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우동이즘 May 22. 2022

프로와 아마추어 차이

생각을 줄여라

창작을 앞둔 프로와 아마추어의 차이.



아마추어의 패턴.
아마추어 마인드

 아마추어는 생각이 너무 많다. 시작도 하기 전에 내 기획의 약점부터 찾기 바쁘다. 다양한 안될 이유를 찾은 뒤 그것을 해결하고 난 뒤에 해보자며 시작을 미룬다. 심지어 "이 것이 되면 어떡하지?"라며 된 이후의 걱정까지 앞당겨 고민한다.







프로의 패턴.
프로 마인드

 프로는 생각보다 손이 먼저 움직인다. 어차피 처음부터 완벽한 것은 없다라는 걸 알기 때문이다. 일단 초안으로 무언가를 완성한다. 그리고 주위 의견을 들어보고 납득할만한 부분 안에서 수정을 하며 완성도를 높여간다. 그렇게 만들어 둔 초안 형태의 완성물들은 경우에 따라 잠시 서랍 속으로 들어가는 경우도 있고, 계속해서 발전시켜나가는 경우도 있다. 후자의 경우 "어떻게 해서든 이 것을 성공시키고 만다."라는 집념으로 가득 차 있는 경우가 보통이다.









태도의 차이가 발생하는 이유
프로와 아마추어 태도의 차이

1) 콘텐츠들을 수없이 완성시켜본 경험.

-"하나의 콘텐츠를 만들기 위해 노력해야 하는 시간" 이 것에 대한 두려움이 없다. 전혀 없다고는 할 수 없지만, 아마추어들에 비해 "시작하기 까지의 정신적 노동"이 덜 든다. 그것은 특별한 재능의 영역이 아니다. 그저 더 많이 실패작들을 쌓아본 경험일 뿐이다.



2) 성공을 시켜본 경험 안에서 나오는 "자기 확신". 

-가장  차이다. 무엇인가를 기획하고, 제작하여 성공해본 경험은 창작자 내면의 확신을 심어준다.  성공의 경험은 창작자에게 경계선을 만드는 행위가 되어준다. 실패와 성공 사이의 퀄리티 경계선을 긋는 행위인 것이다.

" 정도  이상으로만 만들면  정도 보상은 따라오는구나."라고 하는 "성공의 경계선". 여러번의 작은 성공은 이 경계선을 더욱 선명하게 하고 더 강한 자기확신을 만들어준다.







일단 시작하자. 고민은 그만!

아마추어들이 생각할 , 프로는 손을 움직인다. 아마추어들이 고민하고 있을 , 프로들은 실패작을 하나  쌓는다. 아마추어들이 무언가를 만들까 포기하고 다른 것을 고민할 , 프로는 어떻게 해서든 끝맺음을 맺고 명확한 실패의 경험으로 남긴다. 10개의 공개되지 않은 미완성작 보다  하나의 공개된 완성작이 낫다는 말이 있다. 완벽한 기획은 없다.


[조준] [발사] [조율]이 아니다.

[발사] [조율] [조준]이다.






이야기 작법은 스토리텔링 우동이즘
(구독과 라이킷은 게시글을 쓰는 원동력입니다. 눌러주신다면 감사하겠습니다.)
매거진의 이전글 스토리텔링 꿀팁_시간제약의 마법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