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편리왕 Aug 20. 2023

최고(最古)의 존재, 최고(最古)의 욕망

다섯 번째 흉추(2023) directed by 박세영


  김도훈 평론가는 한국 독립 영화의 경향으로 크게 ‘홍상수 스타일’과 ‘다르덴 스타일’이 있다고 언급한 바 있다. 양자 모두 일상적 공간에서 현시대를 바탕으로 하는 리얼리즘 영화라는 공통점을 갖고 있다. 전자는 개인과 예술을, 후자는 사회 문제와 소외 계층을 탐구한다는 점이 이 둘을 가르는 특징이다. 김도훈 평론가는 단순 분류로서 이 예시를 들었지만, 나에게는 한국 독립 영화의 몰개성을 비판하는 말처럼 들렸다. 홍상수와 다르덴은 최소한의 인물과 카메라로 깊이를 빚는 거장들이다. 따라서 돈 없는 창작자에게 그들을 벤치마킹하는 건 구미가 당길 수밖에 없다. 그 과정에서 주목할 성취가 없었던 것도 아니지만, ‘한국 독립 영화에 꼭 나오는 대사들’ 같은 빈정거림 섞인 밈도 함께 생겨났다.

 <다섯 번째 흉추>는 이러한 한국 독립영화 이분법에서 완전히 자유롭다. 영화는 첫 장면부터 마지막까지 영화 속 시간과 장소를 구체적으로 알려준다. 언뜻 중요해 보이는 이 정보들은 적어도 영화 내적으론 그다지 큰 영향을 끼치지 않는다. 영화는 강북구, 노원구 등 실존하는 지명을 들어가며 영화 속 공간을 명시한다. 그러나 영화 속 동네가 어디인지 몰라도 감상에 지장이 없을 만큼 영화의 공간은 우리의 일상과 무관하다. 몇 년 몇 월 며칠까지 일러주는 날짜도 아무 의미 없으며 영화는 시대적이지도 않다. 이 정보들은 그저 영화가 가진 강력한 직진성, 그리고 그 직진의 방향을 가르쳐줄 뿐이다. 이 영화의 직진은 시작도 끝도 없되, 어제도 오늘도 내일도 쉼 없이 진행 중이다.

 화면에 가장 먼저 등장하는 건 사람이 아닌 매트리스다. 이 영화의 주인공은 인간이 아닌 곰팡이기 때문이다. 영화는 곰팡이를 설명하는 많은 정보 중 크게 두 가지를 중심으로 전개된다. 하나는 곰팡이가 죽음과 공생한다는 사실이다. 살아있는 것 위에는 곰팡이가 피지 않는다. 무생물 위에 붙어 분해자 역할을 하는 균류에게 죽음은 필요 조건이다.


 영화의 초반 ‘결(문혜인)‘은 집 밖을 나서려는 남자친구 ’석 (함석영)‘에게 ’너 지금 가면 죽어‘라고 엄포를 놓는다. 이때 ’죽어‘라는 그녀의 말은 곧 ’나와 함께 살아‘라는 의미이다. 뒤이어 ’결‘은 길 위에서 악에 받쳐 ’죽어‘라고 외친다. 그녀의 저주, 즉 삶과 죽음이 서로 등을 맞댄 지점에서 우리의 주인공 매트리스 곰팡이가 탄생한다. 영화 중후반부 같은 매트리스 위에 한 번은 살을 맞댄 연인이, 한 번은 죽어가는 환자가 몸을 누인다. 이처럼 곰팡이는 에로스와 타나토스를 모두 포괄하는 존재이고 배경이다.


 이 곰팡이는 인간이 되기 위해 인간 뼈를 취하고, 그 과정에서 언어도 습득한다. 이때 그것이 반복하는 말은 ‘추워’ 와 ‘죽어’의 중간쯤으로 들린다. 둘 다 눈 내리는 바깥에서 한참을 기다렸을 매트리스 안에 강하게 자리 잡았을 말로 어울린다. ‘추워‘라는 말도 결국 살고 싶다는 의지 표명이다. 영화는 균류를 통해 삶과 죽음을 동시에 경험하는 실존적 체험을 풀어나간다.

