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고기는 존재하지 않는다> 감상 후기글
*환경문제와 직접적 관련이 있는 내용은 아닙니다. (스포일러 주의)
나는 범주를 부수고 나왔다. 자연이 프린트 된 커튼 뒤를 들춰보았다. 있는 그대로의 세상을, 무한한 가능성의 장소를 보았다. 모든 범주는 상상의 산물이다. 그건 세상에서 가장 근사한 느낌이었다.
우리는 전에도 틀렸고 앞으로도 틀리리라는 것. 진보로 나가는 진정한 길은 확실성이 아니라 «수정 가능성이 열려 있는»회의로 닦인다는 것.
자신을 책임지는 삶이 버거울 때가 있습니다. ‘세상’에서 별로 중요하지도 않은 ’나‘라는 존재를 위해서 더 노력할 동기도, 그렇다고 주저앉아버릴 용기도 없는데 누군가와 그 고민을 나누기는 더 어려운 순간이 말입니다.
도서 <물고기는 존재하지 않는다>의 저자 룰루 밀러는 그런 경험을 계기로 어류 분류학자였던 “데이비드 스타 조던”의 전기를 파헤치기 시작합니다. 그녀는 데이비드의 ‘확신으로 가득 찬’ 인생에 매료었습니다. 어떤 것도 삶의 의미가 될 수 없었기에 어떤 것이라도 붙잡고 싶었던 절박함이 그 끝을 읽어 내게 합니다. 제가 이 책을 끝까지 읽었던 이유도 같습니다. 그래서, ‘당신’은 결국 살아야만 하는 분명하고도 합당한 근거를 발견하게 되었는지 답을 얻고 싶었거든요.
그는 일평생 완벽한 ‘종 분류’ 체계를 구축하고자 했습니다. 인간은 모든 종을 지배해 마땅함을 믿습니다. 그리고 이를 증명하기 위해 우월하고 열등한 종을 ’생명의 사다리‘로 분류하고자 합니다.
그러나 고작 비슷한 껍데기만으로 물속에서 아가미로 숨 쉬는 연어와 폐로 숨을 쉬는 폐어를 같은 ‘어류’로 묶어버리기는 어렵습니다. 차라리 장기 구조 등의 측면에서 폐어와 포유류의 유사점이 더 많기에 ‘어류’는 사실상 존재하지 않는다는 주장이 학계의 정설입니다. 그러니 학문적으로 존재하지 않는 체계 안에서 분류된 종의 구분은 무의미에 가깝습니다. 결국, 데이비드가 반대 증거들을 직시하지 않고 집착한 ’잘못된 믿음‘은 ’도태되어야 할‘ 인간 대상으로 약 6만 건의 불임수술을 옹호하는 결과를 낳게 됩니다.
저자가 매료되었던 ‘확신의 세계’는 데이비드의 오류와 함께 허상으로 붕괴합니다.
이것은 비극일까요?
직접 만든 체계 안에서 인간은 발전해왔습니다. 그러한 틀을 통해 세상을 바라보고 해석하고 상상하는 인간의 고유한 능력, ’범주화’는 세상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현상과 문제를 인식하고 해결하려는 인간의 노력과 맞물려 있습니다. 그리고 우리는 그 일이 ‘수정 가능한’ 영역에 있다는 사실 역시 잊어서는 안 될 것입니다.
우리가 인식하는 대상은 어디 까지나 ‘우리 세상’의 것입니다. 하지만 우리가 볼 수 없던 것도 늘 그 자리에 존재했습니다. ‘물고기’가 아닌 어떤 새로운 생명, 새로운 종, 전혀 다른 개념이 이 세상에 존재할 수 있다는 사실처럼요. 그렇게 또 다른 범주가 탄생하듯 우리는 누군가에게, 어떤 세상에서 가장 ’중요‘한 존재가 될 수도 있을 것입니다.
새로운 사실, 더 중요한 가치는 불확실함 속에서 피어납니다.
그 가능성에 또 다른 희망을 발견하며 살아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