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매거진 논문 리뷰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변재현 Sep 29. 2024

논문 리뷰 : IT 연구에서의 “IT”를 절실히 찾으며

Orlikowski, W.J., & Iacono, C.S. (2001)

Research Commentary: Desperately Seeking the “IT” in IT Research—A Call to Theorizing the IT Artifact

Orlikowski, W. J., & Iacono, C. S. (2001). Desperately seeking the ‘IT’in IT research: A call to theorizing the IT artifact. Information Systems Research, 12(2): 121-134.

https://www.jstor.org/stable/23011075



Abstracts


The field of information systems is premised on the centrality of information technology in everyday socio-economic life.

정보시스템 분야는 일상적인 사회경제적 삶에서 정보기술이 중심을 차지한다는 전제를 바탕으로 하고 있다.


Yet, drawing on a review of the full set of articles published in Information Systems Research (ISR) over the past ten years, we argue that the field has not deeply engaged its core subject matter—the information technology (IT) artifact.

그러나 지난 10년 동안 Information Systems Research (ISR)에 발표된 모든 논문을 검토한 결과, 이 분야는 핵심 주제인 정보기술(IT) 아티팩트에 깊이 관여하지 않았다고 주장한다.


The IT artifact itself tends to disappear from view, be taken for granted, or is presumed to be unproblematic once it is built and installed.

IT 아티팩트 자체는 시야에서 사라지거나 당연하게 여겨지며, 일단 구축되고 설치되면 문제가 없다고 간주되는 경향이 있다.


After discussing the implications of our findings, we propose a research direction for the IS field that begins to take technology as seriously as its effects, context, and capabilities.

이 연구 결과의 함의를 논의한 후, 우리는 정보시스템(IS) 분야에서 기술 자체를 그 영향, 맥락, 그리고 기능만큼 진지하게 받아들이는 연구 방향을 제안한다.


In particular, we propose that IS researchers begin to theorize specifically about IT artifacts, and then incorporate these theories explicitly into their studies.

특히, 정보시스템 연구자들이 IT 아티팩트에 대한 이론화를 시작하고, 이 이론을 명시적으로 연구에 포함시킬 것을 제안한다.


We believe that such a research direction is critical if IS research is to make a significant contribution to the understanding of a world increasingly suffused with ubiquitous, interdependent, and emergent information technologies.

이러한 연구 방향이 점점 더 만연하고 상호 의존적이며 등장하는 정보기술로 가득 찬 세계를 이해하는 데 정보시스템 연구가 중요한 기여를 하려면 필수적이라고 믿는다.


Keywords : Information Systems Research; Information Technology; IT Research; IT Theory; Technological Artifacts; Technology Change

키워드 : 정보시스템 연구; 정보기술; IT 연구; IT 이론; 기술 아티팩트; 기술 변화)



Introduction


We begin this paper with what we believe is a telling observation: that the field of information systems (IS), which is premised on the centrality of information technology in everyday life, has not deeply engaged its core subject matter—the information technology (IT) artifact.

이 논문은 우리가 중요한 통찰이라고 생각하는 관찰로 시작한다: 일상생활에서 정보기술이 중심에 있다는 전제를 둔 정보시스템(IS) 분야가 그 핵심 주제인 정보기술(IT) 아티팩트에 깊이 관여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While there have been a number of attempts over the years to conceptualize IT artifacts in various ways (as we will describe below), we find that by and large IT artifacts (those bundles of material and cultural properties packaged in some socially recognizable form such as hardware and/or software) continue to be under-theorized.

수년간 IT 아티팩트를 다양한 방식으로 개념화하려는 시도들이 있었지만(아래에서 설명할 것임), 우리는 IT 아티팩트(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와 같은 사회적으로 인식 가능한 형태로 포장된 물리적 및 문화적 특성의 묶음)가 여전히 충분히 이론화되지 않았다는 것을 발견했다.


Indeed, IS researchers tend to focus their theoretical attention elsewhere, for example, on the context within which some usually unspecified technology is seen to operate, on the discrete processing capabilities of artifacts (as separate from how they operate in context), or on the dependent variable (that which the technology presumably affects or changes as it is developed, implemented, and used).

실제로, IS 연구자들은 그들의 이론적 관심을 다른 곳에 집중하는 경향이 있다. 예를 들어, 일반적으로 명확히 정의되지 않은 기술이 운영되는 맥락이나, 아티팩트의 개별 처리 능력(해당 기술이 맥락 내에서 어떻게 작동하는지와는 별개로), 또는 종속 변수(기술이 개발, 구현 및 사용되면서 영향을 미치거나 변화시킬 것으로 가정되는 것)에 집중하는 것이다.


The outcome is that much IS research draws on commonplace and received notions of technology, resulting in conceptualizations of IT artifacts as relatively stable, discrete, independent, and fixed.
그 결과, 많은 IS 연구는 기술에 대한 일반적이고 받아들여진 개념에 의존하게 되며, IT 아티팩트를 상대적으로 안정적이고, 분리되며, 독립적이고, 고정된 것으로 개념화하게 된다.


As a consequence, IT artifacts in IS research tend to be taken for granted or are assumed to be unproblematic.

이로 인해 IS 연구에서 IT 아티팩트는 당연하게 여겨지거나 문제가 없는 것으로 가정되는 경향이 있다.


Articulations of the nature and role of technology, and theories of its interdependence with social contexts are also missing from classic social theory, where technology is either “black-boxed” and treated as a monolith (Latour 1987), or it “vanishes” from view in the preoccupation with social constructions (Button 1993).

기술의 본질과 역할에 대한 설명, 그리고 그것이 사회적 맥락과 상호 의존하는 이론은 고전적인 사회 이론에서도 찾아보기 어렵다. 여기서 기술은 “블랙박스화”되어 하나의 단일체로 취급되거나(라투르 1987), 사회적 구성에 대한 몰두 속에서 시야에서 사라진다(버튼 1993).


Processes such as innovation and change are conceptualized largely in socio-economic terms, while “things” are not considered or are treated as self-evident (Pinch and Bijker 1987).

혁신과 변화와 같은 과정들은 주로 사회경제적 관점에서 개념화되고, “사물”들은 고려되지 않거나 자명한 것으로 취급된다(핀치와 비제커 1987).


Technology, as the quintessential “thing,” dissipates into the atmosphere around us, or it becomes emblematic of our “age.” We throw it up as a banner of our times, but then instantly let it recede from view by stereotyping or ignoring it.

기술은 전형적인 “사물”로서 우리 주변의 환경에 스며들거나, 우리의 “시대”를 상징하는 상징이 된다. 우리는 기술을 우리 시대의 상징으로 내세우지만, 즉시 그것을 고정된 틀에 가두거나 무시함으로써 시야에서 사라지게 한다.


In this paper, we present evidence for our assertion that IS research has not seriously engaged its core subject matter: the IT artifact.

이 논문에서는 IS 연구가 그 핵심 주제인 IT 아티팩트에 진지하게 관여하지 않았다는 주장을 뒷받침하는 증거를 제시한다.


Our evidence is based on a review of the full set of articles (N=188) published in ISR since its inception 10 years ago. For each article, we examined whether and how IS researchers conceptualized and dealt with information technology and then analyzed the results.

이 증거는 지난 10년 동안 ISR에 발표된 모든 논문(N=188)을 검토한 결과를 바탕으로 한다. 각 논문에서 IS 연구자들이 정보기술을 어떻게 개념화하고 다루었는지 조사한 후, 그 결과를 분석했다.


After presenting the findings, we discuss their implications and then offer some directions for research that are premised on the critical importance of developing and using theories of information technology in IS research.

이 연구 결과를 제시한 후 그 함의를 논의하고, IS 연구에서 정보기술 이론을 개발하고 사용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는 전제하에 연구 방향을 제안한다.




Conceptualizations of the IT Artifact


During the 1980s, several IS researchers attempted to overcome shortcomings in what they perceived to be overly narrow views of technology in the IS field.

1980년대에 여러 IS 연구자들은 IS 분야에서 기술을 지나치게 협소하게 보는 견해의 한계를 극복하려고 시도했다.


They offered alternative conceptualizations of what technology is, how it has effects, and how and why it is implicated in social change.

그들은 기술이 무엇이며, 그것이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그것이 사회적 변화에 어떻게 그리고 왜 관련되는지에 대한 대안적 개념화를 제안했다.


Kling and Scacchi (1982), for example, developed the concept of “web models” of computing in contrast to what they saw as the dominant “discrete-entity” model of computing.

예를 들어, 클링과 스카치(1982)는 그들이 지배적이라고 본 “개별 엔티티” 모델과 대조적으로 “웹 모델” 컴퓨팅 개념을 개발했다.


From their perspective, information technology is more than just the tools deployed on the desktop or the factory floor. It is the ensemble or “web” of equipment, techniques, applications, and people that define a social context, including the history of commitments in making up that web, the infrastructure that supports its development and use, and the social relations and processes that make up the terrain in which people use it.

그들의 관점에서 정보기술은 단순히 책상 위나 공장 바닥에 배치된 도구 이상의 것이다. 그것은 사회적 맥락을 정의하는 장비, 기술, 응용 프로그램, 그리고 사람들의 총체 또는 “웹”이며, 그 웹을 구성하는 데 필요한 약속의 역사, 그 발전과 사용을 지원하는 인프라, 그리고 사람들이 그것을 사용하는 환경을 구성하는 사회적 관계와 과정을 포함한다.


A few years later, Markus and Robey (1988) presented a number of different ways of understanding and stud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echnology and organizational change.

몇 년 후, 마커스와 로비(1988)는 기술과 조직 변화 사이의 관계를 이해하고 연구하는 다양한 방법을 제시했다.


In their analysis, technology can be theorized as playing different roles—as an independent variable, a dependent variable, or as one of a number of players in an emergent process of change (where the outcomes are indeterminate because they are situationally and dynamically contingent).

그들의 분석에서 기술은 독립 변수, 종속 변수 또는 변화의 발생 과정에서 하나의 중요한 요소로서 다양한 역할을 한다고 이론화될 수 있다(결과는 상황적으로 그리고 역동적으로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불확정적이다).


Given Kling and Scacchi’s and Markus and Robey’s articulations of alternative conceptualizations of technology in the 1980s, we wondered what IS researchers had done with them since then.

클링과 스카치, 그리고 마커스와 로비가 1980년대에 제시한 기술의 대안적 개념화를 바탕으로, 우리는 그 이후 IS 연구자들이 이를 어떻게 다루었는지 궁금해졌다.


Had they used or built on these conceptualizations, elaborated or expanded them, or perhaps even created new ones?

이 개념들을 사용하거나 이를 바탕으로 새로운 이론을 발전시켰는지, 혹은 이를 확장 또는 새롭게 해석했는지 궁금했다.


Additionally, how had such alternative conceptualizations influenced our collective understanding of the nature and role of technology in organizational and socio-economic practices?

또한, 이러한 대안적 개념들이 조직 및 사회경제적 관행에서 기술의 본질과 역할에 대한 우리의 집합적 이해에 어떻게 영향을 미쳤는지도 알고자 했다.


To answer these questions we examined the evidence, reviewing every article that has been published in ISR since the journal’s commencement in 1990 through to the end of 1999—a decade’s worth of data on research in the IS field.

이 질문에 답하기 위해 우리는 1990년 이 저널이 시작된 이후부터 1999년 말까지 ISR에 게재된 모든 논문을 검토하여 증거를 수집했다. 이는 IS 분야의 연구에 대한 10년 치의 데이터이다.


Categories of information technology conceptualizations were derived inductively from the data using the grounded theory approach known as “open coding” (Strauss 1987).

정보기술 개념화의 범주는 “오픈 코딩”으로 알려진 근거이론 접근법을 사용하여 데이터로부터 귀납적으로 도출되었다(스트라우스 1987).


Based on our coding of the 188 articles published in the past decade of ISR, we identified 14 specific conceptualizations of information technology.

지난 10년간 ISR에 발표된 188편의 논문을 코딩한 결과, 우리는 정보기술에 대한 14개의 구체적인 개념화를 식별했다.


We then compared these 14 conceptualizations, looking for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and found we could cluster them into five broad metacategories, each representing a common set of assumptions about and treatments of information technology in IS research.

그런 다음 우리는 이 14개의 개념을 비교하여 공통점과 차이점을 찾았고, 이를 5개의 광범위한 메타 범주로 클러스터링할 수 있음을 발견했다. 각 메타 범주는 정보기술에 대한 공통된 가정과 IS 연구에서 이를 다루는 방식을 나타낸다.