 반면, 이 영화의 조연인 인간들이 하는 대사는 이상할 정도로 아무 의미가 없다. 이야기를 진행하는 대사도 아니고 정보를 전달하는 대사도 아니다. 인간 인물의 대화만으로는 그들이 정확히 어떤 상황이고 어떤 관계인지 알 수 없다. 그리고 영화조차도 인간들 사이의 일에는 큰 관심이 없다는 태도다. 결국 영화 속 인간들의 말은 어떤 방식으로도 영화를 운반하지 않는다. 오직 곰팡이의 말인 ’죽어‘, 그리고 마지막 시퀀스 속 읊조리는 편지가 유일하게 의미 있고 영화를 추동하는 대사다.

 영화가 주목한 또 다른 곰팡이의 특징은 바로 아주 오래된 존재라는 사실이다. 곰팡이는 인간보다, 공룡보다, 그보다 훨씬 오래전부터 이 행성에 존재해 왔다. 따라서 곰팡이를 이야기한다는 건 아주 오래된 것들에 대해 논하겠다는 의지다. <다섯 번째 흉추>는 곰팡이를 통해 오래된 욕망에 관해서 이야기한다. 곰팡이를 스쳐 가는 인간들은 모두 무언가 욕망한다. 연인들은 상대를 욕망하고, 부모는 자식의 안녕을 소망하고, 외로운 이는 함께이길 갈망한다. 이 세 가지 바람은 모두 이 행성에서 인류의 역사와 궤를 같이한다. 따라서 <다섯 번째 흉추>는 곰팡이가 오래된 만큼이나 우리 안에 케케묵은, 그러나 여전히 유효한 마음을 다룬다는 점에서 알 수 없는 공감과 서정을 느끼도록 만든다. 곰팡이가 남기는 마지막 말은 자녀에게 ‘비타민 챙겨 먹어’라는 당부다. 따라서 <다섯 번째 흉추>는 ’죽어‘로 시작해 ’살아‘로 끝나는 여정이다.

 중요한 건 이 모든 것을 담은 그릇의 모양이다. <다섯 번째 흉추>는 한국 영화에서 보기 드문 디자인의 성취를 보여준다. 피와 살을 이뤄가는 곰팡이를 표현한 연출은 데이비드 린치가 <이레이저 헤드>에서 보여줬던 야심을 연상케 한다. 또한 몽환적인 분위기의 모텔과 용달차 내부 디자인은 단숨에 눈길을 사로잡는다. 그러나 <다섯 번째 흉추>는 이미지에 뒤지지 않는 사운드로 이 세계를 완전하게 만든다. 영화의 가장 첫 장면, 이삿짐센터 직원의 윽박과 다른 직원의 중얼거림, 그리고 핸드폰 넘어 들리는 ’결‘의 목소리는 마치 3부 합창처럼 오디오를 물 샐 틈 없이 채운다. 이어서 영화는 음소거, 음성 변조, 곰팡이가 내는 굉음까지 현실에 없는 소리를 찾아 이리저리 조합하며 이 세계를 빚어나간다.

 결말에 이르면 곰팡이는 서울에서 연천에 이르고, 시간은 21세기에서 34세기에 다다른다. 정확한 지명과 숫자는 중요하지 않다. 이 곰팡이가 상상할 수 있는 가장 먼 곳에 도착했구나, 라는 감각이 중요하다. 그러나 연천 북쪽에도 여전히 세계가 있고 34세기보다 먼 미래도 존재한다. 영화는 끝나도 영화가 품은 직진은 끝나지 않는다. 우리가 이 곰팡이의 여정에 동참하는 방법은 간단하다. 극장 밖을 나서며, 이 기상천외한 독립세계가 사실 우리 세계와 얼마나 닮았는지 체감하는 것.

아트나이너 17기 강탄우



매거진의 이전글 사랑은 선(善)을 보장하지 않는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