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gressional Research Service.(2021)
Hoehn, John R., Caitlin Campbell, and Andrew S. Bowen. "Defense primer: What is command and control." Congressional Research Service. https://crsreports. congress. gov/product. 2021.
https://www.everycrsreport.com/reports/IF11805.html
The Department of Defense (DOD) defines command and control (C2) as “[t]he exercise of authority and direction by a properly designated commander over assigned forces in the accomplishment of the mission.”
미국 국방부(DOD)는 지휘 통제(C2)를 “임무 수행 중 적절히 지정된 지휘관이 할당된 부대에 대해 행사하는 권한과 지휘”로 정의한다.
At its most fundamental level, C2 represents how DOD makes operational decisions. One can view C2 through the context of five variables: who, what, when, where, and how (see Figure 1).
가장 기본적인 차원에서, C2는 국방부가 어떻게 작전 결정을 내리는지를 나타낸다. C2는 다섯 가지 변수를 통해 볼 수 있다: 누구, 무엇, 언제, 어디서, 그리고 어떻게(그림 1 참조).
Traditionally, Congress has focused on the authorities (the “who”) and technology (the “how”) variables, and less so on the force mix (“what”), temporal (“when”), and geographic (“where”).
전통적으로, 의회는 권한(“누구”)과 기술(“어떻게”) 변수에 주로 초점을 맞추었고, 병력 구성(“무엇”), 시간적(“언제”), 지리적(“어디서”) 요소에는 덜 주목해왔다.
China and Russia have developed strategies to disrupt or potentially deny DOD its ability to make decisions; as a result, DOD is modernizing systems and processes to command and control military forces.
중국과 러시아는 국방부의 의사결정 능력을 방해하거나 차단하기 위한 전략을 개발해왔고, 그 결과 국방부는 군대를 지휘하고 통제하는 시스템과 프로세스를 현대화하고 있다.
The first variable that Congress has traditionally focused on reflects the authority a commander has to execute an operation.
의회가 전통적으로 초점을 맞춰온 첫 번째 변수는 지휘관이 작전을 수행할 권한을 반영한다.
This line of discussion focuses on the chain of command, reflecting the differences between the military services—charged with organizing, training, and equipping U.S. forces (e.g., the Army provides infantry battalions and the Air Force creates fighter squadrons)—and the combatant commands who decide what those units should do and give them orders.
이 논의는 지휘 체계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미군을 조직하고 훈련시키고 장비를 제공하는 군대(예: 육군은 보병 대대를 제공하고 공군은 전투기 편대를 창설함)와 그 부대가 무엇을 해야 하는지 결정하고 명령을 내리는 전투 사령부 간의 차이를 반영한다.
This variable can be summarized by the question: “who commands forces?”
이 변수는 “누가 병력을 지휘하는가?“라는 질문으로 요약될 수 있다.
The second variable represents the hardware and systems that enable commanders to make these decisions and transmit them to the field.
두 번째 변수는 지휘관이 이러한 결정을 내리고 이를 현장으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하드웨어와 시스템을 나타낸다.
Terms like command, control, communications (C3), C3 plus computers (C4), and intelligence, surveillance, and reconnaissance (ISR) enter the discussion.
지휘, 통제, 통신(C3), C3에 컴퓨터가 추가된 C4, 그리고 정보, 감시, 정찰(ISR)과 같은 용어들이 이 논의에 등장한다.
This technical dimension of command and control looks at the data (and method of collection) that commanders use to make decisions (i.e., ISR is the data to enable decision-making), the processing power to transform data into information (the computer element), and the systems that enable commanders to communicate their decisions to geographically distributed forces.
지휘 통제의 이 기술적 측면은 지휘관이 결정을 내리는 데 사용하는 데이터(및 수집 방법), 데이터를 정보로 변환하는 처리 능력(컴퓨터 요소), 그리고 지휘관이 지리적으로 분산된 병력에 결정을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을 다룬다.
This technical approach to command and control can be summarized as, “how do you command forces?”
이 기술적 접근은 “어떻게 병력을 지휘하는가?“라는 질문으로 요약될 수 있다.
Other variables of command and control answer separate questions: which systems and units are being commanded (“what”), the temporal aspect (“when”), and geography (“where”).