Our labels for these metacategories signal the primary conceptualization of technology that distinguishes each category: the tool view, the proxy view, the ensemble view, the computational view, and the nominal view.

이 메타 범주의 명칭은 각 범주를 구분하는 기술의 주요 개념화를 나타낸다: 도구 관점, 대리 관점, 앙상블 관점, 계산 관점, 명목 관점이다.



I. Tool View of Technology


The tool view represents the common, received wisdom about what technology is and means.

도구 관점은 기술이 무엇이고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에 대한 일반적이고 받아들여진 지혜를 나타낸다.


Technology, from this view, is the engineered artifact, expected to do what its designers intend it to do.

이 관점에서 기술은 설계자가 의도한 대로 작동하는 것으로 기대되는 공학적 아티팩트이다.


As such, what the technology is and how it works are seen to be largely technical matters (separate, definable, unchanging, and over which humans have control).

따라서 기술이 무엇인지, 그리고 그것이 어떻게 작동하는지는 주로 기술적인 문제로 간주되며(분리 가능하고, 정의 가능하며, 변하지 않으며, 인간이 통제할 수 있는 것이다).


Kling (1987, p. 311) describes the “tool” view of information technology as: “A computing resource (that) is best conceptualized as a particular piece of equipment, application or technique which provides specifiable information processing capabilities.”
클링(1987, p. 311)은 정보기술의 “도구” 관점을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컴퓨팅 자원은 특정한 정보 처리 능력을 제공하는 특정 장비, 응용 프로그램 또는 기술로서 가장 잘 개념화될 수 있다.”


He argues that such a view conceives of information technology independently of the social or organizational arrangements within which it is developed and used.

그는 이러한 관점이 정보기술을 그것이 개발되고 사용되는 사회적 또는 조직적 배경과는 독립적으로 간주한다고 주장한다.


Latour (1987), in turn, argues that the “tool” view “black boxes” technologies and assumes that they are stable, settled artifacts that can be passed from hand to hand and used as is, by anyone, anytime, and anywhere.

라투르(1987)는 “도구” 관점이 기술을 “블랙박스화”하며, 그것들이 누구든지, 언제든지, 어디에서든 그대로 사용할 수 있는 안정적이고 고정된 아티팩트라고 가정한다고 주장한다.


George et al. (1990), in a study that investigates the impacts of GDSS on group decision making, provide an example of this view.

조지 등(1990)은 GDSS가 그룹 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연구에서 이 관점의 예를 제공한다.


They conceptualize the IT artifact as a set of group communication tools with specifiable features that are hypothesized to produce more effective group outcomes than would result from face-to-face communications without those tools.

그들은 IT 아티팩트를 특정 기능을 갖춘 그룹 커뮤니케이션 도구 세트로 개념화했으며, 이 도구가 없는 대면 커뮤니케이션보다 더 효과적인 그룹 결과를 낳을 것이라는 가설을 세웠다.


We found that the “tool” view was represented in the ISR literature in four different ways: as a tool for labor substitution, a tool for enhancing productivity, a tool for information processing, and a tool for changing social relations.

우리는 “도구” 관점이 ISR 문헌에서 네 가지 방식으로 나타났음을 발견했다: 노동 대체 도구, 생산성 향상 도구, 정보 처리 도구, 그리고 사회적 관계를 변화시키는 도구로서이다.


These four conceptualizations share a view of information technology as a relatively unproblematic computing resource and similarly treat such technology as the primary independent variable.

이 네 가지 개념화는 정보기술을 비교적 문제가 없는 컴퓨팅 자원으로 보고 있으며, 유사하게 이러한 기술을 주요 독립 변수로 취급한다.


Little conceptual or theoretical attention is paid to the technology. Often it is just named (as in “Lotus 1-2-3”) and its technical features are listed.
기술 자체에 대한 개념적 또는 이론적 관심은 거의 없다. 종종 단순히 기술 이름이 언급되거나(예: “Lotus 1-2-3”) 그 기술적 기능들이 나열될 뿐이다.
What matters most in these studies is the dependent variable—that which is affected, altered, or transformed by the tool.
이 연구들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종속 변수, 즉 도구에 의해 영향을 받거나 변경되거나 변형되는 것이다.


What this view suggests is that tool-using humans and organizations can vary labor needs, increase performance, enhance information-processing capabilities, and shift social relations.

이 관점이 제안하는 것은 도구를 사용하는 인간과 조직이 노동 수요를 변화시키고, 성과를 높이며, 정보 처리 능력을 향상시키고, 사회적 관계를 변화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Technology as Labor Substitution Tool


Since the days of mechanization and automation, it was assumed that new technologies would substitute for and replace labor.

기계화와 자동화 시대부터, 새로운 기술이 노동을 대체하고 교체할 것이라고 가정되었다.


Organizations would be more productive because fewer people could do more work (and more reliable work).

더 적은 사람들이 더 많은 일을 (그리고 더 신뢰할 수 있는 일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조직은 더 생산적이 될 것이라고 기대되었다.


Early studies of technologies such as shop-floor numerical control machines ignited age-old fears that machines would replace workers (Castells 1996) and led to predictions of mass unemployment.
초기 기술 연구, 예를 들어, 공장 바닥에서 사용하는 수치 제어 기계와 같은 기술은 기계가 노동자를 대체할 것이라는 오래된 두려움을 불러일으켰으며(카스텔스 1996), 대량 실업에 대한 예측으로 이어졌다.


Similar arguments were made for information technology (Attewell and Rule 1984). Applegate et al. (1988, p. 129), for example, argue that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s are organizational “tool[s] for downsizing and restructuring” as they can replace scores of analysts and middle managers and enable organizations to work more cheaply and efficiently.

비슷한 주장이 정보기술에 대해서도 제기되었다(애트웰과 룰 1984). 예를 들어, 애플게이트 등(1988, p. 129)은 관리 정보 시스템이 수많은 분석가와 중간 관리자를 대체할 수 있고 조직이 더 저렴하고 효율적으로 운영되도록 하기 때문에 조직의 “다운사이징과 구조 조정을 위한 도구”라고 주장한다.



Technology as Productivity Tool


Subsequent notions of technology shifted from labor substitution to labor augmentation.

그 이후의 기술 개념은 노동 대체에서 노동 보완으로 변화했다.


Technologies here are seen to be “productivity tools,” prosthetic devices that enable individuals and social institutions to extend their reach and achieve performance benefits in the course of their ongoing socio-economic activities.

여기에서 기술은 “생산성 도구,” 즉 개인과 사회적 기관이 그들의 활동 범위를 확장하고, 지속적인 사회경제적 활동에서 성과 이익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보조 장치로 간주된다.


To describe the technical features of a new technology is to understand what that technology will do, as its performance capabilities are assumed to be designed in the technical features.
새로운 기술의 기술적 특성을 설명하는 것은 그 기술이 무엇을 할 것인지를 이해하는 것이며, 그 성능 능력은 기술적 특성에 설계된 것으로 가정된다.


For example, in the 1980s, the flexible features of PCs were thought to enable more productivity because workers could more easily shift from one task to another.

예를 들어, 1980년대에는 PC의 유연한 기능이 근로자가 하나의 작업에서 다른 작업으로 더 쉽게 전환할 수 있게 하여 더 많은 생산성을 낼 수 있다고 생각되었다.


In this view, performance outcomes are assumed to be positive and to result from replacing older (read: slower, less efficient, less accurate, more cumbersome, and more time-consuming) ways of working with new technology-enabled ways of working.

이 관점에서 성과 결과는 긍정적일 것으로 가정되며, 느리고 비효율적이며 부정확하고 더 번거로우며 더 시간

이 많이 드는 이전의 작업 방식을 새로운 기술 기반의 작업 방식으로 대체함으로써 얻어진다.



Technology as Information Processing Tool


In practice, simple substitution of new technologies for older ways of doing things did not always produce the expected labor reductions or performance enhancements.

실제로, 새로운 기술을 이전 방식의 대체로 사용하는 것은 항상 예상했던 노동 감소나 성과 향상을 가져오지는 않았다.


An alternative “tool view” argued that what technology does best is to alter and enhance the ways that humans and organizations process information.

대안적인 “도구 관점”은 기술이 가장 잘하는 것은 인간과 조직이 정보를 처리하는 방식을 변경하고 향상시키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For example, at the institutional level of analysis, Leavitt and Whistler (1958) hypothesized that computerization of the firm would allow for information collected at the bottom levels of the firm to flow to the top, thus, recentralizing decision-making authority.

예를 들어, 조직 수준의 분석에서 레빗과 위슬러(1958)는 회사의 컴퓨터화가 회사의 하위 계층에서 수집된 정보가 상위 계층으로 흐르도록 하여 의사결정 권한을 재중앙화할 것이라고 가설을 세웠다.



More recently, the Internet has been conceptualized in information processing terms, being seen as a large-scale repository of information that can be searched, manipulated, and used for socio-economic gain.

최근에는 인터넷이 대규모 정보 저장소로 개념화되었으며, 이는 검색, 조작 및 사회경제적 이익을 위해 사용할 수 있는 자원으로 인식되고 있다.


IS researchers have also conceptualized individuals and small groups as information processing entities and have focused on the ways in which new technologies (for example, e-mail, spreadsheets, electronic brainstorming applications, and executive support systems) can alter information flows and enhance feedback and learning or, more negatively, result in information overload.

IS 연구자들은 또한 개인과 소규모 그룹을 정보 처리 엔터티로 개념화하고, 이메일, 스프레드시트, 전자 브레인스토밍 응용 프로그램 및 경영진 지원 시스템과 같은 새로운 기술이 정보 흐름을 변경하고 피드백 및 학습을 향상시키는 방식에 중점을 두거나, 부정적으로는 정보 과부하를 초래하는 방식에 집중했다.



Technology as Social Relations Tool


The fourth “tool” conceptualization evident in the ISR literature recognizes that in addition to substituting for labor, enhancing performance, and processing information, technologies can and do alter social relations.

ISR 문헌에서 네 번째로 나타난 “도구” 개념화는 기술이 노동을 대체하고, 성과를 향상시키며, 정보를 처리하는 것 외에도 사회적 관계를 변화시킬 수 있으며 실제로 그렇게 한다는 점을 인식한다.


Following the introduction of new technologies, social roles may change, hierarchies may become more or less salient, business processes may be modified, and communication may require choices among different media and tasks.

새로운 기술이 도입된 후에는 사회적 역할이 변화할 수 있으며, 계층 구조가 더 두드러지거나 덜 두드러질 수 있으며, 비즈니스 프로세스가 수정될 수 있고, 커뮤니케이션에서 다양한 매체와 작업 중에서 선택이 필요할 수 있다.


Over the years, IS researchers have examined shifts in social networks, communication patterns, and work activities associated with the introduction of new technologies that offer different capabilities.

수년간 IS 연구자들은 새로운 기술 도입과 관련된 사회적 네트워크, 커뮤니케이션 패턴, 그리고 업무 활동의 변화를 조사해왔다. 이 새로운 기술들은 다양한 기능을 제공한다.


For instance, new electronic media have been portrayed as providing different opportunities to convey social presence, social context, and information richness, and such differences have been hypothesized to alter communication behavior and effectiveness.

예를 들어, 새로운 전자 매체는 사회적 존재감, 사회적 맥락, 정보의 풍부함을 전달할 수 있는 다양한 기회를 제공하는 것으로 묘사되었으며, 이러한 차이가 커뮤니케이션 행동과 효과성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이 제기되었다.



II. Proxy View of Technology


The conceptualizations of technology that we have clustered under the “proxy” label have a focus on one or a few key elements in common that are understood to represent or stand for the essential aspect, property, or value of the information technology.

우리가 “대리”라는 이름으로 묶은 기술의 개념화는 정보기술의 본질적인 측면, 속성 또는 가치를 나타내거나 대변하는 것으로 이해되는 한 가지 또는 몇 가지 핵심 요소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In our set of ISR articles, we found three types of proxy logics. All share the assumption that the critical aspects of information technology can be captured through some set of surrogate (usually quantitative) measures—such as individual perceptions, diffusion rates, or dollars spent.

우리의 ISR 논문 모음에서 우리는 세 가지 유형의 대리 논리를 발견했다. 모두 정보 기술의 중요한 측면이 일부 대리 측정치(일반적으로 정량적)—예를 들어 개인의 인식, 확산 속도 또는 지출된 금액—를 통해 포착될 수 있다는 가정을 공유하고 있다.


