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트로스트 Oct 20. 2022

일잘러 직장 동료와 비교하는 나, 상담으로 관점 바꾸기

직장 대인관계 스트레스, 심리상담사님의 답변은?

일잘러 직장 동료를 둔 나영씨. 


나영씨와 입사 동기인 A는 일도 잘하고 성격도 싹싹합니다. 함께 일하는 동료들과 상사들의 애정을 한 몸에 받고 있고, 나영씨에게도 살뜰히 대해주는 사람입니다. 오늘 아침 출근길에도 저 멀리서 뛰어와 나영씨에게 밝게 인사를 건넸죠. 나영씨도 그런 A를 동기로 둔 게 든든하고 자랑스러웠어요.


나영씨는 본인은 일을 엄청나게 잘하지도, 못하지도 않는 평범한 직장인이라고 생각했습니다. 처음에는 남들을 크게 의식하지 않고 성실하게 하루하루 열심히 일하며 지냈어요. 그런데 시간이 갈수록 사람들에게 A와 함께 언급되는 일이 잦아졌고, 심지어 A와 비교하는 말을 듣는 일도 종종 생겼습니다. 속상한 마음을 다잡고 'A는 A! 나는 나!'라고 속으로 읊조리며 넘기려고 했지만, 어느새 머릿속에 'A라면 어떻게 했을까?', '이번 일로 A랑 또 비교되면 어쩌지?' 하는 걱정이 떠오르곤 합니다.


당장 일을 더 잘할 방법을 찾을 수 있는 것도 아니고, 먼저 사람들에게 더 친근하게 다가가 볼까 하다가도 오늘은 어떤 얘길 듣게 될지 발걸음이 망설여지기도 합니다. '직장인을 가장 힘들게 하는 스트레스 요인이 대인관계라는데, 이건 내가 뭘 어떻게 바꿔야 할지 모르겠어.'


스스로 조연을 자처하는 것 같은 자기 모습에 자괴감이 들기도 하고, 괜히 A가 미워졌다가, 미안해졌다가, 화났다가 하는 마음에 혼란스럽기도 합니다. 비교하는 직장 사람들과, 비교하게 되는 자신의 마음. 어떻게 하면 이 상황에서 벗어나서 나영씨가 자신에게 집중할 수 있을까요? 


일잘러 입사 동기와 계속 비교하게 되는 나, 
어떻게 벗어날 수 있을까?


Photo by Ilyuza Mingazova on Unsplash


트로스트의 오형경 심리상담사님은 그런 나영씨에게 이런 답변을 건넸습니다:


짧은 이야기이지만 그 안에 나영씨의 하루하루가 담겨있는 것 같아요. 직장인에게 직장동료로 인한 스트레스란, 일과 중 받는 스트레스 중에 정말 큰 부분이죠. 스트레스를 받을 법한 일에 스트레스를 느끼는 건, 내가 내 마음을 잘 돌본다는 것과도 같습니다. 사람은 누구나 쉽게 비교하고, 상대적인 가치 평가로 마음이 흔들릴 수 있어요. 더군다나 주변에서 나와 동료 A를 같이 언급하게 되면 아무리 마음이 단단하고 유연한 사람이라도 신경이 쓰이게 될 수밖에 없죠.


나를 좌절하게 만들 수 있는 일이기도 하지만, 동시에 비교라는 건 나를 발전시켜 나가거나 나를 지켜나갈 수 있는 일이기도 합니다. 새로운 관점이 하나 추가된 것이라고 볼 수 있거든요. 그러니, 나를 '조연'의 위치에 두기보다는 주인공이 되어서 다른 드라마의 주인공인 A를 관찰해 보세요. 'A라면 어떻게 했을까? 아, 이건 내가 혼자서는 생각해 보지 못했던 방법이니까 새롭게 시도해 볼까?' 하는 관점이죠. 모델링은 스스로 더 좋은 모습을 갖기 위한 학습 방법의 하나입니다. 무작정 따라 하는 게 아니라 '나'라는 기준 필터를 갖고 나에게 맞추어 가져오는 것이니 결국 '내 것'이 되는 거예요.


비교는 나를 발전시켜 나갈 수 있는 일이기도 해요.
'나'라는 기준 필터를 갖고 나에게 맞춰 가져오면 '내 것'이 될 수 있어요.


새로운 관점을 연습할 때는 마음이 한곳으로 모이고 평안한 상태가 되어야 합니다. 비교하는 나를 자책하기보다는, '아, 비교하는 마음이 있구나.'라고 빨리 정리한 뒤에, 생각이 그다음으로 넘어가게 해주세요. 비교를 인정하는 순간, 비교는 더 이상 나를 평가하는 일이 아니게 됩니다. 모쪼록 직장에서의 하루가 힘듦보다는 괜찮음이 많은 날이 되시기를 바랍니다. 만약 이 고민이 나영씨를 계속 힘들게 한다면, 더 깊은 이야기를 나누어보는 것도 좋아요. 언제든 찾아주세요.




직장에서의 인간관계와 스트레스, 직장 생활하며 오는 수많은 내면의 고민과 어려움. 심리상담으로 주변 상황을 보는 관점을 바꾸고, 나 자신을 제대로 이해하고,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을 배울 수 있어요. 우리의 직장 생활이 더 행복해질 수 있도록, 트로스트의 멘탈케어 회사 복지를 소개할게요. 



"트로스트케어" - 기업·조직용 멘탈케어 복지 구독 서비스 

- 구성원 1인당 구독료 월 9,900원

- 전문 심리상담사와 1:1 비대면 심리상담, 명상, 힐링 ASMR, AI 심리진단 및 일상 케어까지

- 모든 서비스를 무제한 이용!


https://bit.ly/3SfXuE6


지금 웹사이트에서 자세한 서비스 소개를 확인해보세요.

국내 1위 멘탈케어 앱, 트로스트의 B2B 담당자와 바로 채팅하실 수 있어요 :)

매거진의 이전글 직장 상사에게 주눅들지 않고 '멘탈' 챙기는 법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