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유가 Nov 05. 2024

내 자식한테는 큰소리가 난다.

 공격적인 말투는 예민함에서 온다고 생각했다.

 혼자였던 이 전과 달리 아이가 생기고 책임이 늘면서 자연스럽게 신경 쓸 게 많아졌다. 아이가 어릴 때는 힘들어도 내가 좀 더 움직이고 신경 쓰면 대부분 해결됐다. 아이가 보챌 때는 다독여주면 가라앉았다. 즉각적이진 않아도 어떻게 하면 해결될지 알기에 괜찮았다.


 문제는 아이들이 크면서 시작됐다. 한 번 해서 말을 듣지 않는 아이들 때문에 날카롭게 변했다. 1을 말하면 2, 4, 5, 7, 3, 8을 거치고서야 1을 할까 말까 한 게 애들이다. 내겐 그 과정을 기다릴만한 마음의 여유가 없다. 그냥 딱 그것만 하면 해결될 일을 쓸데없는 거 하느라 신경질 나게 하고, 결국 한소리 듣고 나서야 기분 안 좋게 실행하는지 모를 일이다. 원래 애들은 다 그런 거라지만 그걸 이해한다고 해서 화가 안나는 것도 아니다.


 내가 알던 내 모습과는 달라진 지금이 스스로에게 심각한 스트레스다. 그래서 더 날카로워지고, 그 때문에 더 자책하고... 악순환의 고리는 나와 남을 상처 준다. 그리고 그 상처가 또다시 악순환의 고리에 들러붙어 더 큰 악순환이 된다. 참 답도 없는 일이다.


그런데 사실은 다르다. 예민함이 시작인 줄 알았는데 그건 연료에 불과했다. 내가 아이에게 화를 내는 이유는 무의식 중에 내가 정한 높낮이 때문이다. 


나는 결혼을 하면서 딱 하나 다짐했다.

'나는 아빠처럼 살지 않을 거야.'

전형적으로 수직적인 옛날사람인 아버지는 무척 엄한 사람이라고 생각한다. 그 아래에서 자란 나는 더 친근하고 수평적인 아빠가 되겠다 다짐했다.


그런데 아무리 잘 놀아주고 신경 써주고 해도 결국 화를 내는 부분에선 내가 수직적이기 때문에 그랬던 거다. 

내 지시를 따르지 않았기에 화가 나고 그걸 내뿜는 거다. 나보다 아래라고 생각했기 때문에 내뿜을 수 있는 거다.

약강강약. 약자에게 강하고, 강자에게 약하다.

최소한 같은 높이라고만 생각했어도 훨씬 화날 일은 줄었을 거다. 모든 통제권을 내가 '전부' 쥐고 있어야 한다는 무의식 때문에 하나라도 틀어지면 화가 난 거다.


나는 다 이해한다고 말하는 꼰대 아빠였을 뿐이다.


이걸 알아도 고치는 게 쉽지 않다. 

'이쁘게 말해야지'라고 마음먹고 입을 열어도 말꼬리가 날카롭게 올라가면서 결국 듣기 싫은 소리가 뱉어진다. 스스로도 참 이해할 수 없는 일이다.

내 입에서 나오는 소리 하나 맘대로 못하면서 아이들이 내 맘대로 돼야 한다는 게 얼마나 오만한 생각인가.


오늘도 다시 한번 마음을 다잡는다.

조금 더 여유를 갖고 말에 배려와 높이를 담아 전하기를.

VIP 손님이라고 생각해 봐야겠다.




매거진의 이전글 애들이 나를 망친 건 아니었습니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