For example, the study by Moore and Benbasat (1991) develops an instrument for assessing individual users’ perceptions of the new technologies they might consider adopting.

예를 들어, 무어와 벤바사트(1991)의 연구는 개인 사용자가 채택할 수 있는 새로운 기술에 대한 인식을 평가하기 위한 도구를 개발했다.


The first proxy logic posits the importance of human understandings in technology use and, thus, focuses on technology as viewed by individual users.
첫 번째 대리 논리는 기술 사용에서 인간의 이해가 중요하다고 주장하며, 따라서 기술을 개인 사용자의 관점에서 본 기술로 초점을 맞추고 있다.
Perceptual, cognitive, and attitudinal responses to computers become the critical variables in explaining technology and its effects in the world.
컴퓨터에 대한 지각적, 인지적, 태도적 반응은 기술과 그 영향력을 설명하는 중요한 변수가 된다.
The second proxy logic concentrates on the diffusion and penetration of technologies within firms, industries, and economies.
두 번째 대리 논리는 기술이 기업, 산업, 그리고 경제 내에서 확산되고 침투하는 것에 중점을 둔다.
Here, the critical aspect of technology is the rate with which particular IT artifacts (hardware, software, techniques) become spread across social systems and the extent to which they become integrated into operational activities.
여기서 기술의 중요한 측면은 특정 IT 아티팩트(하드웨어, 소프트웨어, 기술)가 사회 시스템 전반에 퍼지는 속도와 그것들이 운영 활동에 얼마나 통합되는지의 정도이다.
The final proxy logic is constituted by monetary measures of technology, the premise being that a useful indicator of the value of technology to a firm or economy is the amount of money spent on it.
마지막 대리 논리는 기술의 금전적 측정치로 구성되며, 기업이나 경제에 대한 기술의 가치를 나타내는 유용한 지표는 그 기술에 지출된 금액이라는 전제를 따른다.
Thus, dollar amounts of technological investments and changes in them are tracked over time to understand the essential role of technology in organizations and economies.
따라서 기술에 대한 투자 금액과 그 변화가 시간 경과에 따라 추적되며, 이를 통해 조직과 경제에서 기술의 본질적인 역할을 이해하려 한다.



Technology as Perception


In this conceptualization, information technology is represented in terms of measures of users’ perceptions of the technology.

이 개념화에서 정보기술은 사용자의 기술에 대한 인식을 측정한 결과로 표현된다.


The variables of study typically include “ease of use,” “usefulness,” and “intention to use the technology.”

연구 변수에는 일반적으로 “사용의 용이성”, “유용성”, “기술 사용 의도”가 포함된다.


Researchers are interested in examining individuals’ perceptions to better understand what motivates them to accept or use new technologies such as spreadsheets, electronic mail, word processing applications, etc.

연구자들은 스프레드시트, 이메일, 워드 프로세싱 애플리케이션 등 새로운 기술을 수용하거나 사용하는 동기가 무엇인지를 더 잘 이해하기 위해 개인의 인식을 조사하는 데 관심이 있다.


Many of the articles categorized here draw on theories such as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TAM) and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TPB).

여기에서 분류된 많은 논문들은 기술 수용 모델(TAM)과 계획된 행동 이론(TPB)과 같은 이론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These theories assume that how individuals perceive a new technology (and make choices about their intention to use it) is based on an internal cost-benefit analysis.

이 이론들은 개인이 새로운 기술을 어떻게 인식하고(그리고 그것을 사용할 의도를 결정하는지)이 내부적인 비용-편익 분석에 기초한다고 가정한다.


Users assess a technology’s usefulness and evaluate whether that usefulness exceeds the costs associated with gaining access to it or learning to use it.

사용자는 기술의 유용성을 평가하고, 그 유용성이 해당 기술을 이용하거나 사용하는 방법을 배우는 데 드는 비용을 초과하는지를 평가한다.


Over the years, more variables have been added to these theories resulting in more sophisticated approaches to understanding user perceptions and attitudes towards new information technologies.

수년에 걸쳐 이러한 이론에 더 많은 변수가 추가되어, 새로운 정보기술에 대한 사용자 인식과 태도를 이해하는 더 정교한 접근 방식이 발전했다.



Technology as Diffusion


Technology is represented in this category by measures of diffusion and penetration of a particular type of IT artifact (e.g., electronic mail) within some socio-institutional context such as a firm, industry, or society.

이 범주에서 기술은 특정 유형의 IT 아티팩트(예: 이메일)가 기업, 산업 또는 사회와 같은 사회적-제도적 맥락에서 확산되고 침투된 정도를 측정한 결과로 나타난다.


What researchers want to know is how many people, organizations, or nations are currently using the technology.

연구자들이 알고자 하는 것은 현재 몇 명의 사람들이나 조직, 국가들이 그 기술을 사용하고 있는가이다.


The focus is on understanding the processes of diffusion (Rogers 1983) and/or penetration of the technology within and across these settings.

연구의 초점은 이러한 환경 내에서 또는 그 너머로 기술이 확산되거나(로저스 1983) 침투하는 과정을 이해하는 것이다.


If the technological innovation is not diffusing or being used as widely as expected, researchers want to understand the barriers to such processes.

기술 혁신이 예상만큼 확산되지 않거나 널리 사용되지 않는 경우, 연구자들은 이러한 과정의 장벽을 이해하려고 한다.


These barriers tend to be conceptualized in cultural, organizational, or economic terms, and typical questions include: 

이러한 장벽들은 문화적, 조직적, 경제적 측면에서 개념화되는 경향이 있으며, 대표적인 질문으로는 


Why are firms slow to implement the new technology?
“왜 기업들은 새로운 기술을 구현하는 데 느린가?“가 있다.
How can the new technology be integrated into an organization’s workflow?
새로운 기술을 조직의 업무 흐름에 어떻게 통합할 수 있을까?
What is the critical mass that is needed for widespread use of the new technology?
새로운 기술의 광범위한 사용을 위해 필요한 임계량은 무엇인가?
What can a nation do to not be left behind technologically?
국가가 기술적으로 뒤처지지 않기 위해 할 수 있는 일은 무엇인가?

Such questions have been used to help understand important societal problems such as, why developing countries are slow to embrace the Internet or why there appears to be a digital divide in the United States today.

이러한 질문들은 개발도상국이 인터넷을 수용하는 데 왜 더딘지, 또는 오늘날 미국에서 디지털 격차가 존재하는 이유와 같은 중요한 사회 문제를 이해하는 데 사용되어 왔다.



Technology as Capital


In this category, technology is conceptualized and measured in terms of dollars—usually the costs associated with the tools themselves (e.g., dollars spent on hardware and/or software) or the information systems infrastructure (e.g., dollars of IS department budget)—and then treated as either an independent or a dependent variable.

이 범주에서 기술은 달러, 즉 보통 도구 자체와 관련된 비용(예: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에 지출된 금액)이나 정보 시스템 인프라(예: IS 부서 예산의 금액)로 개념화되고 측정되며, 이후 독립 변수 또는 종속 변수로 취급된다.


This view of technology is grounded in the economics discipline, and focuses specifically on the value of the information technology resource or investment to firms, industries, or economies.

이 기술 관점은 경제학 분야에 기반을 두고 있으며, 특히 정보기술 자원이나 투자 가치가 기업, 산업 또는 경제에 미치는 영향에 중점을 둔다.


Typical questions addressed by this literature include: 
이 문헌에서 다루는 일반적인 질문으로는 
What is the spending on information technology in firms and/or industries?
“기업 및/또는 산업에서 정보기술에 대한 지출은 얼마나 되는가?“가 있다.
How has spending on information technology changed over time?
정보기술에 대한 지출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어떻게 변화했는가?
What is the productivity impact of investing in information technology?
정보기술에 대한 투자가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


These studies examine all manner of industries, firms, and technologies, an analytic move made possible by the abstraction of technology to a homogenized and fairly general (if not completely universal) representation of value: dollars.

이 연구들은 모든 종류의 산업, 기업, 기술을 조사하며, 이는 기술을 달러라는 가치의 동질적이고 일반적인(완전히 보편적이지는 않더라도) 표현으로 추상화함으로써 가능해진 분석적 접근이다.


Such conceptual abstraction facilitates this literature’s interest in seeking regularities that hold across organizations and types of information technologies.

이러한 개념적 추상화는 조직과 정보 기술 유형을 가로지르는 규칙성을 탐구하려는 문헌의 관심을 용이하게 한다.


In particular, this stream of research has been helpful in articulating the so-called “productivity paradox,” a phenomenon recognized in the late 1980s and early 1990s as organizations increasingly invested in information technologies with apparently little return on their investments.

특히, 이 연구 흐름은 1980년대 후반과 1990년대 초반에 인식된 이른바 “생산성 역설”을 설명하는 데 유용했는데, 이는 조직이 정보 기술에 점점 더 많이 투자했지만 투자 대비 수익이 거의 없었던 현상이다.



III. Ensemble View of Technology


Over the years, a number of researchers have been dissatisfied with the tool and proxy views of technology.

수년간 여러 연구자들은 기술의 도구적 관점과 대리적 관점에 불만을 느껴왔다.


Kling and Dutton (1982) point back to a key insight of Ivan Illich (1973) who argued that while the technical artifact may be a central element in how we conceive of technology, it is only one element in a “package,” which also includes the components required to apply that technical artifact to some socio-economic activity.

클링과 더튼(1982)은 Ivan Illich(1973)의 중요한 통찰을 지적하는데, 그는 기술적 아티팩트가 우리가 기술을 이해하는 방식에서 중심 요소일 수 있지만, 그것은 단지 “패키지”의 하나의 요소일 뿐이라고 주장했다. 이 패키지에는 기술적 아티팩트를 사회경제적 활동에 적용하는 데 필요한 구성 요소들도 포함된다.


Kling and Scacchi (1982) further developed this insight into what they called the “web of computing,” which includes the commitments, additional resources such as training, skilled staff, and support services, and the development of organizational arrangements, policies, and incentives to enable the effective management and use of new technologies.

클링과 스카치(1982)는 이러한 통찰을 “웹 컴퓨팅”이라고 부르며 발전시켰고, 여기에는 교육, 숙련된 인력 및 지원 서비스와 같은 추가 자원, 그리고 새로운 기술의 효과적인 관리와 사용을 가능하게 하는 조직적 준비, 정책 및 인센티브가 포함된다.


Latour (1987), similarly dissatisfied with prevailing views, took a different tack. He argued that social scientists tended to make new technologies into “black boxes” and argued for unpacking those boxes.
라투르(1987) 역시 지배적인 관점에 불만을 느끼고 다른 접근 방식을 취했다. 그는 사회 과학자들이 새로운 기술을 “블랙박스”로 만드는 경향이 있다고 주장하며, 이러한 상자를 풀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He observed that if one takes a tool such as a pestle grinder, ties it to a wooden frame, which is then tied to sails that catch the wind, and, then, if the wind can be cajoled to cooperate, one has an “assembly of forces” or what he refers to as a “machine.”

그는 절구 같은 도구를 나무 틀에 묶고, 그것을 다시 바람을 잡는 돛에 묶고, 그 바람을 협조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면, 그 결과로 “힘의 조합” 또는 그가 “기계”라고 부르는 것을 얻게 된다고 관찰했다.


For Latour, these forces comprise a “system of alliances” that tie together not only cogs, winds, and sails, but inventors, research and development organizations, commercial companies, and national governments, which can all be enrolled to develop and maintain a machine’s existence.

라투르에게 있어 이러한 힘들은 톱니바퀴, 바람, 돛뿐만 아니라 발명가, 연구 및 개발 기관, 상업적 기업, 국가 정부 등을 묶어 하나의 “연합 체계”를 이루며, 이러한 요소들은 모두 기계의 존재를 개발하고 유지하는 데 동원될 수 있다.


Latour examines various technologies—the diesel engine, Eastman’s new Kodak camera, and the telephone—and asks, “How did this machine get to be the way it is?” “What were the various alliances that had to be formed?” “What were the various interests that had to be negotiated, so that a black box could emerge?”

라투르는 디젤 엔진, 이스트먼의 새로운 코닥 카메라, 전화기와 같은 다양한 기술들을 연구하며 “이 기계가 어떻게 지금의 상태에 이르게 되었는가?” “어떤 연합들이 형성되어야 했는가?” “블랙박스가 등장하기 위해 협상된 다양한 이해관계는 무엇이었는가?“와 같은 질문을 던진다.


