다. 덕분에 집에서 키우는 둘째 고양이랑 친해진 것은 덤. 앞으로 출근이라는 개념도 점차 바뀌어서 다양한 협업 솔루션들을 활용한다면 Core Time의 개념도 필요하지 않게 되어서 우리의 생활은 한 마디로 정리하자면 ‘언택트 라이프’로 급격하게 바뀌고 있다.
프로야구가 ESPN을 포함하여 130개국으로 중계되며, 콘서트도 온라인으로 진행하며, 컨퍼런스도 온라인으로 자료를 공유하면서 진행하고 있다. 학교도 온라인 개학으로 시작하여 EBS 교육방송은 클라우드가 없었다면 수 만명이 동시 접속하는 수준이었던 강의 시스템이 수백만명으로 늘어나는 것을 감당할 수 없었을 것이다. 등교를 시작한 학생들은 2미터의 거리를 두기 위해서 한 반의 정원을 더 줄이게 되기에 작은 교실을 위해서 더 많은 학급과 교사가 필요해지고 교사의 수도 늘어나는 효과가 있을 것 같다.
이제 운동은 헬스장이나 체육관에 모여서 하는 것이 아니라 집이나 야외에서 꾸준히 움직이면서 사회적 거리도 유지하고 환기도 잘 할 수 있는 환경이 중요하게 되었다. 미국의 실내 사이클 서비스인 팰로톤도 엄청나게 인기를 끌어서 매출이 64% 급증하였다.
미 홈트레이닝 펠로톤, 코로나 대박 – 매출 64% 급증, 중앙일보, 2020.05.07.
https://news.joins.com/article/23770658
G마켓에서는4월 18일부터 5월 17일까지 한 달 동안 레깅스, 요가복, 필라테스복 하의 판매량이 391% 급증하기도 하는 등 퇴근 후에 동네의 천변을 산책하고 주말에 산을 러닝하듯이 오르는 것도 달라진 풍경이 되었다.
만날 수 없어 더욱 외로워지는 사회가 되면서 사람들이 집이라는 특정한 공간에만 있다보니 온라인 콘텐츠 소비가 급격하게 증가했다. 가장 주목받은 것은 닌텐도에서 출시한 ‘모여봐요 동물의 숲’으로 스위치용으로 출시되어 한 달 만에 1,177만장이 팔렸고 스위치 기기도 328만대나 팔려서 닌텐도의 1분기 영업이익이 1조원을 돌파하는 동력이 되었다. 중고 거래 가격도 판매가격의 2~3배 까지 올라가기도 했다. 넷플릭스는 가입자 수가 1분기에만 10% 가량 증가했고, 유투브의 스트리밍도 엄청나게 증가하고 있다.
사람들이 오프라인 매장으로 쇼핑을 하러 방문하지 않으니 매장 직원이나 쇼호스트가 직접 매장에서 라이브로 중계하면서 온라인 구매를 연결하는 라이브 커머스가 등장했다.
사장님이 쇼호스트로 나섰다 – ‘모바일판 홈쇼핑’ 시대, 조선일보, 2020.05.18.
https://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20/05/18/2020051800245.html
스마트폰이 있으면 누구나 방송할 수 있고, 양방향 소통도 가능하기에 전문적으로 진행하는 곳이 증가하고 있다. 고객 대신 방문하여 대신 입고 사용해 보고 구매를 할 수 있도록 해주는 플랫폼도 점차 증가하고 있다. 장기적으로는 오프라인 매장의 수는 감소할텐데 쇼루밍을 위한 스토어로 전환도 이루어지면서 체험 매장이나 커뮤니티 센터 등 다양한 용도로 변신할 것으로 기대한다.
효율과 성과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성장 중심의 시스템이 가진 장점은 코로나19 사태에서 무기력하게 사라졌다. 생리적 욕구와 안전 욕구가 메슬로우의 욕구 계층 이론 가장 밑에 위치한 것 처럼 위생과 보건이 가장 중요한 가치로 등장했다. 누가 전파자인지 확실하게 알지 못하는 상태에서 개인의 동선은 공공의 안전을 위하여 시간대별로 공개되면서 개인정보 침해의 이슈도 발생 했다. 시행을 앞두고 있는 데이터 3법 개정안은 개인정보를 활용하기 위해서 개인을 식별할 수 없도록 익명화 과정을 거쳐서 익명정보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는데, 코로나 같은 팬데믹이 한 번의 유행으로 끝나지 않기에 앞으로 개인의 사생활을 보호하면서 동선을 확인할 수 있는 좋은 방법이 나올 것으로 기대한다.
다른 사람과 접촉하거나 다른 사람이 사용한 것을 다시 쓰는 경우도 꺼려하게 되었는데, 동전노래방이나 택시 등을 통해서 감염되는 사례가 늘어나면서 더욱 심해지는 것 같다. 흔히 공유 경제로 이야기되던 공유 자동차와 공유 오피스, 공유 숙박 등에 찬바람이 불고 있다. 오히려 자신이나 가족만 독점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 선호되고 있는데 이런 흐름은 장기 렌터카, 장기 숙박 등으로 나타날 수 있을 것이고 공용 공간이 많은 공항, 호텔, 로비 라운지 등의 이용은 줄어들 것으로 예상이 된다. 소유할 것인가 이용할 것인가의 고민이 위생과 안전이라는 주제를 갑자기 만나면서 사용자의 인식이 급격하게 변화하는 듯 하다.