지휘 통제의 다른 변수들은 각각 별도의 질문에 답한다: 어떤 시스템과 부대가 지휘되고 있는가(“무엇”), 시간적 측면(“언제”), 그리고 지리적 측면(“어디서”).
Congress has historically expressed interest in each of these variables in the context of specific, rather than general, issues.
의회는 전통적으로 일반적인 문제보다는 특정 문제와 관련하여 이 변수들에 관심을 표명해왔다.
For example, rather than considering general purpose forces, Congress has focused on issues regarding nuclear forces and authorities associated with special operations (“What forces are being commanded?”).
예를 들어, 일반 군사력보다는 의회가 핵무기 부대 및 특수 작전 관련 권한 문제에 집중해왔다(“어떤 부대가 지휘되고 있는가?”).
Regarding the “when,” Congress has expressed interest in command and control associated with quick response to nuclear and cyber operations, and to a limited extent in terms of electromagnetic spectrum operations.
“언제”와 관련하여, 의회는 핵 및 사이버 작전에 대한 신속 대응과 관련된 지휘 통제에 관심을 가져왔으며, 전자기 스펙트럼 작전 측면에서도 제한적으로 관심을 표명해왔다.
However, a sensitivity on “when” generally is more tactically focused (e.g., when to have aircraft on target, when an assault on a building should begin); these decisions are often delegated to operational commanders.
그러나 “언제”에 대한 민감성은 일반적으로 더 전술적 초점에 맞춰져 있으며(예: 항공기가 목표에 도달해야 하는 시점, 건물 공격이 시작되어야 할 시점), 이러한 결정은 종종 작전 지휘관에게 위임된다.
The geographic component (“where”) presents unique challenges for commanding U.S. forces.
지리적 요소(“어디서”)는 미군을 지휘하는 데 독특한 도전 과제를 제시한다.
Congress and the executive branch traditionally explore and debate these issues through the lens of the National Security Strategy.
의회와 행정부는 전통적으로 국가 안보 전략을 통해 이러한 문제들을 탐구하고 토론한다.
This debate focuses on the U.S. role in the world and the locations and interests of its rivals, as well as potentially discussing authorization of the use of military forces.
이 토론은 세계에서 미국의 역할, 경쟁국들의 위치 및 이익, 그리고 군사력 사용 승인에 관한 논의를 중심으로 진행된다.
Key strategic competitors identified in the National Defense Strategy (NDS), like China and Russia, have observed U.S. military operations for the past 30 years, noting that disrupting C2 systems could be one cost-effective solution to mitigating U.S. military advantages.
국방 전략(NDS)에서 언급된 주요 전략적 경쟁자인 중국과 러시아는 지난 30년 동안 미국의 군사 작전을 관찰하며, C2 시스템을 방해하는 것이 미국의 군사적 우위를 약화시키는 비용 효율적인 해결책이 될 수 있음을 주목해왔다.
As a result, potential adversaries have developed systems and strategies to reduce the effectiveness of U.S. command and control systems.
그 결과, 잠재적 적국들은 미국의 지휘 통제 시스템의 효율성을 감소시키기 위한 시스템과 전략을 개발해왔다.
China’s military strategy has been informed by the concept of “systems confrontation,” which is similar to the U.S. concepts of sharing information with multiple systems.
중국의 군사 전략은 “시스템 대결”이라는 개념에 기반을 두고 있으며, 이는 여러 시스템과 정보를 공유하는 미국의 개념과 유사하다.
The systems confrontation concept assumes that victory in modern warfare does not necessarily require annihilation of adversary forces on the battlefield, but instead can be achieved by paralyzing major operational systems, such as command and control or logistics.
시스템 대결 개념은 현대 전쟁에서 승리는 반드시 전장에서 적군을 괴멸시키는 것이 아니라, 지휘 통제나 물류와 같은 주요 작전 시스템을 마비시킴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고 가정한다.
To this end, China’s military modernization has emphasized developing—for example—the ability to reduce the effectiveness of adversary satellites and communications systems and thus prevent adversary forces from connecting weapons systems and sharing data and information.