He claims, “Understanding what . . . machines are is the same as understanding who the people are” (1987, p. 140). Thus, Latour theorizes about how new technologies come to be; Kling and Scacchi theorize about how new technologies come to be used.
그는 “기계가 무엇인지를 이해하는 것은 사람들을 이해하는 것과 같다”(1987, p. 140)라고 주장한다. 따라서 라투르는 새로운 기술이 어떻게 등장하는지 이론화하고, 클링과 스카치는 새로운 기술이 어떻게 사용되기 시작하는지를 이론화한다.


We identified four variants of the “ensemble” view in the ISR data, with all variants focusing on the dynamic interactions between people and technology—whether during construction, implementation, or use in organizations, or during the deployment of technology in society at large.

우리는 ISR 데이터에서 “앙상블” 관점의 네 가지 변형을 확인했으며, 이 모든 변형은 사람과 기술 간의 역동적인 상호작용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이는 기술이 조직 내에서 구축, 구현, 사용되는 동안이든, 혹은 더 넓은 사회에서 기술이 배치되는 동안이든 상관없이 말이다.


For example, Robey and Sahay (1996) examined the processes and outcomes associated with the introduction of a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 into two different user groups, and investigated how differential use of the system was influenced by a variety of cultural and social factors.

예를 들어, 로비와 사하이(1996)는 지리 정보 시스템을 두 개의 다른 사용자 그룹에 도입한 과정과 결과를 조사하고, 시스템의 차별적 사용이 다양한 문화적 및 사회적 요인에 의해 어떻게 영향을 받았는지를 연구했다.


Among the four variants of the ensemble view in the ISR data, we found (following the Kling/Latour theoretical split) two conceptualizations focused primarily on the ways in which technologies come to be developed (with secondary emphasis on use) and two conceptualizations focused primarily on how technologies come to be used in certain ways (with secondary emphasis on development).

ISR 데이터에서 앙상블 관점의 네 가지 변형 중, 우리는 클링/라투르 이론적 구분을 따르는 두 가지 개념화를 확인했다. 첫 번째는 기술이 어떻게 개발되는지에 중점을 두고(사용에 대한 부차적 강조), 두 번째는 기술이 특정 방식으로 어떻게 사용되는지에 주로 초점을 맞추고(개발에 대한 부차적 강조) 있었다.



Technology as Development Project


The conceptualization of technology represented by the articles in this category is that of an artifact in formation, a “work in progress.”

이 범주의 논문에서 나타나는 기술의 개념화는 진행 중인 작업으로서의 아티팩트이다.


The focus is on the social processes of designing, developing, and implementing technical artifacts, usually in specific organizational contexts.

초점은 특정 조직 맥락에서 기술적 아티팩트를 설계, 개발, 구현하는 사회적 과정에 맞춰져 있다.


These articles examine the roles of key stakeholders in IS development projects, how such roles engender conflict, power moves, and symbolic acts, and the influence of more or less inclusive methodologies on development processes.

이 논문들은 정보 시스템 개발 프로젝트에서 주요 이해 관계자의 역할, 그러한 역할이 어떻게 갈등, 권력 이동, 상징적 행위를 일으키는지, 그리고 포괄적인 정도가 다른 방법론이 개발 과정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한다.


Many of the articles adopted a socio-technical perspective, and most of the articles were field studies, examining one or more particular information systems development projects.

많은 논문들이 사회기술적 관점을 채택했으며, 대부분의 논문들은 특정 정보 시스템 개발 프로젝트를 조사하는 현장 연구였다.


These studies have helped to deepen understanding of information systems development as a complex socio-political process, and the ways in which these processes are played out in actual organizations and over time.

이 연구들은 정보 시스템 개발을 복잡한 사회정치적 과정으로 이해하는 데 기여했으며, 이러한 과정들이 실제 조직 내에서 시간에 걸쳐 어떻게 전개되는지를 이해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



Technology as Production Network


In this conceptualization (like that of the development project), the focus is on the supply side of technology.

이 개념화에서(개발 프로젝트 개념과 유사하게) 초점은 기술의 공급 측면에 맞춰져 있다.


But here, technology development is viewed at the levels of industry and nation-state, and much like Latour’s view, the focus is on the building of “systems of alliances,” which tie together inventors, research and development organizations, corporations, and governments who work together to develop new technologies and maintain their competitiveness.

하지만 여기서 기술 개발은 산업 및 국가 수준에서 다뤄지며, 라투르의 관점처럼 발명가, 연구개발 기관, 기업, 정부가 협력하여 새로운 기술을 개발하고 경쟁력을 유지하는 “연합 시스템”의 구축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Unlike Latour, however, the questions in these articles were not focused on understanding how a particular “machine” emerged into its current form.

그러나 라투르와는 달리, 이 논문들은 특정 “기계”가 어떻게 현재의 형태로 발전했는지를 이해하는 데 중점을 두지 않는다.


Rather, the questions include: How did this (part of the) computer industry evolve into its present global structure? Why have some (particular) countries succeeded more than others?

대신에 이 질문들은 다음과 같다: (컴퓨터 산업의 일부가) 어떻게 현재의 글로벌 구조로 진화했는가? 왜 일부 국가들이 다른 국가들보다 더 성공했는가?


To answer these questions, researchers examined national and international IT policies and the market forces operating within specific countries and regions.

이 질문에 답하기 위해 연구자들은 특정 국가와 지역에서 작동하는 국가 및 국제 IT 정책과 시장의 역학을 조사했다.



Technology as Embedded System


The conceptualization of technology represented by the articles in this category is that of an evolving system embedded in a complex and dynamic social context.

이 범주의 논문에서 나타나는 기술의 개념화는 복잡하고 역동적인 사회적 맥락에 내장된 진화하는 시스템으로서의 기술이다.


Technology is neither an independent nor dependent variable but instead is seen to be enmeshed with the conditions of its use—hence, our label “embedded system.”

기술은 독립 변수도 종속 변수도 아니며, 그 사용 조건과 얽혀 있는 것으로 간주된다—따라서 우리는 이를 “내장 시스템”이라고 명명했다.


This view is similar to the “web model” articulated by Kling and Scacchi with a focus on better understanding how technologies come to be used in particular ways.

이 관점은 클링과 스카치가 설명한 “웹 모델”과 유사하며, 기술이 특정 방식으로 사용되게 되는 과정을 더 잘 이해하는 데 중점을 둔다.


These articles examined the ways in which various social influences shaped how a technology is introduced into a situation, and how different user groups engaged with that technology.

이 논문들은 다양한 사회적 영향이 기술이 특정 상황에 도입되는 방식을 어떻게 형성했는지, 그리고 서로 다른 사용자 그룹이 그 기술을 어떻게 활용했는지를 조사했다.


Most of the articles viewing technology as an embedded system drew heavily on socio-historical, cultural, and political perspectives, and tended to examine a specific technology as it was embedded in one or a few particular social contexts.

내장 시스템으로서 기술을 바라보는 대부분의 논문들은 사회사적, 문화적, 정치적 관점에 크게 의존했으며, 특정 기술이 한두 가지 특정 사회적 맥락에 내장된 방식에 중점을 두었다.



Technology as Structure


The conceptualization of technology as structure is also focused on the ways in which technology is enmeshed in the conditions of its use.

기술을 구조로서 개념화하는 것은 또한 기술이 그 사용 조건과 얽혀 있는 방식을 중심으로 한다.


However, this conceptualization is grounded specifically in ideas drawn from the structuration theory of social theorist Anthony Giddens (1984).

그러나 이 개념화는 사회 이론가 앤서니 기든스(1984)의 구조화 이론에서 도출된 아이디어에 구체적으로 기반을 두고 있다.


Technology here is seen to embody social structures (conceptualized in terms of Giddens’ notion of structure as sets of rules and resources), which presumably have been built into the technology by designers during its development and which are then appropriated by users as they interact with the technology.

여기서 기술은 사회적 구조(기든스의 규칙과 자원 집합으로 개념화된)를 내재한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구조는 아마도 개발 과정에서 설계자에 의해 기술에 내재되었으며, 이후 사용자들이 기술과 상호작용하면서 이를 적절히 사용하게 된다.


Typical questions addressed by this literature include: 

이 문헌에서 다루는 대표적인 질문은 


How do users appropriate the social structures embodied in a given technology and with what outcomes?
“사용자들이 주어진 기술에 내재된 사회적 구조를 어떻게 수용하고, 그 결과는 무엇인가?“이다.
What are the intended and unintended consequences of using a given technology?
주어진 기술을 사용하는 의도된 결과와 의도되지 않은 결과는 무엇인가?


The articles categorized here were informed by either Orlikowski’s (1992) structurational model of technology or DeSanctis and Poole’s (1994) adaptive structuration theory.

여기에 분류된 논문들은 올리코우스키(1992)의 기술의 구조화 모델 또는 드산티스와 풀(1994)의 적응적 구조화 이론에 기반을 두고 있다.


They tended to focus on technologies as concrete, particular technical artifacts such as a specific group decision support system, a type of electronic meeting software, or a customized groupware application.

이 논문들은 특정 그룹 의사결정 지원 시스템, 일종의 전자 회의 소프트웨어 또는 맞춤형 그룹웨어 애플리케이션과 같은 구체적인 기술적 아티팩트에 초점을 맞추는 경향이 있었다.



IV. Computational View of Technology


Not all research in the field of IS is interested in the interaction of people with technology in various social contexts.

IS 분야의 모든 연구가 사람과 기술의 상호작용을 다양한 사회적 맥락에서 다루는 것은 아니다.


Some research concentrates expressly on the computational power of information technology.

일부 연구는 정보 기술의 계산 능력에 명백히 초점을 맞춘다.


Articles embracing this view are interested primarily in the capabilities of the technology to represent, manipulate, store, retrieve, and transmit information, thereby supporting, processing, modeling, or simulating aspects of the world.
이 관점을 채택한 논문들은 주로 기술이 정보를 표현, 조작, 저장, 검색, 전송하는 능력에 관심을 가지고 있으며, 이를 통해 세계의 다양한 측면을 지원, 처리, 모델링 또는 시뮬레이션한다.


For example, Trice and Davis (1993) describe a project that generated an algorithm for reconciling discrepant knowledge bases and then built a working program to implement and test it.

예를 들어, 트라이스와 데이비스(1993)는 불일치하는 지식 베이스를 조정하기 위한 알고리즘을 생성한 후, 이를 구현하고 테스트할 수 있는 작동 프로그램을 개발한 프로젝트를 설명한다.



We found two types of computational views represented in the ISR literature.

우리는 ISR 문헌에서 두 가지 유형의 계산적 관점을 발견했다.


The first involves the actual development of algorithms and the production of running code by researchers to demonstrate the computational power of the technology as applied to particular domains (e.g., medical diagnosis).
첫 번째 유형은 연구자들이 특정 분야(예: 의료 진단)에 적용된 기술의 계산 능력을 입증하기 위해 알고리즘을 실제로 개발하고 실행 코드를 생성하는 것이다.
The second involves the development and use of computational capabilities by researchers to create models that represent or simulate specific social, economic, or informational phenomena of interest (e.g., decision making, information retrieval).
두 번째 유형은 연구자들이 관심 있는 특정 사회적, 경제적, 정보적 현상을 나타내거나 시뮬레이션하기 위해 계산 능력을 개발하고 사용하는 것이다(예: 의사결정, 정보 검색).



Technology as Algorithm


Technology is represented here through algorithmic endeavors to build new or enhance existing computational systems that can support some human activity.

여기에서 기술은 인간 활동을 지원할 수 있는 새로운 계산 시스템을 구축하거나 기존 시스템을 향상시키려는 알고리즘적 시도로 표현된다.


All the articles in this category both named and described (in considerable technical detail) the computational system in question.

이 범주의 모든 논문들은 논의 중인 계산 시스템을 이름과 상당한 기술적 세부사항으로 설명했다.


In addition, most articles also reported on the prototyping and testing of the system, which was not simply modeled, but actually implemented and operating.

또한 대부분의 논문들은 시스템의 프로토타이핑 및 테스트에 대해서도 보고했으며, 이는 단순히 모델링된 것이 아니라 실제로 구현되고 작동 중이었다.


Most of the studies specified the actual design and building of the computational system (typically through detailed articulation of innovative or improved algorithms) and then offered some validation through testing or provisional use.

