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매거진 논문 리뷰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변재현 Jul 12. 2024

논문리뷰 : 블록체인 거버넌스의 (비)중앙화, 암호화폐

Heo, K., Yi, S. (2023), J Org Design

Heo, K., Yi, S. (De)centralization in the governance of blockchain systems: cryptocurrency cases. J Org Design 12, 59–82 (2023).

https://doi.org/10.1007/s41469-023-00138-w


Keywords  

Blockchain, Cryptocurrency, (De)centralization, Decision-making, Governance


초록 및 서론(Abstract & Intro)

 논문은 10개의 선택된 암호화폐 블록체인 시스템의 다양한 조직적 및 기술적 요소를 논의하면서 그들의 운영 및 적응이 (탈)중앙화되었는지를 집중적으로 분석하고 있다.  

This paper aims to discuss the various organizational and technological elements of governance of 10 selected cryptocurrency blockchain systems, focusing on whether their operation and adaptation are (de)centralized.  


 논문은 기존 조직을 위한 블록체인 기술의 응용을 연구하는 것이 아니라, 암호화폐 블록체인 시스템의 관리, 기술적 및 조직적 요소에서의 탈중앙화 정도를 분석하는 것에 중점을 두고 있다.  

This paper focuses on the governance of the cryptocurrency blockchain systems, analyzing the degree of decentralization in its technological or organizational elements, rather than studying the application of blockchain technologies for an existing organization.  


암호화폐 블록체인 시스템의 관리는 중앙화와 탈중앙화가 동시에 존재하는 이중적인 특성을 가진다.  

This paper outlines the dual nature of the governance of the cryptocurrency blockchain systems: simultaneous presence of centralization and decentralization.  


블록체인 지지자와 학자들은 몇몇 이기적이고 신중하지 않은 개발자들에 의해 관리 구조가 부족하다는 것을 목격했다. 이러한 블록체인 시스템의 오작동과 붕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이들의 관리를 면밀히 이해하는 것이 필요하다 (Atzori 2017; Azouvi et al. 2019; De Filippi and Loveluck 2016).  

Blockchain proponents and scholars, however, have witnessed a lack of governance structure, manipulated by a few selfish and indiscreet developers. To prevent such malfunctioning and collapse of blockchain systems, it is necessary to carefully understand their governance (Atzori 2017; Azouvi et al. 2019; De Filippi and Loveluck 2016).  



기술적 관점에서 암호화폐 블록체인 시스템은 대부분 탈중앙화되어 있다. 기술적으로 암호화폐 시스템에서 블록체인은 불변하고 탈중앙화된 부패할 수 없는 공개 장부 (거래 데이터베이스)로, 모든 네트워크 참여자가 데이터베이스 일관성과 거래 검증을 보장하기 위해 공개-비공개 키 암호화를 사용하여 공유한다 (Van Rijmenam et al. 2017).  

In terms of the technological aspects of their governance, cryptocurrency blockchain systems are mostly decentralized. Technically, in the system of cryptocurrencies, the blockchain is an immutable, decentralized and incorruptible public ledger (database of transactions) shared by all network actors under the public–private key cryptography to guarantee database consistency and transaction verification (Van Rijmenam et al. 2017).  


간단히 말해, 거래 검증은 두 단계로 나뉜다: (1) 거래를 암호화된 데이터 구조에 저장하는 검증 과정과 (2) 이 유효한 거래를 체인에 삽입하는 합의 과정이다 (Beck et al. 2018; Vergne 2020). 요약하자면, 거래가 발생하면 참여자들이 암호화를 통해 이를 검증하여 하나의 거래가 합의되거나 남게 된다.  


Simply put, the verification of transactions is divided into two stages: (1) storing a transaction to the block in a cryptographic data structure, namely the validation process; and (2) inserting this genuine transaction into the chain, namely the consensus process (Beck et al. 2018; Vergne 2020). In short, when a transaction occurs, actors validate it through encryption until one transaction is consented to (or remains).  