이를 위해 중국의 군사 현대화는 예를 들어 적의 위성과 통신 시스템의 효율성을 감소시켜 적군이 무기 시스템을 연결하고 데이터를 공유하지 못하게 하는 능력을 개발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To accomplish this, China’s military in 2015 established the Strategic Support Force (SSF), which combines cyber, space, and electronic warfare functions into a unified effort and supports the use of these capabilities by the military’s ground, air, naval, and missile forces.
이를 달성하기 위해, 중국군은 2015년에 사이버, 우주, 전자전 기능을 통합한 전략지원부대(SSF)를 설립했으며, 이를 통해 육군, 공군, 해군, 미사일 부대의 작전을 지원한다.
Similarly, Russian military strategists and planners focus on countering adversaries’ command, control, communications, computers, intelligence, surveillance, and reconnaissance capabilities.
마찬가지로, 러시아 군사 전략가와 계획자들도 적군의 지휘, 통제, 통신, 컴퓨터, 정보, 감시, 정찰(C4ISR) 능력을 무력화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A central focus is striking critical targets to paralyze an adversary’s military ability and political willingness to sustain a fight.
주요 초점은 적의 군사 능력과 싸움을 지속하려는 정치적 의지를 마비시키기 위한 핵심 목표를 타격하는 것이다.
Russian strategists take a holistic approach, often referred to as “disorganization” in Russian military doctrine, to disrupting an adversary’s command and control capabilities through the integrated use of all available systems (including information, cyber, electronic, air defense, air, and missile strike forces).
러시아 전략가들은 적의 지휘 통제 능력을 무력화하기 위해 “혼란(disorganization)“이라는 군사 교리 하에 정보, 사이버, 전자전, 공방 시스템, 공군, 미사일 공격 부대를 포함한 모든 가용 시스템을 통합적으로 사용하는 포괄적 접근 방식을 취한다.
To do so, Russia combines defensive and offensive capabilities to target an adversary’s ability to conduct and sustain operations by deflecting attacks on key Russian systems, while disrupting an adversary’s command, control, and communications systems.
이를 위해, 러시아는 방어 및 공격 능력을 결합하여 주요 러시아 시스템에 대한 공격을 방어하는 동시에, 적의 지휘, 통제, 통신 시스템을 방해함으로써 적의 작전 수행 및 지속 능력을 저해하는 전략을 펼친다.
Russian strategists view the initial period of war as decisive and believe that deflecting attacks while simultaneously degrading an enemy’s capabilities will allow Russia to win a conflict through attrition.
러시아 전략가들은 전쟁 초기 단계가 결정적이라고 보고, 공격을 방어하는 동시에 적의 능력을 약화시킴으로써 소모전을 통해 승리를 거둘 수 있다고 믿는다.
Like China, Russia focuses on destroying the ability of adversary forces to operate effectively rather than physically eliminating them.
중국과 마찬가지로, 러시아도 적군을 물리적으로 제거하기보다는 적군의 효과적인 작전 능력을 파괴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DOD officials have argued that future conflicts may require decisions to be made within hours, minutes, or potentially seconds compared with the current multiday process to analyze the operating environment and issue commands.
국방부 관계자들은 미래의 분쟁에서는 현재 여러 날 동안 운영 환경을 분석하고 명령을 내리는 과정에 비해 몇 시간, 몇 분, 혹은 심지어 몇 초 안에 결정을 내려야 할 수도 있다고 주장한다.
They have also stated that the department’s existing command and control architecture is insufficient to meet the demands of the NDS.
그들은 또한 국방부의 기존 지휘 통제 구조가 국방 전략(NDS)의 요구를 충족시키기에 불충분하다고 밝혔다.
DOD proposes the Joint All-Domain Command and Control (JADC2) concept as a method to counter potential adversaries’ ability to disrupt U.S. forces’ combat operations.
국방부는 잠재적 적국이 미군의 전투 작전을 방해할 수 있는 능력에 대응하기 위한 방법으로 전군 다영역 지휘 통제(JADC2) 개념을 제안한다.
The JADC2 concept envisions connecting sensors from all of the military services—Air Force, Army, Marine Corps, Navy, and Space Force—into a single network, thus eliminating the possibility that an adversary could cripple a U.S. force by taking out a single, key sensor.