대부분의 연구는 계산 시스템의 실제 설계 및 구축을 구체적으로 설명했으며(일반적으로 혁신적이거나 개선된 알고리즘을 상세히 설명함), 이후 테스트나 임시 사용을 통해 어느 정도 검증을 제공했다.


Articles in this category assumed (whether implicitly or explicitly) that once the algorithmic issues had been resolved, the technology would necessarily be effective and would usefully support the intended human endeavor.

이 범주의 논문들은 (암묵적이든 명시적이든) 알고리즘 문제가 해결되면 기술이 반드시 효과적일 것이며, 의도된 인간 활동을 유용하게 지원할 것이라고 가정했다.



Technology as Model


Research in this category attempts to represent social, economic, and informational phenomena (e.g., processes, structures, events, knowledge, etc.) through the methodology of data modeling or simulation.

이 범주의 연구는 데이터 모델링 또는 시뮬레이션 방법론을 통해 사회적, 경제적, 정보적 현상(예: 프로세스, 구조, 이벤트, 지식 등)을 나타내려고 한다.


The focus is on developing mathematically specified mechanisms, techniques, and approaches for what Agre (1997) has called the craft of “research programming” or using computers as “language machines.”

연구의 초점은 아그레(1997)가 “연구 프로그래밍의 기술” 또는 컴퓨터를 “언어 기계”로 사용하는 것으로 불렀던 것에 대한 수학적으로 구체화된 메커니즘, 기술 및 접근 방식을 개발하는 것이다.


Specifying, building, and programming models—often based on game theory, information theory, or systems dynamics—are distinctive ways of representing (and thus examining) a range of organizational phenomena.

모델을 명시화하고 구축하며 프로그래밍하는 것은 종종 게임 이론, 정보 이론 또는 시스템 역학에 기반하며, 이는 다양한 조직적 현상을 나타내는(그리고 이를 연구하는) 독특한 방식이다.


Some of the research we have categorized here might fit database research, while other articles might be labeled as decision science, information retrieval, or artificial intelligence research.

우리가 여기에 분류한 연구 중 일부는 데이터베이스 연구에 적합할 수 있으며, 다른 논문들은 의사결정 과학, 정보 검색 또는 인공지능 연구로 분류될 수 있다.


We have put them together here because these streams of research have in common the intent to build new computational capabilities that facilitate the representational and modeling work of the researcher.

우리가 이 연구들을 함께 분류한 이유는 이 연구 흐름들이 연구자의 표현 및 모델링 작업을 촉진하는 새로운 계산 능력을 구축하려는 공통된 의도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V. Nominal View of Technology: Technology as Absent


Our label for this category is intended to indicate that the articles in this group invoke technology “in name only, but not in fact” (as “nominal” is defined in Webster’s dictionary).

이 범주의 명칭은 이 그룹의 논문들이 기술을 “명목상으로만 언급하지만 실제로는 그렇지 않다”(웹스터 사전에 정의된 대로 “명목적”으로)고 나타내려는 의도이다.


Typically, the terms “information technology,” “information system,” or “computer” are used a few times in the articles, but these references to technology are either incidental (as in studies of CIO compensation or computer security) or used as background information (as in studies of IS personnel or outsourcing practices in the IS industry).

일반적으로, “정보기술”, “정보시스템” 또는 “컴퓨터”라는 용어가 논문에서 몇 번 사용되지만, 이러한 기술에 대한 언급은 부차적이거나(예: CIO 보상 또는 컴퓨터 보안에 대한 연구에서) 또는 배경 정보로 사용된다(예: 정보 시스템 인력 또는 정보 시스템 산업의 아웃소싱 관행 연구에서).


The conceptual and analytical emphasis is elsewhere, typically focused on a range of topics of broad interest to the IS field.

개념적 및 분석적 강조점은 다른 곳에 있으며, 일반적으로 IS 분야에 폭넓은 관심을 받는 다양한 주제에 중점을 둔다.


For example, Beath and Orlikowski (1994) describe a content analysis of a particular systems development methodology (Information Engineering) and highlight contradictions in the methodology’s prescriptions for user involvement.

예를 들어, 비스와 올리코우스키(1994)는 특정 시스템 개발 방법론(정보 공학)에 대한 내용 분석을 설명하고, 사용자 참여에 대한 이 방법론의 처방에서의 모순점을 강조한다.


Their study makes no reference to any specific technology that might support the use of the methodology or any technology that might be developed using the methodology in question.

그들의 연구는 이 방법론의 사용을 지원할 수 있는 특정 기술이나 해당 방법론을 사용하여 개발될 수 있는 기술에 대해 전혀 언급하지 않는다.


Thus, in the nominal view, IT artifacts are not described, conceptualized or theorized; technology is essentially absent from these articles.

따라서 명목적 관점에서 IT 아티팩트는 설명되거나 개념화되거나 이론화되지 않으며, 기술은 본질적으로 이러한 논문에서 부재한다.




Implications of the Conceptualizations of the IT Artifact


ISR published 188 articles in the decade beginning in 1990 and ending in 1999.

ISR은 1990년부터 1999년까지 10년 동안 총 188개의 논문을 발표했다.


While analyzing these articles to see how IS researchers had conceptualized information technology in their studies, we encountered 11 articles that offered broad commentaries on the literature (e.g., Orlikowski and Baroudi 1991, Robey and Boudreau 1999).

이 논문들이 정보기술을 연구에서 어떻게 개념화했는지를 분석하면서, 우리는 문헌에 대한 광범위한 논평을 제시한 11개의 논문을 발견했다(예: Orlikowski and Baroudi 1991, Robey and Boudreau 1999).


We excluded all such meta-research articles (distributed across the ten years of ISR) from consideration, leaving a total of 177 articles.

우리는 그러한 메타 연구 논문들을 모두 제외하고 총 177개의 논문을 남겼다.


Our analysis of the 177 articles yielded the 14 categories and the five metacategory clusters (tool, proxy, ensemble, computational, and nominal views of technology) described above.

177개의 논문에 대한 우리의 분석은 14개의 범주와 위에서 설명한 5개의 메타 범주 클러스터(도구, 대리, 앙상블, 계산, 명목적 관점)를 도출했다.


Table 1 shows the distribution of the 177 articles across these 14 categories and 5 clusters.

표 1은 177개의 논문이 이 14개의 범주와 5개의 클러스터에 어떻게 분포되어 있는지를 보여준다.


As evident in Table 1, those articles that engage with information technology minimally or not at all represent the largest cluster of ISR articles.

표 1에서 보듯이, 정보기술과 거의 또는 전혀 연관되지 않은 논문들이 ISR에서 가장 큰 클러스터를 차지하고 있다.


Table 1 Classification of Articles in ISR (1990–1999) by Conceptualization of Information Technology

This cluster, which we labeled the nominal view, accounted for 25 percent of all the articles published in a decade of ISR issues.

우리가 명목적 관점이라고 명명한 이 클러스터는 ISR에서 10년 동안 발표된 모든 논문 중 25%를 차지했다.


As we noted, these articles essentially treat technology as absent, referring to it in passing as the context, motivation, or background against which to set examinations of phenomena such as IT governance mechanisms, IS professionalism, and IS strategy or planning approaches.
우리가 주목했듯이, 이러한 논문들은 본질적으로 기술을 부재하는 것으로 간주하며, IT 거버넌스 메커니즘, 정보 시스템 전문성, 정보 시스템 전략 또는 기획 접근법과 같은 현상을 설정하는 맥락, 동기 또는 배경으로 기술을 간접적으로 언급하고 있다.


In many of these articles, we noticed that we could have substituted another term for “IS”—for example, “HR” personnel, “logistics” outsourcing, or “marketing” strategy—and the articles would still have made sense.

이러한 많은 논문에서 우리는 “IS” 대신에 “HR” 인력, “물류” 아웃소싱 또는 “마케팅” 전략과 같은 다른 용어를 대체할 수 있었으며, 여전히 논문이 의미를 유지할 수 있었음을 확인했다.


IS personnel, IS outsourcing, and IS strategy are nonetheless different from the personnel, outsourcing, and strategy issues of other disciplines and functional areas in that they must engage with a changing and evolving set of IT artifacts.

정보 시스템 인력, 정보 시스템 아웃소싱, 정보 시스템 전략은 변화하고 진화하는 IT 아티팩트 세트와 연관되어야 한다는 점에서 다른 학문 분야나 기능적 영역의 인력, 아웃소싱, 전략 문제와는 다르다.


This distinction, however, was not always evident in the IS research articles, and an opportunity was missed for such studies to offer more grounded insights into IS phenomena by including and articulating the role of information technology, for example, in the lives of IS professionals, the practices of IS outsourcing, and the processes of IS planning.

그러나 이러한 차별점은 정보 시스템 연구 논문에서 항상 명확하지 않았으며, 예를 들어 정보 시스템 전문가들의 삶, 정보 시스템 아웃소싱 실무, 정보 시스템 기획 과정에서 정보 기술의 역할을 포함하고 명확하게 설명함으로써 정보 시스템 현상에 대한 더 깊이 있는 통찰을 제공할 기회를 놓친 것이다.


Almost tied for first place, the second largest cluster of ISR articles is the group of articles that we have labeled as taking a computational view of the IT artifact.

1위에 근접한 두 번째로 큰 ISR 논문 클러스터는 우리가 IT 아티팩트를 계산적 관점에서 다루는 것으로 명명한 논문 그룹이다.


The focus here is on the underlying processing capabilities of the technology, expressed through the construction and running of algorithms (3.4 percent) or through the creation and processing of computational models and simulations (20.9 percent).

여기서 초점은 기술의 기본 처리 능력에 있으며, 이는 알고리즘의 구축과 실행(3.4%) 또는 계산 모델과 시뮬레이션의 생성 및 처리(20.9%)를 통해 표현된다.


This view reflects the traditional computer science approach to the IT artifact, representing a strong and lively research stream within the ISR research community.

이 관점은 IT 아티팩트에 대한 전통적인 컴퓨터 과학적 접근을 반영하며, ISR 연구 커뮤니티 내에서 강력하고 활발한 연구 흐름을 나타낸다.


However, there is often an unproblematic reliance in these studies on assumptions that may be outdated or one-sided, and an opportunity exists for this paradigmatic view of information technology to include the insights from more recent social and economic theories that account for how people understand, adopt, use, and change their artifacts in complex and dynamic social contexts.

그러나 이러한 연구들에는 종종 구식이거나 일방적인 가정에 대한 문제 없는 의존이 있으며, 이러한 패러다임적 정보 기술 관점이 사람들이 복잡하고 역동적인 사회적 맥락에서 아티팩트를 어떻게 이해하고, 수용하며, 사용하고, 변화시키는지에 대한 최근 사회적, 경제적 이론에서 얻은 통찰을 포함할 기회가 있다.


The third largest view of information technology in a decade of ISR literature is represented by the tool view at 20.3 percent of the articles.

ISR 문헌에서 정보기술에 대한 세 번째로 큰 관점은 도구 관점으로, 전체 논문의 20.3%를 차지한다.


This cluster includes articles that treat information technology as a relatively straightforward, unchanging, and discrete technical entity with the focus being on the impacts/effects of this independent variable on such outcomes as information processing (8.5 percent), productivity (6.8 percent), social relations (4.5 percent), and labor substitution (0.5 percent).

이 클러스터에는 정보 기술을 비교적 단순하고 변화하지 않는, 독립된 기술적 엔티티로 취급하며, 정보 처리(8.5%), 생산성(6.8%), 사회적 관계(4.5%), 노동 대체(0.5%)와 같은 결과에 대한 독립 변수로서의 영향/효과에 초점을 맞추는 논문들이 포함된다.


We were surprised to find the variety of ways that the tool view has been applied since Kling and Scacchi (1982) first articulated it in the early 1980s.

클링과 스카치(1982)가 1980년대 초에 처음 설명한 이래로 도구 관점이 적용된 다양한 방식에 우리는 놀랐다.


While the tool view helps to explain how technologies alter various aspects of social and organizational life, many of the studies retain the kind of latent determinism that Markus and Robey (1988) cautioned us against.

도구 관점은 기술이 사회적, 조직적 삶의 다양한 측면을 어떻게 변화시키는지를 설명하는 데 도움이 되지만, 많은 연구들은 마커스와 로비(1988)가 경고했던 잠재적 결정론을 유지하고 있다.