반면, 조직적 관점에서의 관리는 대부분 중앙화되어 있다. 중요한 결정을 내릴 권리나 권한 (예: 규칙이나 알고리즘 수정)은 종종 창립자 및 동료와 같은 소수의 개인에게 있다. 예기치 않은 문제가 발생했을 때, 문제 해결 조정은 보통 중앙집중식의 상명하달식 통제와 모니터링에 기반을 둔다.  


In contrast, the organizational aspects of governance are largely centralized in cryptocurrencies. The right or authority to make important decisions (e.g., modification of rules or algorithms) often sits with a small number of individuals, such as founders and associates. When unforeseen problems occur, for instance, problem-solving coordination is usually based on centralized, top-down control and monitoring.



거버넌스의 개념 (Concept of governance )


거버넌스는 조직을 이끄는 수단이다 (Cyert and March 2006; March and Simon 1993; Simon 1997). Governance is a means by which to steer organizations (Cyert and March 2006; March and Simon 1993; Simon 1997).  


March와 Simon (1993 p. 2)에 따르면, 조직은 "선호도, 정보, 관심사, 지식이 다른 개인과 그룹 간의 조정된 행동 시스템"이다. 따라서 조직에서는 이러한 차이를 효율적으로 조정하여 참가자의 공통 목표를 좋은 의사결정을 통해 달성해야 한다 (Gavetti et al. 2007; March and Simon 1993; Peterson 2004).  

According to March and Simon (1993 p. 2), organizations are “systems of coordinated action among individuals and groups whose preferences, information, interests, or knowledge differ.” Therefore, in organizations, these differences should be efficiently coordinated so that participants’ common objectives are achieved through good decision-making (Gavetti et al. 2007; March and Simon 1993; Peterson 2004).  


조직의 거버넌스는 조정, 의사결정 및 모니터링의 구조를 포함한 여러 조직적 행동과 결과의 구성체로 인식된다 (Grembergen et al. 2004; Newman 2001; Peterson 2004; Taylor 1998).  

The governance of organizations is perceived as a construct of several organizational actions and outcomes including structures of coordination, decision-making and monitoring (Grembergen et al. 2004; Newman 2001; Peterson 2004; Taylor 1998).  


또한 거버넌스는 조직이 협력과 조정을 처리하는 방식을 결정한다 (Cyert and March 2006; March and Simon 1993; Simon 1997). 따라서 조직 내 개인은 조직 권위, 정체성, 의사소통, 유인책을 통해 관리의 영향을 받는다 (Gavetti et al. 2007; Kolbjørnsrud 2018).  

Governance also determines the ways in which organizations deal with cooperation and coordination (Cyert and March 2006; March and Simon 1993; Simon 1997). Therefore, individuals in organizations are influenced by governance through the role of organizational authority, identification, communication, and inducements (Gavetti et al. 2007; Kolbjørnsrud 2018).  


역사와 연구는 정보 및 통신 기술 (ICT)의 발전이 조직이 협력과 조정을 다루는 방식과 형태를 크게 변화시킬 수 있음을 보여준다. Simon (1973)에 따르면, ICT가 내재된 조직의 참가자는 인간과 컴퓨터 모두이므로, 이러한 유형의 조직에 대한 관리는 인간 구성원과 ICT 구성 요소 간의 정보 처리 및 의사결정과 관련이 있다 (Gorwa 2019; Grembergen et al. 2004; Peterson 2004; Kolbjørnsrud 2018).  

History and research show that advanc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may profoundly alter the form and manner in which organizations address cooperation and coordination. According to Simon (1973), participants in an organization with embedded ICT are both human and computer, so governance for this type of organization concerns information processing and decision-making shared between human members and ICT components (Gorwa 2019; Grembergen et al. 2004; Peterson 2004; Kolbjørnsrud 2018).  