JADC2 개념은 공군, 육군, 해병대, 해군, 우주군 등 모든 군대의 센서를 하나의 네트워크로 연결하여, 적군이 하나의 주요 센서를 제거함으로써 미군의 전투력을 마비시킬 가능성을 제거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This contrasts with the tradition of each of the military services developing its own tactical network that was incompatible with those of other services (e.g., Army networks were unable to interface with Navy or Air Force networks).
이것은 각 군이 고유의 전술 네트워크를 개발하고 다른 군의 네트워크와 호환되지 않던 전통과는 대조적이다(예: 육군 네트워크는 해군 또는 공군 네트워크와 인터페이스할 수 없었다).
DOD uses ride-sharing service Uber as an analogy to describe its desired end state for JADC2.
국방부는 JADC2의 궁극적인 목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차량 공유 서비스인 우버(Uber)를 비유로 사용한다.
Uber combines two different applications—one for riders and a second for drivers.
우버는 승객용 애플리케이션과 운전사용 애플리케이션, 두 가지 다른 애플리케이션을 결합한다.
Using the respective users’ position, the Uber algorithm determines the optimal match based on distance, travel time, and passengers (among other variables).
우버 알고리즘은 사용자들의 위치를 기반으로 거리, 이동 시간, 승객 수 등의 변수를 통해 최적의 매칭을 결정한다.
Uber then provides directions for the driver to follow, delivering the passenger to their destination.
그런 다음 우버는 운전사에게 경로를 제공하여 승객을 목적지로 안내한다.
Uber relies on cellular and Wi-Fi networks to transmit data to match riders and provide driving instructions.
우버는 셀룰러 및 Wi-Fi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여 승객과 운전사를 매칭하고 운전 지침을 제공한다.
Proponents of JADC2 claim that it will provide a cloud-like environment for the joint force to share intelligence, surveillance, and reconnaissance data, transmitting across many communications networks, to enable faster decisionmaking (see Figure 2).
JADC2 지지자들은 JADC2가 합동 군대가 정보, 감시, 정찰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는 클라우드와 같은 환경을 제공하고, 여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여 더 빠른 의사결정을 가능하게 할 것이라고 주장한다(그림 2 참조).
JADC2 is intended to enable commanders to make better decisions by collecting data from numerous sensors, processing the data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lgorithms to identify targets, then recommending the optimal weapons—both kinetic and nonkinetic (e.g., cyber or electronic weapons)—to engage the target.
JADC2는 수많은 센서에서 데이터를 수집하고,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처리해 목표를 식별한 후, 물리적 및 비물리적(예: 사이버 또는 전자 무기) 무기 중 최적의 무기를 추천하여 목표물을 공격할 수 있도록 지휘관이 더 나은 결정을 내리도록 설계되었다.
Some analysts take a more skeptical approach to JADC2.
일부 분석가들은 JADC2에 대해 보다 회의적인 접근 방식을 취하고 있다.
They raise questions about its technical maturity and affordability, and whether it is even possible to field a network that can securely and reliably connect sensors to shooters and support command and control in a lethal, electronic warfare-rich environment.
그들은 JADC2의 기술적 성숙도와 경제성, 그리고 센서를 전투원과 안전하게 연결하고 치명적이고 전자전이 풍부한 환경에서 지휘 통제를 지원하는 네트워크를 실제로 배치할 수 있는지에 대해 의문을 제기한다.
Analysts also ask who would have decision-making authority across air, land, sea, space, and cyberspace given that, traditionally, command authorities are delegated in each domain rather than from an overall campaign perspective.
또한 분석가들은 전통적으로 각 영역에서 지휘 권한이 위임되었기 때문에, 공중, 지상, 해상, 우주, 사이버 공간 전반에 걸쳐 누가 의사결정 권한을 가질지에 대한 의문을 제기한다.
Some also question how much a human would be needed for JADC2 to make decisions in real time, and whether it is appropriate to reduce the amount of human involvement in military-related decisions.
또한 일부 분석가들은 JADC2가 실시간으로 결정을 내리는 데 얼마나 많은 인간의 개입이 필요한지, 그리고 군사 관련 결정에서 인간의 개입을 줄이는 것이 적절한지에 대한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