이제 혼자 성장하는 시대는 끝이 났으며, 느슨하게 연결(weak-tie)되는 커뮤니티는 믿을 수 있는 전문성을 가진 전문가 인플루언서 중심으로 팬덤이 형성되는 강한 연결(strong-tie)이 강화될 것이다. 정보 습득의 방식이 대중적인 것에서 전문성을 가진 집단에 대한 가치로 이동하였으며, 소셜 미디어를 중심으로 전문가가 함께하는 소규모 커뮤니티가 형성되기도 하였다. 그리고 이 커뮤니티는 연결될 타인을 섬세하게 가리고 예의에 기반하여 모이는 사회적으로 평등한 형태로, 마치 게임속 캐릭터를 키우는 것 처럼 자신의 또 다른 역할을 만드는 아바타를 통하여 그 안에서 형성되는 콘텐츠와 커뮤니티 활동이 활발해 질 것이다.
우리나라는 이미 모바일 결제가 증가하면서 지폐와 동전을 거의 사용하지 않고 있는데, CBS 모닝쇼에서는 코로나가 현금없는 사회를 앞당기고 있다는 보도가 나왔다.
Coronavirus concerns encourage use of digital payments, CBS This Morning, 2020.05.16.
https://www.youtube.com/watch?v=3lKSvz_-eVM
영국의 ATM 인출량이 60% 감소하였고, 마스터카드의 비접촉식 결제는 40%가 증가했다고 한다. 비대면 비접촉이 우선시 되다 보니 현금을 사용하지 않는 캐시리스(cashless) 경제가 빨리 이루어져서 디지털 결제(Digital Payment)로 전환될 것 같다. 누가 만졌는지 모르는 현금과 동전 보다 신용카드나 NFC와 같은 형태가 빠르게 자리잡을 수 있는 환경이 되었고, 온라인은 기록이 남기에 사회적인 투명성도 더욱 높아지는 계기가 될 것이다.
2000년대에 접어들면서 인터넷이 본격화 되면서 오프라인 미디어도 온라인으로 이동하지 않으면 살아남기 힘들었는데, 이번에 코로나가 가져온 실물 기업의 타격은 광고 시장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거래 절벽을 만난 기업은 우선적으로 광고선전비를 축소할 수 밖에 없고 그 여파로 온/오프라인을 가리지 않고 광고가 줄어들었다.
이제 안전한 곳과 안전하지 않은 곳으로 구분이 되면서 가짜 뉴스가 아니라 대처 방법에 대한 전문가의 의견이 매우 중요하게 여겨졌고 시스템화 되었다. 특히 코로나와 관련된 엉터리 뉴스가 많이 퍼지면서 누가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는지가 중요해졌기에 앞으로는 광고주의 영향력보다 구독자의 영향력이 강해지고, 전문성이 있고 신뢰할 수 있는 미디어를 구독자 스스로 선택하고 있다.
그래서 코로나 이후에는 미디어의 비즈니스 모델이 구독형 콘텐츠 미디어(subscription based contents media)로 빠르게 전환 될 것이다. 올해 3~4월에 285개의 유료 뉴스 사이트를 추적한 결과는 유료 신규 구독이 2월에 비해 유럽의 경우 3월이 146%, 4월이 115% 증가했으며, 미국은 3월이 50%, 4월이 92% 증가했다고 조사되었다.
더밀크 링크 : https://bit.ly/3c6eXJM
What is the impact of the COVID bump on the industry subscriber base?, Inma.org, 2020.05.11.
비행기를 타고 바다 건너 다른 대륙으로 가는 것은 당분간 힘들 것 같다. 우리는 방역이 잘 되더라도 해외에서 확산이 줄어들지 않으면 국가간 이동은 제한적이기에 관광 목적의 여행이나 출장과 컨퍼런스 참여를 위한 것이어도 수요는 자발적/비자발적으로 크게 감소할 것이다. 다만, 국내 여행은 활성화 될 것인데 같은 방역 수준을 유지하고 있고, 병원에 가게 되더라도 안정적인 의료 서비스를 제공 받을 수 있기에 국내의 관광지 뿐만 아니라 잘 알려지지 않았던 구석구석까지 내수 중심의 여행 활성화의 계기가 될 것이다.
결국 코로나 이후의 사회는 전통적인 오프라인 대면 구조를 빠르게 온라인으로 전환하는 것이 중요할텐데, 디지털화와 함께 인공지능을 활용하여 온라인 메신저로 이루어지는 대화형 챗봇(chat-bot), 사용자 또는 사용자 집단의 데이터에 기반한 온라인 추천, 온라인 기반의 커뮤니티 구성 등으로 온라인 디지털 경험을 가지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온라인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분석하는 역량이 제일 중요한 경쟁력 중 하나가 될 것인데, 사용자가 가진 맥락(context)을 분석하여 단순한 메시지보다 콘텐츠를 전달하는 것이 더욱 중요하다.
이 글은 <광고계동향> 2020년 5/6월호에 기고한 글로 편집되어 실렸습니다.
pdf link : https://static.ad.co.kr/data/lit/j8/54/0e/a0/52/179282.pdf
<광고계동향> 2020년 5/6월호 전체 보기
https://www.adic.or.kr/lit/journal/getJournal.do?sourceUkey=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