이러한 조직 시스템에서 ICT 구성 요소, 예를 들어 알고리즘과 프로토콜은 기술적 인프라로서 뿐만 아니라 협력과 조정의 비용과 위험을 줄이고 조직의 효율성을 높이는 수단으로 사용된다 (Nyman and Lindman 2013).  

In such organizational systems, the ICT components, such as algorithms and protocols, are utilized not only as technical infrastructure, but also as a means of reducing the costs and risks of cooperation and coordination, and of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Nyman and Lindman 2013).  


ICT의 사용이 증가함에도 불구하고, 협력과 조정이라는 두 가지 근본적인 조직 문제를 해결하는 데 있어 인간 행위자의 역할과 책임은 여전히 중요하다 (Mintzberg 1989; Simon 1973, 1997).  

Despite the increasing use of ICT, however, the roles and responsibilities of human actors remain essential in addressing two fundamental organizational issues, namely cooperation and coordination (Mintzberg 1989; Simon 1973, 1997).



중앙화와 탈중앙화(Centralization and decentralization)


(탈)중앙화 정도는 조직 설계와 관리의 가장 중요한 관리 변수 중 하나이다 (Galbraith 1973; Mintzberg 1989).

The degree of (de)centralization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managerial variables of organizational design and governance (Galbraith 1973; Mintzberg 1989).  


중앙화는 의사결정 권한이 단일 개인이나 소수의 행위자에게 집중된 정도를 나타낸다.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중앙화는 전체 네트워크에 대한 고수준의 정보나 완전한 지식과 데이터 세트를 사용하여 코드, 알고리즘 및 프로토콜로 실행되는 의사결정을 의미한다.  

Centralization refers to the extent to which the decision-making authority is concentrated in the hands of a single individual or a small group of actors. To be specific, in a network system, centralization means utilization of high-level information or full knowledge and datasets about the entire network for decision-making within a computing process run by codes, algorithms and protocols.  


탈중앙화는 데이터나 정보를 조직 내 여러 행위자에게 분산시켜 최고 권위자들만이 완전히 소유하지 않도록 하는 것을 의미한다 (Zaltman et al. 1973).  

Decentralization distributes data or information across many (groups of) actors in an organization, so that they are not entirely reserved by the top authorities (Zaltman et al. 1973).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탈중앙화는 네트워크 토폴로지의 부분적 지식 (예: 누가 누구와 상호작용하는지), 행위자 간의 로컬 연결 (인간, 코드 및 알고리즘 포함) 및 근처에서 이용 가능한 정보 (Ma et al. 2018), 또는 전체 데이터 세트의 하위 집합을 통해 의사결정이 이루어지는 것을 의미한다 (Mannila 2002).  


Likewise, in a network system, decentralization refers to decision-making being informed by partial knowledge of a network topology (e.g., who interacts with whom) (Girvan and Newman 2002), local connections between actors (including humans, codes and algorithms) and information available nearby (Ma et al. 2018), or a subset of a whole dataset (Mannila 2002).  


(탈)중앙화의 주요 관심사는 의사결정 권한 (예: 권위와 정보)을 다양한 행위자에게 어떻게 할당하고 관리할 것인가에 관한 것이다 (Mintzberg 1989; Simon 1997).

A key concern of (de)centralization is about how to allocate and manage decision-making power (e.g., authority and information) across various actors (Mintzberg 1989; Simon 1997).  


조직은 공식적인 권한 분배, 의사결정 과정에 대한 일반인의 참여 정도 및 조정 과정의 설계 결과로 의사결정에서 더 (탈)중앙화될 수 있다 (Powell 1990; Simon 1997; Williamson 1979).  

First, organizations could be more or less (de)centralized in decision-making as a result of formal distribution of authority, the degree of layperson’s participation in decision-making and the design of the coordination process (Powell 1990; Simon 1997; Williamson 1979).  


예를 들어, 상위 계층의 소수가 더 좁은 범위의 의사결정 과정에 참여하는 경우 조직은 더 중앙화되며, 하위 계층의 많은 개인이 대부분의 의사결정 과정에 참여하는 경우 조직은 더 탈중앙화된다 (Mintzberg 1989).  