As they argued, there is much potential in seeing technologies and organizations as mutually dependent and dynamically emergent, and there is still much opportunity for the IS field to move beyond relatively simple black-boxed views of technology towards more powerful conceptualizations of the role of IT artifacts in organizations.

그들이 주장했듯이, 기술과 조직을 상호 의존적이고 역동적으로 발생하는 존재로 보는 데 많은 잠재력이 있으며, IS 분야는 비교적 단순한 블랙박스화된 기술 관점을 넘어 조직 내에서 IT 아티팩트의 역할에 대한 더 강력한 개념화로 나아갈 수 있는 많은 기회를 여전히 가지고 있다.


The fourth largest cluster of ISR articles is represented by a proxy view of information technology, where one or a few abstracted elements are focused on and assumed to represent the critical aspects of the technology.

ISR 논문에서 네 번째로 큰 클러스터는 대리 관점에서 본 정보기술로, 여기서는 기술의 중요한 측면을 나타낸다고 가정되는 하나 또는 몇 가지 추상화된 요소에 초점을 맞춘다.


This cluster represented 18.1 percent of the articles published in a decade of ISR, and was comprised of three categories: articles that focus on users’ perceptions of and intentions to accept the technology (4.5 percent), articles that focus on the rate of diffusion and penetration of technology within and across organizations (4.5 percent), and articles that focus on the monetary value of the technology as capital (9 percent).

이 클러스터는 10년 동안 ISR에 발표된 논문의 18.1%를 차지했으며, 세 가지 범주로 구성되었다: 사용자들이 기술을 수용하는 인식과 의도에 초점을 맞춘 논문(4.5%), 기술이 조직 내에서 그리고 조직을 넘어 확산되고 침투하는 속도에 초점을 맞춘 논문(4.5%), 그리고 자본으로서 기술의 금전적 가치에 초점을 맞춘 논문(9%).


Studies conducted from this proxy view have pointed out interesting socio-psychological and socio-economic patterns, such as the lack of acceptance or diffusion of apparently useful new technologies, and the presence or absence of business value from investments in information technology.

이 대리 관점에서 수행된 연구들은 명백히 유용한 새로운 기술의 수용 부족 또는 확산, 그리고 정보기술 투자에서 비즈니스 가치의 존재 또는 부재와 같은 흥미로운 사회심리적 및 사회경제적 패턴을 지적했다.


A risk of this view is that the proxy becomes confused with what it is intended to represent or measure.

이 관점의 위험은 대리 변수가 의도된 표현 또는 측정하고자 하는 것과 혼동될 수 있다는 것이다.


Because such studies deal with technologies through surrogates, they tend not to conceive of historical or cultural variations in IT artifacts given that those variations may not be evident in the surrogate measures.

이러한 연구들은 대리 변수를 통해 기술을 다루기 때문에, 대리 측정에서 명확하게 드러나지 않을 수 있는 IT 아티팩트의 역사적 또는 문화적 변동을 고려하지 않는 경향이 있다.


Thus, proxy studies lack the means to account for temporal and contextual variations in the patterns discerned.

따라서 대리 연구는 발견된 패턴에서 시간적 및 맥락적 변동을 설명할 수 있는 수단이 부족하다.


To do so will require more careful theorizing about differences in IT artifacts and their role and use in different contexts and over time. Such theoretical elaboration would have to give up some conceptual parsimony to gain increased explanatory power.

이를 위해서는 IT 아티팩트의 차이점과 그 역할 및 사용 방식에 대한 보다 신중한 이론화가 필요할 것이다. 이러한 이론적 발전은 설명력을 높이기 위해 일부 개념적 간결함을 포기해야 할 것이다.


Those articles that we have grouped under the ensemble view represent the fifth and smallest cluster.

앙상블 관점으로 묶인 논문들은 다섯 번째이자 가장 작은 클러스터를 나타낸다.


Accounting for 12.5 percent of the total set of articles, this cluster is characterized by treatments of technology as a socio-technical development project (4 percent), as a system embedded in a larger social context (4 percent), as a social structure (3.4 percent), and as enmeshed within a network of agents and alliances (1.1 percent).

이 클러스터는 전체 논문의 12.5%를 차지하며, 기술을 사회기술적 개발 프로젝트로(4%), 더 큰 사회적 맥락에 내장된 시스템으로(4%), 사회적 구조로(3.4%), 그리고 행위자 및 연합 네트워크에 얽혀 있는 것으로(1.1%) 다루는 것이 특징이다.


Given the high visibility of Kling and Scacchi’s and Markus and Robey’s work in articulating versions of the ensemble view during the 1980s, we were surprised to see the low number of articles adopting such a view during the 1990s.

클링과 스카치, 그리고 마커스와 로비의 앙상블 관점 버전을 설명한 1980년대 연구의 높은 인지도에도 불구하고, 1990년대에 이러한 관점을 채택한 논문의 수가 적은 것에 우리는 놀랐다.


Given the kind of emergent IS phenomena we are witnessing today (open source software, electronic commerce, virtual teams, globally-distributed work, new challenges to privacy and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etc.), there clearly is scope for more work to be done from an ensemble view.

오늘날 우리가 목격하고 있는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 전자상거래, 가상 팀, 전 세계에 분산된 업무, 프라이버시 및 지적 재산권에 대한 새로운 도전 등과 같은 IS 현상을 고려할 때, 앙상블 관점에서 더 많은 연구가 이루어질 여지가 분명히 있다.


Taken together, we see that 88 percent of all papers published in ISR over the past 10 years adopt a nominal, proxy, tool, or computational view of the IT artifact.
종합해 보면, 지난 10년 동안 ISR에 발표된 모든 논문의 88%가 IT 아티팩트를 명목적, 대리적, 도구적 또는 계산적 관점에서 다루고 있음을 알 수 있다.


Examined over time, this combination of four views dominates each of the past ten years, ranging from a low of 64 percent in 1991 to a high of 100 percent in 1993 and 1995.

시간 경과에 따른 분석에 따르면, 이 네 가지 관점의 조합이 지난 10년간 지배적이었으며, 1991년에는 최저 64%에서 1993년과 1995년에는 최고 100%를 기록했다.


The number of published articles taking the remaining ensemble view was low throughout the 10 years, including 0 percent (in 1993 and 1995), 1 percent (in 1994 and 1999), and 2 percent (in 1990, 1992, and 1997).

나머지 앙상블 관점을 채택한 논문 수는 10년 동안 지속적으로 낮았으며, 1993년과 1995년에는 0%, 1994년과 1999년에는 1%, 1990년, 1992년, 1997년에는 2%였다.


However, it reaches an important peak in 1996 when seven articles representing the ensemble view were published (representing 28 percent of the articles for the year).

그러나 1996년에는 앙상블 관점을 대표하는 7개의 논문이 발표되어(해당 연도의 논문 중 28%를 차지함), 중요한 정점에 도달했다.


Six of the seven articles were published in a single special issue that called specifically for this type of research and was edited by researchers specializing in the ensemble view.

7개의 논문 중 6개는 이러한 유형의 연구를 특별히 요청하는 단일 특집호에 게재되었으며, 앙상블 관점을 전문으로 하는 연구자들에 의해 편집되었다.


In summary, a review of the articles published over the past 10 years of ISR reveals a broad array of conceptualizations of IT artifacts.
요약하자면, ISR의 지난 10년간 발표된 논문들을 검토한 결과 IT 아티팩트에 대한 광범위한 개념화를 확인할 수 있었다.


Despite this array, however, it seems that even today—in the year 2001 and several decades into the development of our field—many people are still relying on received notions of technology and viewing technology primarily through their disciplinary lenses.
그러나 이러한 다양한 개념화에도 불구하고, 2001년 현재 수십 년이 지난 지금도 여전히 많은 사람들이 기존의 기술 개념에 의존하며, 주로 자신이 속한 학문적 렌즈를 통해 기술을 바라보고 있는 것 같다.


Thus, management and social scientists tend to engage IT artifacts only minimally—as seen by our largest category, the nominal view—or to focus primarily on their effects (or those of their surrogates)—as seen by the tool and proxy views; computer scientists publishing in the ISR journal tend to abstract IT artifacts from contexts and practices of use to focus principally on their computational capabilities.

따라서 관리 및 사회 과학자들은 IT 아티팩트를 최소한으로 다루는 경향이 있으며—이는 명목적 관점에서 가장 큰 카테고리로 나타난다—또는 도구 및 대리 관점에서 보듯이, 주로 기술의 효과(또는 그 대리 효과)에 초점을 맞춘다. ISR 저널에 발표된 컴퓨터 과학자들은 IT 아티팩트를 사용 맥락과 관행에서 추상화하여 주로 그 계산 능력에 초점을 맞추는 경향이 있다.


We believe that moving beyond received disciplinary notions towards broader and deeper interdisciplinary conceptualizations of IT artifacts is not only possible, but essential if the IS field is to make important contributions to the understanding of a world become increasingly interdependent with ubiquitous, emergent, and dynamic technologies.

기존 학문적 개념을 넘어 IT 아티팩트에 대한 더 폭넓고 깊이 있는 학제 간 개념화로 나아가는 것은 가능할 뿐만 아니라, IS 분야가 점점 더 상호 의존적이고, 유비쿼터스하며, 역동적으로 변화하는 기술이 가득한 세상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기여를 하기 위해 필수적이다.




Research Directions: Reconceptualizing the IT Artifact


Currently, in the one journal most focused on publishing IS research, we see that information technology is not a major player on its own playing field.

현재, IS 연구 출판에 가장 중점을 두고 있는 저널에서조차 정보기술은 여전히 중심 주제로 다뤄지지 않고 있다.


In the majority of articles over the past decade, IT artifacts are either absent, black-boxed, abstracted from social life, or reduced to surrogate measures.

지난 10년간의 대다수 논문에서 IT 아티팩트는 부재하거나 블랙박스화되고, 사회적 삶에서 추상화되거나 대리 변수로 축소되었다.


We believe that this lack of attention to the core subject matter of our field represents both a unique opportunity and an important challenge for us to engage more seriously and more explicitly with the material and cultural presence of the information technology artifacts that constitute the “IT” in our IT research.

우리는 이러한 핵심 주제에 대한 무관심이 IS 연구에서 정보기술 아티팩트라는 물질적, 문화적 존재와 더 진지하고 명시적으로 대면할 수 있는 독특한 기회이자 중요한 도전 과제를 나타낸다고 믿는다.


The opportunity arises because the diversity of IS researchers uniquely qualifies our field to pay special attention to the multiple social, psychological, economic, historical, and computational aspects of an evolving array of technologies and the ways in which they are developed, implemented, used, and changed.
기회는 IS 연구자들의 다양성 덕분에 IS 분야가 진화하는 다양한 기술들과 그것들이 개발, 실행, 사용 및 변화하는 방식을 다각도로 살필 수 있는 독특한 자격을 갖추고 있기 때문에 생긴다.


The challenge in realizing this opportunity lies—as Adam (1995) notes about the role of time in social analysis—“in making the implicit visible and turning our attention to the taken for granted.”

이 기회를 실현하는 데 있어 도전 과제는 아담(1995)이 사회 분석에서 시간의 역할에 대해 언급한 대로 “암묵적인 것을 가시화하고 당연하게 여겨졌던 것에 주의를 돌리는 것”에 있다.


We have tended to take information technology for granted in IS research, and we now need to turn our attention to specifically developing and using interdisciplinary theories of IT artifacts to inform our studies.

우리는 IS 연구에서 정보기술을 당연하게 여기는 경향이 있었으며, 이제 우리는 연구에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IT 아티팩트의 학제 간 이론을 구체적으로 개발하고 사용하는 데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Such theories would provide a distinctive foundation for the IS field and serve to guide ongoing research into all manner of IT phenomena.

이러한 이론들은 IS 분야에 독특한 기초를 제공하며, 모든 종류의 IT 현상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를 이끄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In this final section, we propose a research agenda that can begin to take up this challenge.

마지막으로, 우리는 이 도전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연구 의제를 제안한다.


In particular, we see two general directions for such an agenda: developing conceptualizations and theories of IT artifacts, and incorporating such conceptualizations and theories of IT artifacts expressly into our studies.

특히, 우리는 이러한 연구 의제가 두 가지 일반적인 방향을 가진다고 본다: IT 아티팩트에 대한 개념화와 이론을 개발하고, 이를 명시적으로 연구에 통합하는 것이다.


In proposing these research directions, we are not arguing for or against any particular perspective or methodology.

