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매거진 협치특강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글쓰는어공 Jun 07. 2023

물줄기를 따라 올라가면 강의 상류를 만날 수 있다

문제해결과 협치

하면 좋은 사업이 아닌, 문제를 해결하는 사업을 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먼저 문제의 원인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어쩌면 당연한 소리이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문제의 원인을 찾는 것은 당연하다. 하지만 현장에서는 당연한 상황이 일어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문제의 ‘진짜 원인’이다. 어떤 문제를 일으키는 진짜 원인, 뿌리 원인(root problem)이라고 표현하기도 한다.

     

문제의 원인과 현상에 대해 이해하기 위해서 강물의 움직임을 살펴보자. 우리가 보는 대부분의 강물은 강의 하류에 해당한다. 강의 물줄기를 따라 올라가면 강물이 시작되는 강의 상류를 만날 수 있다. 하류는 매우 큰 강의 형태이지만 강물의 상류는 아주 작은 물줄기로 시작한다.

     

어떤 사회문제가 발생했을 때 그 현상은 우리 주변에서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우리는 생각보다 많은 형태와 숫자로 문제의 현상을 마주한다. 이런 문제의 현상은 강의 하류에 해당한다. 많은 경우 현장에서는 눈에 보이는 작은 현상에 집중하여 해결책을 모색한다. 하지만 아쉽게도 현상에 집중한 해결책은 해당 문제를 해소하지 못한다.     

우리가 집중할 부분은 문제의 원인이다. 그것도 진짜 원인을 찾는 것에 집중해야 한다. 문제의 진짜 원인은 눈에 잘 보이지 않는다. 우리 주변의 다양한 현상을 따라 깊이 들어가야 찾을 수 있다. 마치 큰 강의 물줄기를 따라 계속 올라가 산 꼭대기에서 강물의 시작점인 작은 물줄기를 찾는 것과 같다.


하지만 우리가 살아가는 사회는 강물과 다른 점이 있다. 강물은 물리적으로 상류와 하류를 명확하게 구분할 수 있지만 사회현상은 그렇지 않다. 그렇게 딱딱 떨어지지 않는다. 그렇기에 우리는 상대적 개념을 활용해야 한다. 그저 더욱 상류에 해당하는 방향으로 나아가는 수밖에 없다. 수많은 변수가 작동하는 사회(social)라는 현실세계에서는 산 꼭대기 아주 작은 물줄기의 시작점을 찾는 것은 불가능에 가깝다. 그러하니 문제의 원인을 찾았는데 결과가 신통치 않았다고 실망하지 말자. 당신이 찾았다고 생각한 것이 진짜 원인이 아니었을 확률도 꽤 높다. 우리는 최대한 강의 상류(upstream)로 가려고 노력하는 것이 중요하다.

문제 원인의 상류 개념을 이해하기 위해 예시를 하나 가져왔다. 도둑을 막는 방법이다. 도둑을 막는 방법은 어떤 것이 있을까? 초단위부터 연단위까지 다양하게 생각해 볼 수 있다. 단기적으로 도둑을 막는 방법은 각종 경보장치 시스템을 이용하는 것이다. 우리가 흔히 CCTV를 설치하여 범죄를 예방하는 개념과 비슷하다. 하지만 근본적으로 도둑 없는 사회를 만들기 위해서는 재범률을 하락시키기 위한 방법, 도둑이 발생하지 않는 경제적, 사회적 환경을 만드는 방법을 모색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렇게 보니 문제의 진짜 원인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좀 더 긴 시계열로 사안을 바라보는 것이 유용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앞서 언급했듯이 우리 동네나 지역에서 사회 문제의 원인을 찾을 때 꼭 장기적 관점으로 산 꼭대기 강줄기의 시작점을 찾을 필요는 없다. 해당 지역의 조건과 상황에 맞추어 최대한 문제의 상류로 가기 위해 노력하는 것이 중요하다. 비록 현장에서 바로 문제의 진짜 원인에 대해 해결하는 것이 어려울지라도, 진짜 원인을 인지하고 해결을 못하는 것과 아예 인지하지 못하는 것은 매우 다르다.







매거진의 이전글 하면 좋은 사업이 아닌, 문제를 해결하는 사업을 하자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