For example, organizations are more centralized when a smaller proportion of its members, at higher levels of the hierarchy, participate in a narrower range of decision-making processes while organizations are more decentralized when many individuals at lower levels of the hierarchy are involved in most of the decision-making processes (Mintzberg 1989).  


또한 (탈)중앙화의 중요한 지표는 의사결정을 위한 정보의 분배이다. 일부 조직은 운영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정보를 중앙화하지만, 다른 조직은 조직의 효율성과 유연성을 위해 이를 탈중앙화한다 (March and Simon 1993; Peterson 2004).  

Another important proxy for (de)centralization can be the distribution of information for decision-making purposes. Some organizations centralize information to enhance their operational efficiency through standardization, but others decentralize it for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flexibility (March and Simon 1993; Peterson 2004).  


최근 네트워크 조직의 사회기술적 구조에서 데이터 처리, 데이터 수집/저장, 정보 통합 및 알고리즘 계산은 특정 조건과 임계값이 충족되면 특정 코드에 의해 실행된다 (Vergne 2020). 주어진 프로토콜에 따라 컴퓨팅 시스템은 의사결정 과정에서 서로 다른 수준의 데이터와 정보를 사용한다.  


Specifically, in the sociotechnical construction of recent network organizations, data processing, including data gathering/storing, information integration and algorithmic calculation, is run by specific codes once certain conditions and thresholds are met (Vergne 2020). Depending on the given protocols, computing systems use different levels of data and information for their decision-making processes.  


권한 할당(Allocation of authority)


권한은 상위 계층의 사람들이 하위 계층에서 이루어진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기 위한 조직적 수단이며, 따라서 자원 할당, 참여 및 정책 수정과 같은 중요한 방향을 결정한다 (Beetham 1996; Simon 1997).

Authority is an organizational means for those at higher levels to influence decisions made at lower levels, and thus to determine important directions such as resource allocation, participation and policy revision (Beetham 1996; Simon 1997).  


암호화폐에서는 권한이 소유권과 자원 (예: 컴퓨팅 파워)에서 비롯될 수 있지만, 전문성과 명성 (예: 창립 멤버나 저명한 개발자 또는 투자자로서의 경제적 기여를 통해서도)에서도 나올 수 있다.  

In cryptocurrencies, authority may stem from ownership and resources (e.g., computing power), but also from expertise and reputation (e.g., as a founding member or a prominent developer, or through making an economic contribution as an investor).  


이러한 권한은 정책 설정 및 변경, 예산이나 자금 통제를 포함한 중요한 결정을 내리는 것을 허용한다. 권한이 많은 참가자에게 분산된 암호화폐는 탈중앙화된 것으로 인식될 수 있으며, 반면 소수의 강력한 대표자에게 집중된 권한은 중앙화된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Such authority allows them to make important decisions such as setting up and changing policies, and controlling budgets or funds. A cryptocurrency in which authority is distributed among many participants could be perceived as being decentralized; in contrast, authority concentrated in the hands of a few powerful representatives could be seen as centralized.  


조정 메커니즘 & 참여 자유(Coordination mechanisms  & Participation freedom)


조직 시스템은 효과적인 관리를 위해 규칙 및 규정을 포함한 다양한 조정 메커니즘을 사용할 수 있다.  

An organizational system may employ various coordination mechanisms, such as rules and regulations, for its effective governance.  


각 암호화폐의 조정 메커니즘은 (1) 표준화, 공식 규칙 및 절차, 명세서가 있는 계층 구조 (Galbraith 1973; March and Simon 1993) 또는 (2) 비공식적 상호 조정 및 다수결 규칙 (Thompson 2007)으로 운영된다.  

The coordination mechanism in each cryptocurrency runs by either (1) hierarchy with standardization, formal rules and procedures, and specifications (Galbraith 1973; March and Simon 1993) or (2) a later coordination mechanism referred to as informal mutual adjustment and majority rules (Thompson 2007).  