이러한 연구 방향을 제안하면서, 우리는 특정 관점이나 방법론에 찬성하거나 반대하는 것이 아니다.


On the contrary, we believe all perspectives and methodologies offer distinct and important analytic advantages.

반대로, 우리는 모든 관점과 방법론이 독특하고 중요한 분석적 이점을 제공한다고 믿는다.


What we are arguing for is increased attention and explicit consideration of IT artifacts in all studies, whatever their epistemological perspective or methodological orientation.
우리가 주장하는 것은 인식론적 관점이나 방법론적 지향에 관계없이 모든 연구에서 IT 아티팩트에 대한 주의와 명시적 고려를 강화해야 한다는 것이다.


Thus, all studies of IT, whether quantitative or qualitative, large-scale or in-depth, experimental, survey-based, modeling, ethnographic, or case study, can advance our theoretical understandings of IT artifacts.

따라서 IT에 대한 모든 연구—정량적이든 정성적이든, 대규모이든 심층적이든, 실험적이든 설문조사 기반이든, 모델링이든 민족지학적이든, 또는 사례 연구이든 간에—IT 아티팩트에 대한 우리의 이론적 이해를 발전시킬 수 있다.


But to do so, we will need to stop taking IT artifacts for granted and begin to take them seriously enough to theorize about them.
그러나 그렇게 하기 위해서는 IT 아티팩트를 당연시하는 것을 멈추고, 그것들에 대해 진지하게 이론화하기 시작해야 할 것이다.
We believe all IT research will benefit from more careful engagement with the technological artifacts that are at the core of our field.
우리는 모든 IT 연구가 우리 분야의 핵심을 이루는 기술적 아티팩트와 더 신중하게 상호작용함으로써 혜택을 받을 것이라고 믿는다.


Theorizing about IT artifacts might take many forms, but as a starting point we offer the following five premises (Orlikowski and Iacono 2000).

IT 아티팩트에 대한 이론화는 여러 형태를 취할 수 있지만, 시작점으로서 우리는 다음 다섯 가지 전제를 제시한다 (Orlikowski와 Iacono 2000).


(1) IT artifacts, by definition, are not natural, neutral, universal, or given.

(1) IT 아티팩트는 정의상 자연적, 중립적, 보편적, 또는 주어진 것이 아니다.


As Grint and Woolgar (1995, p. 292, emphasis added) note, objects “are never merely and automatically just objects; they are always and already implicated in action and effect.”

Grint와 Woolgar(1995, p. 292, 강조 추가)에 따르면, “객체는 결코 단순히 자동으로 객체일 뿐인 것이 아니라, 항상 이미 행동과 효과에 연관되어 있다”고 한다.


Because IT artifacts are designed, constructed, and used by people, they are shaped by the interests, values, and assumptions of a wide variety of communities of developers, investors, users, etc.

IT 아티팩트는 사람에 의해 설계되고, 제작되고, 사용되기 때문에 다양한 개발자, 투자자, 사용자 등의 커뮤니티의 이해관계, 가치관, 가정에 의해 형성된다.


(2) IT artifacts are always embedded in some time, place, discourse, and community.

(2) IT 아티팩트는 항상 특정 시간, 장소, 담론, 그리고 커뮤니티에 내장되어 있다.


As such, their materiality is bound up with the historical and cultural aspects of their ongoing development and use, and these conditions, both material and cultural, cannot be ignored, abstracted, or assumed away.

따라서 IT 아티팩트의 물질성은 지속적인 개발 및 사용의 역사적, 문화적 측면과 결부되어 있으며, 이러한 물질적, 문화적 조건은 무시되거나 추상화되거나 가정으로 처리될 수 없다.


For example, when studying the use or productivity impacts of electronic mail, it makes a difference to the findings whether the technology in question is IBM’s Profs system or Qualcomm’s Eudora, and whether the study is being conducted in large manufacturing companies in 1980, or small startups in 2000.

예를 들어, 전자 메일의 사용 또는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할 때, 해당 기술이 IBM의 Profs 시스템인지 Qualcomm의 Eudora인지, 연구가 1980년대 대형 제조업체에서 이루어졌는지, 2000년대 소규모 스타트업에서 이루어졌는지에 따라 연구 결과가 달라질 수 있다.

3) IT artifacts are usually made up of a multiplicity of often fragile and fragmentary components, whose interconnections are often partial and provisional and which require bridging, integration, and articulation in order for them to work together.

(3) IT 아티팩트는 일반적으로 여러 개의 취약하고 단편적인 구성 요소들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들 간의 상호 연결은 부분적이고 임시적이며, 함께 작동하기 위해서는 다리 역할, 통합, 그리고 명확한 연결이 필요하다.


We have a tendency to talk of IT artifacts as if they were of a piece—whole, uniform, and unified.
우리는 IT 아티팩트를 마치 하나의 전체로—완전하고, 일관되고, 통합된—취급하는 경향이 있다.
For example, we talk about “the Technology,” “the Internet,” “the Digital Economy,” as if these are single, seamless, stable, and the same, every time and everywhere.
예를 들어, 우리는 “기술”, “인터넷”, “디지털 경제”에 대해 이야기할 때 마치 이것들이 단일하고, 매끄럽고, 안정적이며, 언제 어디서나 동일한 것처럼 이야기한다.


While such simplifications make it easy to talk about technologies, they also make it difficult to see that such technologies are rarely fully integrated, flawless, and unfailing, and that they can and often do break down, wear down, and shut down.

이러한 단순화는 기술에 대해 이야기하기 쉽게 만들지만, 그러한 기술들이 완전히 통합되어 있거나 결함 없이 항상 작동하지 않으며, 종종 고장 나거나 마모되거나 중단될 수 있다는 사실을 인식하기 어렵게 만든다.


(4) IT artifacts are neither fixed nor independent, but they emerge from ongoing social and economic practices.

(4) IT 아티팩트는 고정되거나 독립적인 것이 아니라, 지속적인 사회적, 경제적 관행에서 발생한다.


As human inventions, artifacts undergo various transitions over time (from idea to development to use to modification), while coexisting and coevolving with multiple generations of the same or new technologies at various points in time.

인간의 발명품인 아티팩트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아이디어에서 개발, 사용, 수정까지) 다양한 변화를 겪으며, 다양한 시점에서 동일하거나 새로운 기술의 여러 세대와 공존하고 공동으로 진화한다.


For example, the World Wide Web (WWW) technology was first proposed in 1989 by Tim Berners-Lee of CERN as a hypertexted, networked system for sharing information within the high-energy physics research community.

예를 들어, 월드 와이드 웹(WWW) 기술은 1989년 CERN의 팀 버너스리(Tim Berners-Lee)에 의해 고에너지 물리학 연구 커뮤니티 내에서 정보를 공유하기 위한 하이퍼텍스트 네트워크 시스템으로 처음 제안되었다.


Planned and designed as a particular information technology for a particular community, the WWW has been (and continues to be) taken up by other individuals, organizations, and communities (both locally and globally), used in different ways, and adapted, enhanced, and expanded to accommodate a diversity of evolving interests, values, assumptions, cultures, and other new technologies.

특정 커뮤니티를 위한 특정 정보 기술로 계획되고 설계된 WWW는 다른 개인, 조직, 커뮤니티에 의해 (지역적으로나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방식으로 채택되어 왔고, 진화하는 다양한 관심, 가치, 가정, 문화, 그리고 다른 새로운 기술들을 수용하기 위해 적응되고, 강화되며, 확장되고 있다.


(5) IT artifacts are not static or unchanging, but dynamic.

(5) IT 아티팩트는 정적이거나 불변하지 않고, 역동적이다.


Even after a technological artifact appears to be fixed and complete, its stability is conditional because new materials are invented, different features are developed, existing functions fail and are corrected, new standards are set, and users adapt the artifact for new and different uses.

기술적 아티팩트가 고정되고 완성된 것처럼 보인 후에도, 새로운 재료가 발명되고, 다른 기능이 개발되며, 기존 기능이 실패하고 수정되고, 새로운 표준이 설정되며, 사용자가 아티팩트를 새로운 방식으로 사용하기 위해 적응하면서 그 안정성은 조건적이다.


Understanding how and why IT artifacts come to be “stabilized” in certain ways at certain times and places are critical aspects of understanding the range of social and economic consequences associated with particular technologies in various socio-historical contexts.

특정 기술들이 다양한 사회적, 역사적 맥락에서 어떤 방식으로, 왜 특정 시점과 장소에서 “안정화”되는지를 이해하는 것은, 그와 관련된 사회적, 경제적 결과를 이해하는 중요한 측면이다.


Together, these points comprise a critical baseline for understanding the consequences of IT artifacts in different conditions, and how such artifacts (and their uses and consequences) come to be changed over time.

이러한 점들은 다양한 조건에서 IT 아티팩트의 결과를 이해하기 위한 중요한 기준을 이루며, 그러한 아티팩트(그리고 그 사용과 결과)가 시간이 지나면서 어떻게 변화하게 되는지를 설명한다.


Thus, our first premise requires a shift of attention from taking IT artifacts for granted towards explicit theorizing about specific technologies with distinctive cultural and computational capabilities, existing in various social, historical, and institutional contexts, understood in particular ways, and used for certain activities.

따라서 우리의 첫 번째 전제는 IT 아티팩트를 당연하게 여기는 것에서 벗어나, 독특한 문화적 및 계산적 능력을 지닌 특정 기술을 명확하게 이론화하는 쪽으로 주의를 돌릴 필요가 있다. 이는 다양한 사회적, 역사적, 제도적 맥락에서 존재하며, 특정 방식으로 이해되고, 특정 활동을 위해 사용된다.


Given the context-specificity of IT artifacts, there is no single, one-size-fits-all conceptualization of technology that will work for all studies.
IT 아티팩트의 맥락적 특수성을 고려할 때, 모든 연구에 적용될 수 있는 하나의 보편적인 기술 개념화는 존재하지 않는다.


As a result, IS researchers need to develop the theoretical apparatus that is appropriate for their particular types of investigations, given their questions, focus, methodology, and units of analysis.
따라서 IS 연구자들은 자신들의 연구 질문, 초점, 방법론, 분석 단위에 맞는 이론적 장치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


We anticipate that multiple conceptions and theories of technology will emerge and be modified, generating a rich and growing repertoire of useful concepts and theories of IT artifacts.

우리는 여러 개의 기술 개념과 이론이 등장하고 수정되어, IT 아티팩트에 대한 유용한 개념과 이론의 풍부하고 성장하는 레퍼토리가 형성될 것으로 기대한다.


The point is not to develop the theory of IT artifacts (that is not possible in any case) but that we begin to develop some useful theories—both for ourselves and for researchers in other fields who will want to learn from our examinations and explanations of IT phenomena.
중요한 것은 IT 아티팩트에 대한 단일 이론을 개발하는 것이 아니라 (그것은 어차피 불가능하다) 우리가 몇 가지 유용한 이론을 개발하기 시작하는 것이다. 이는 우리 자신을 위해서도, 그리고 IT 현상에 대한 우리의 조사와 설명에서 배우고자 하는 다른 분야의 연구자들을 위해서도 필요한 작업이다.


Second, to conceptualize IT artifacts as embedded in specific social and historical contexts requires that the detailed practices of their use be recognized and integrated into extant theories.

둘째, IT 아티팩트를 특정 사회적, 역사적 맥락에 내장된 것으로 개념화하려면 그 사용의 세부적인 실천이 인식되고 기존 이론에 통합되어야 한다.


Thus, how people engage with various technological artifacts in the course of working, learning, communicating, shopping, or entertaining themselves must become a central theoretical concern (Orlikowski 2000).

따라서 사람들이 일하거나, 배우거나, 의사소통하거나, 쇼핑하거나, 여가를 즐기는 과정에서 다양한 기술적 아티팩트와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가 이론적 핵심 관심사가 되어야 한다(Orlikowski 2000).


At a recent Academy of Management meeting, one interesting session raised the question of whether virtual teams were different from colocated ones.

최근 경영학회에서 열린 한 흥미로운 세션에서는 가상 팀이 물리적으로 같은 공간에 있는 팀과 다른지에 대한 질문이 제기되었다.


To our surprise, a vote taken at the end of the session showed that almost half the audience believed that the teams were the same.

놀랍게도, 세션 끝에 진행된 투표에서 청중의 거의 절반이 두 팀이 동일하다고 믿는 것으로 나타났다.


In essence, they were saying that the ongoing use of technology by virtual team members did not matter.