중요한 의사결정 활동에 참여하는 것은 조직적 협력과 조정을 위한 전제 조건이므로, 효과적인 관리를 위해 이를 촉진해야 한다 (Kogut and Metiu 2001; Mintzberg 1989; Nyman and Lindman 2013; Baran 1964).  

Participation in an important decision-making activity is a prerequisite for organizational cooperation and coordination, so it should be facilitated to ensure effective governance (Kogut and Metiu 2001; Mintzberg 1989; Nyman and Lindman 2013; Baran 1964).  


암호화폐는 중요한 의사결정 과정에 참여하고자 하는 사람들에게 열려 있으면 더 탈중앙화된 것으로 간주되고, 참여가 제한되어 있거나 소수의 권력을 가진 사람들에 의해 승인된 경우에는 더 중앙화된 것으로 간주된다 (Mintzberg 1989; Simon 1973).  

A cryptocurrency is deemed to be more decentralized if participation in the process of making important decisions is open to those willing to participate; in contrast, it is deemed more centralized if participation is restricted and thus authorized by only a few in power or by screening rules designed by them (Mintzberg 1989; Simon 1973).  



논의(Discussion)

본 연구는 선정된 암호화폐의 관리에 대한 기술적 및 조직적 측면을 풀어내어 분석한 결과, 블록체인 시스템 관리의 이중적 특성에 대해 조명했다.

By untangling the intertwined technological and organizational aspects of governance of the cryptocurrencies selected for analysis, our analysis shed light on the dual nature of governance of the blockchain systems.


첫째, 기술적 관점에서 그들은 대개 탈중앙화되어 있다. 검증 과정의 대부분의 주요 프로토콜은 근접한 정보, 즉 단일 블록 내에 위치한 정보에 기반하여 실행되지만, 일부 프로토콜은 중앙집중화된 합의 과정을 통해 지배되기도 한다. 또한, 중앙집중식 통제로서의 사전 프로그래밍된 개입 프로토콜은 없으며, 대신 블록체인 시스템은 단순히 포크되기 쉽다.

First, it is found that they are mostly decentralized in terms of the technological aspects of their governance. Most key protocols in the validation process run on the basis of information available in the close proximity, located within a single block, albeit some protocols have prevailed through the centralized process of consensus. Furthermore, there is no pre-programmed intervention protocol (as a centralized control) to manage conflicts and unexpected situations. Rather, the blockchain systems simply tend to be forked.


반면, 조직적 관점에서 그들의 관리는 대부분 중앙화되어 있다. 중요한 결정을 내릴 권한은 종종 소수의 그룹 (예: 창립자, 주요 개발자 및 강력한 채굴자)에게 있으며, 이러한 관리적 의사결정에 대한 참여는 암호화폐의 모든 참가자에게 열려 있지 않다. 예기치 않은 상황이나 기술적으로 알고리즘으로 해결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했을 때, 문제 해결 조정은 보통 중앙집중식의 상명하달식 통제에 기반한다.

In contrast, the organizational aspects of their governance are largely centralized. The authority to make important decisions that affect the entire blockchain network and the community is often in the hands of a small group (e.g., founders, key developers, and powerful miners), and participation in such managerial decision-making is not open to every participant of cryptocurrencies. When facing exceptional circumstances or issues that could not be addressed technically by algorithms, problem-solving coordination is usually based on centralized and top-down control.


대부분의 암호화폐는 기존 암호화폐에서 포크된 결과로 진화했기 때문에, 조직적 관리의 중앙화는 자연스러운 결과로 보인다 (De Filippi and Loveluck 2016; Atzori 2017).

Since most cryptocurrencies have evolved as a result of forking from existing ones (De Filippi and Loveluck 2016; Atzori 2017), centralization of the organizational aspects of governance seems to be a natural consequence.


조직적 관리의 중앙화된 측면은 양날의 검으로 작용할 수 있다. 한편으로는 암호화폐나 블록체인 네트워크가 소수의 권력에 의해 남용되고 착취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핵심 알고리즘의 미세한 조정을 통한 기술적 조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는 이러한 인간 권위가 알고리즘 자율주의의 위험을 상쇄할 수 있으며, 이는 사용 중인 알고리즘의 일부 코드나 기능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예상치 못한 기술적 결함 및 문제나 공격을 방지할 수 있다.

The centralized organizational aspect of governance, however, may serve as a double-edged sword. On the one hand, cryptocurrencies or blockchain networks could be abused and exploited by a small group in power through, for instance, technological arrangements such as subtle adjustments to key algorithms. On the other hand, such human authority may counteract the risks of algorithmic autocracy such as unanticipated technical flaws and problems, or attacks that could be caused and scaled-up by some codes or features of the algorithms in use.


결과적으로, 기술적 탈중앙화와 조직적 중앙화의 이중적 측면이 블록체인 시스템 관리의 상호보완적 힘으로서 복잡하고 경쟁적이며 불확실한 기술적 및 제도적 변화 과정에서 진화적 이점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A stretched implication of our results is that the dual aspects of technological decentralization and organizational centralization, as counter-balancing forces in the governance of blockchain systems, might have an evolutionary advantage in the complex, competitive and uncertain processes of technological and institutional change.


요약하자면, 암호화폐는 자율적이고 피어 투 피어 네트워크로서 탈중앙화된 독특한 특징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주요 예외사항 및 조직적 문제를 해결하는 데 있어 인간 참여자의 계층적 역할과 책임은 여전히 중요하다 (시스템의 안정성, 신뢰성 또는 지속 가능성을 위해).

In sum, even though cryptocurrencies have the distinctive feature of decentralization as a self-organized, peer-to-peer network, the hierarchical roles and responsibilities of human participants remain essential in addressing major exceptions and organizational issues (for the stability, reliability or sustainability of the system).


암호화폐 및 기타 블록체인 시스템을 설계하고 적용하는 데 있어, 기술적 탈중앙화와 조직적 중앙화라는 이중적 특성을 공정하게 고려해야 하며, 시스템 개발 및 조직 설계의 공동 관점에서 조직적 관리의 측면을 신중하게 고려해야 한다. 잘 설계되고 적용된다면, 이러한 이중적 관리 특성은 암호화폐 및 블록체인 시스템의 역할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라, 기존 경제 및 사회 제도를 보완하고 증대시키는 혁신적 제도적 기술로서의 역할을 확장할 수 있을 것이다.

The aforementioned dual aspects simultaneously presented in centralized and decentralized governance by both human and technology, even in a public and permission-less cryptocurrency, need to be afforded fair attention and consideration in both research and practice. In designing and applying cryptocurrencies and other blockchain systems, the organizational aspects of governance, in particular, have to be seriously taken into account from the joint perspective of system development and organizational design. If well designed and applied, the dual nature of their governance will not limit but extend the role of cryptocurrencies and blockchain systems as innovative institutional technology by augmenting or complementing the existing economic and social institutions.


결론적으로, 본 연구의 결과는 선택된 암호화폐 블록체인 시스템을 기반으로 하며, 이는 다른 블록체인 시스템의 관리를 다양한 도메인에서 조사하는 추가 연구를 초대한다. 조직 설계 관점에서 블록체인이 조직에서 어떻게 사용되는지, 어떤 도전과 기회가 발생하는지, 그리고 조직 성과에 대한 그들의 함의를 조사하는 것도 유망한 연구 기회가 될 것이다.

The findings are based on the selected cryptocurrency blockchain systems, and this limitation of our research invites further research to investigate the governance of other blockchain systems in various domains. It will be also promising as a research opportunity to examine how blockchains are used in organizations and what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arise from an organizational design perspective, as well as their implications for organizational performance.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