즉, 그들은 가상 팀 구성원들이 기술을 지속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지 않다고 말하고 있었다.


With such a starting premise, we can hardly expect these researchers to theorize how virtual team members engage with IT artifacts in the course of working, and to consider the consequences of such engagement for changes in work practices and modifications in the use and design of work technologies.

이러한 전제를 시작점으로 한다면, 연구자들이 가상 팀 구성원들이 업무 과정에서 IT 아티팩트와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 그리고 그러한 상호작용이 업무 관행의 변화와 업무 기술의 사용 및 설계에 미치는 결과를 이론화하는 것은 기대하기 어렵다.


If, as IS researchers, we believe that information technology can and does matter—in both intended and unintended ways—we need to develop the theories and do the studies that show our colleagues how and why this occurs.

만약 우리가 정보 기술이 의도된 방식뿐만 아니라 의도되지 않은 방식으로도 중요하다고 믿는다면, 우리는 동료들에게 이것이 어떻게, 왜 발생하는지를 보여줄 이론을 개발하고 연구를 수행해야 한다.


Our third premise requires researchers to conceptualize and explain IT artifacts as multiple, fragmented, partial, and provisional.

세 번째 전제는 연구자들이 IT 아티팩트를 다수의, 분열된, 부분적이고 임시적인 것으로 개념화하고 설명할 것을 요구한다.


Letting go of a monolithic view of technology implies recognizing that technologies such as the Internet and other distributed applications do not provide the same material and cultural properties in each local time or context of use.

기술을 단일체적으로 보는 관점을 버리는 것은 인터넷이나 다른 분산 응용 프로그램과 같은 기술들이 각 지역적 시간이나 사용 맥락에서 동일한 물질적, 문화적 속성을 제공하지 않는다는 것을 인식하는 것을 의미한다.


For example, the use of the Internet in Saudi Arabia or in the United States, let alone in various microcontexts of use, can vary widely in terms of access, cultural adaptation, and regulatory frameworks.

예를 들어, 사우디아라비아나 미국에서의 인터넷 사용은 물론, 다양한 소규모 사용 맥락에서의 인터넷 사용은 접근성, 문화적 적응, 규제 프레임워크 측면에서 크게 다를 수 있다.


Research on the uses of distributed complexes of applications may require new theories and methods to understand how the various elements of interdependent systems (and their uneven development) interact to provide different types and levels of service.

분산된 응용 프로그램 복합체의 사용에 대한 연구는 상호 의존적인 시스템의 다양한 요소들이 어떻게 상호 작용하여 다른 유형과 수준의 서비스를 제공하는지 이해하기 위한 새로운 이론과 방법이 필요할 수 있다.


For example, more research on the kinds of workarounds (Gasser 1986) and forms of articulation work (Suchman 1996) that enable people to make dynamically complex systems work in practice may be critical.

예를 들어, 사람들이 역동적으로 복잡한 시스템을 실제로 작동시키기 위해 사용하는 우회 방법(Gasser 1986)과 표현 작업(Suchman 1996)의 형태에 대한 추가 연구가 중요할 수 있다.


Our fourth and fifth premises point to the emergence and evolution of IT artifacts as complex and changing technosocial processes existing in time and over time.

네 번째와 다섯 번째 전제는 IT 아티팩트가 시간 속에서, 시간이 흐르면서 존재하는 복잡하고 변화하는 기술사회적 과정으로서 출현하고 진화한다는 것을 가리킨다.


We need to generate new theories to help us make sense of these processes, particularly if we are to understand the dynamic and unprecedented technologies and uses comprising contemporary initiatives in electronic business and virtual organizing, innovations in mobile computing and telecommuting, developments in wireless and wearable technologies, and the predicted convergence of nanotechnology, biotechnology, and information technology, to name a few.

우리는 이러한 과정들을 이해할 수 있는 새로운 이론을 만들어야 하며, 특히 전자 비즈니스와 가상 조직화, 모바일 컴퓨팅 및 원격근무 혁신, 무선 및 웨어러블 기술 개발, 나노기술, 생명공학, 정보 기술의 융합 등과 같은 동적이고 전례 없는 기술과 사용을 이해하려면 더욱 그렇다.


Even the ensemble views of technology, which do engage with the social and embedded aspects of technology development and use, tend not to take into account the multi-generational and emergent aspects of technological artifacts that arise as designers, developers, users, regulators, and other stakeholders engage with evolving artifacts over time and across a variety of contexts.

기술의 사회적 및 내재적 측면을 다루는 앙상블 관점조차도 기술적 아티팩트가 여러 세대를 거쳐 발생하고, 디자이너, 개발자, 사용자, 규제자 및 기타 이해 관계자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다양한 맥락에서 진화하는 아티팩트와 상호작용할 때 나타나는 새로운 측면을 고려하지 않는 경향이 있다.


To better understand such evolving dynamics, ongoing and longitudinal studies of information technology are particularly useful—whether conducted by individuals or teams of researchers.

이러한 진화하는 역동성을 더 잘 이해하기 위해, 정보 기술에 대한 지속적이고 종단적인 연구가 특히 유용하다—개인 연구자나 연구팀이 수행하든지 간에.


By following specific artifacts over periods of time, it should become clear that changes occur not only in the social, behavioral, and economic circumstances within which the artifacts are embedded (resulting in the so-called “societal” or “organizational transformations” that we hear so much about) but also that changes are constantly occurring in the IT artifacts themselves—whether through invention, innovation, regulation, expansion, slippage, upgrades, patches, cookies, viruses, workarounds, wear and tear, error, and failure.

특정 아티팩트를 일정 기간 추적함으로써, 아티팩트가 내재된 사회적, 행동적, 경제적 상황에서뿐만 아니라, 발명, 혁신, 규제, 확장, 오류, 업그레이드, 패치, 바이러스, 우회 방법, 마모 및 손상, 오류, 고장 등을 통해 IT 아티팩트 자체에서도 지속적으로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는 것이 분명해질 것이다.


The Internet that we are developing and using in new ways today is not the Internet that we developed and used in new ways in the 1980s or even the 1990s.

오늘날 우리가 새로운 방식으로 개발하고 사용하는 인터넷은 1980년대 또는 1990년대에 우리가 새로운 방식으로 개발하고 사용했던 인터넷과 같지 않다.


That the Internet is not static or fixed should be obvious.

인터넷이 정적이거나 고정된 것이 아니라는 것은 자명하다.


But, where are the theories of how such large-scale and densely interconnected IT artifacts coevolve with the various social institutions and communities (both local and global) that develop, regulate, use, and change them?

하지만 이러한 대규모로 밀집하게 상호 연결된 IT 아티팩트가 그것들을 개발하고, 규제하고, 사용하고, 변화시키는 다양한 사회적 기관 및 커뮤니티(지역적, 세계적 모두)와 어떻게 공동 진화하는지에 대한 이론은 어디에 있는가?


For example, how, exactly, is the Internet of the 1980s different from that of the 1990s Internet, how do those differences shape contemporary uses of the Internet, and what do these differences bode for the future—for the Internet-worked technologies of the 2000s and the ways in which they will mutually constitute organizations and society?

예를 들어, 1980년대의 인터넷이 1990년대의 인터넷과 어떻게 정확히 다른지, 그 차이가 현대 인터넷 사용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그 차이가 2000년대의 인터넷 기반 기술과 조직 및 사회를 상호 구성하는 방식에 대해 미래에 어떤 의미를 갖게 될 것인지에 대한 답은 무엇인가?


It seems that we have left much of our understanding of IT artifacts to the technology vendors and the mass media journalists and pundits who cover them, while the associated social changes have been left to social scientists, economists, and media theorists (Iacono and Kling, 2001).

우리가 IT 아티팩트에 대한 이해의 많은 부분을 기술 벤더들과 그들에 대해 다루는 대중 매체 기자들과 평론가들에게 맡겨왔고, 이에 수반되는 사회적 변화들은 사회 과학자, 경제학자, 미디어 이론가들에게 맡겨져 왔던 것 같다 (Iacono and Kling, 2001).


However, none of these groups attempts to understand the complex and fragmented emergence of IT artifacts, how their computational capabilities and cultural meanings become woven in dense and fragile ways via a variety of different and dynamic practices, how they are shaped by (and shape) social relations, political interests, and local and global contexts, and how ongoing developments in, uses of, and improvisations with them generate significant material, symbolic, institutional, and historical consequences.

그러나 이들 그룹 중 어느 누구도 IT 아티팩트의 복잡하고 단편적인 출현, 그것들의 계산 능력과 문화적 의미가 어떻게 다양한 동적 실천을 통해 밀접하고 취약하게 얽혀 있는지, 그것들이 어떻게 사회적 관계, 정치적 이해관계, 지역적 및 글로벌 맥락에 의해 형성되고, 또한 그 맥락들을 어떻게 형성하는지, 그리고 그것들과의 지속적인 발전, 사용, 즉흥적인 변화가 물질적, 상징적, 제도적, 역사적으로 중요한 결과를 어떻게 초래하는지에 대해 이해하려는 시도를 하지 않았다.


Yet, this is precisely where the IS field (drawing as it does on multiple disciplines and different types of analyses) is uniquely qualified to offer essential insights and perspectives.
그러나 바로 이러한 점에서 IS 분야는 다수의 학문과 다양한 분석 방식을 통합하는 특성을 지니고 있어 본질적인 통찰력과 관점을 제공할 수 있는 독특한 자격을 갖추고 있다.



Conclusion


Our commentary has been motivated by a belief that the tendency to take IT artifacts for granted in IS studies has limited our ability as researchers to understand many of their critical implications—both intended and unintended—for individuals, groups, organizations, and society.

우리의 논평은 IS 연구에서 IT 아티팩트를 당연하게 여기는 경향이, 연구자로서 우리가 개인, 집단, 조직, 사회에 대한 의도된 것과 의도되지 않은 많은 중요한 함의를 이해하는 능력을 제한한다고 믿는 데에서 비롯되었다.


We believe that to understand these implications, we must theorize about the meanings, capabilities, and uses of IT artifacts, their multiple, emergent, and dynamic properties, as well as the recursive transformations occurring in the various social worlds in which they are embedded.
이러한 함의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IT 아티팩트의 의미, 능력, 사용 방식뿐만 아니라 그것들이 내재된 다양한 사회적 세계에서 발생하는 여러 가지 복잡하고 역동적인 특성과 순환적 변형에 대해 이론화해야 한다고 믿는다.


We believe that the lack of theories about IT artifacts, the ways in which they emerge and evolve over time, and how they become interdependent with socio-economic contexts and practices, are key unresolved issues for our field and ones that will become even more problematic in these dynamic and innovative times.

IT 아티팩트에 대한 이론의 부족, 그것들이 시간이 지나면서 어떻게 출현하고 진화하는지, 그리고 사회경제적 맥락과 실천과 어떻게 상호 의존적으로 되는지에 대한 문제는 이 분야의 중요한 미해결 문제이며, 이 역동적이고 혁신적인 시대에 더 큰 문제가 될 것이다.


Our future is becoming increasingly dependent on a multiplicity of pervasive and invasive technological artifacts.

우리의 미래는 점점 더 많은 널리 퍼져 있는, 그리고 침투하는 기술적 아티팩트들에 의존하고 있다.


As IS researchers, we have the opportunity and responsibility to influence what future is enacted with those technological artifacts.

IS 연구자로서 우리는 그러한 기술적 아티팩트를 통해 만들어질 미래에 영향을 미칠 기회와 책임이 있다.


To do so, however, we must engage deeply and seriously with the artifacts that constitute a central component of that future.

그러나 그렇게 하기 위해서는 미래의 중심 구성 요소를 이루는 아티팩트들과 깊고 진지하게 상호작용해야 한다.


Otherwise, we will remain passive observers of the technosocial transformations occurring around us, and we will risk fulfilling our own worst prophecies of technological determinism.
그렇지 않으면 우리는 주변에서 일어나는 기술 사회적 변화를 수동적으로 관찰하게 될 것이며, 기술 결정론에 대한 최악의 예언을 스스로 실현할 위험에 처하게 될 것이다.
A basic presumption of the IS field is that IT matters in everyday social and economic practice.
IS 분야의 기본 가정은 IT가 일상적인 사회적, 경제적 실천에서 중요하다는 것이다.

We also need to make it matter in our research practice.

우리의 연구 실천에서도 그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입증해야 한다.

매거진의 이전글 논문 리뷰 : 연구 주제 선택 방법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