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차준택 Spirit Care Nov 27. 2022

자신의 감정을 선명하게 마주하며 말해보기

지금 당신이 느끼고 있는 감정은 무엇인가? 특히 그것이 뭔가 부정적인 것일 때 당신은 그 감정을 선명하게 마주하고 말해볼 필요가 있다. 뭔가 걱정되고 불안한가? 상처를 받았거나 자존심이 상하는 일이 있었는가? 화가 나는 일이 있는가?


당신이 느끼고 있는 그 감정은 당연히 당신이 제일 잘 알고 있다. 왜냐하면 당신이 그 감정의 주체이기 때문이다. 그 감정을 자신에게 최대한 구체적으로 표현해 보는 거다. 요즘 있었던 또는 현재 벌어지고 있는 상황으로 인해 느꼈던(또는 느끼고 있는) 부정적인 경험과 감정을 한 가지 떠올려 보자. 


예를 들어보자.

"나는 지금 ooo라는 일을 제대로 하지 못한 것에 대해 후회하고 있고 xxx라는 안 좋은 결과가 나올 것 같아 걱정하고 있고 불안해하고 있구나~. 결국은 주변에서 비난을 받고 책임을 져야 하는 상황이 될까 봐 걱정하고 있구나~. 나는 나 자신이 무능한 건 아닐까 하는 생각과 이건 자존심이 상하는 일이라고 느끼고 있구나~"


반드시 솔직하고 구체적으로 표현해야 한다. 그리고 마음속으로라도 그 표현과 문장을 되뇌고 가능하다면 작게라도 입 밖으로 말해보는 거다. 장담컨데, 이렇게 표현하는 것만으로도 당신의 마음은 한결 편해질 것이다. 만약 그 감정이 걱정과 불안이었다면 최소한 절반으로 줄어들 것이다. 중요한 것은 자신이 느끼고 있는 그 감정을 있는 그대로 바라보는 것이다. 그 상황이나 감정을 단 번에 인정하고 받아들이라고 말하지는 않겠다. 시간이 조금 걸릴 수도 있다. 하지만 최소한 스스로의 감정을 있는 그대로 명확하게 바라보라는 것이고 보다 선명하게 바라보기 위해서는 표현하고 또 말해봐야 한다는 것이다.


한 발 더 나아가, 선명하게 인식된 그 감정과 고민을 인지행동 심리치료 측면에서 어떻게 해소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다음 기회에 별도로 다루기로 하고 위에서 설명한 내용과 관련한 자료를 몇 가지 소개한다.

     



해석은 내담자에게 자신의 문제를 설명할 개념적 형식을 제공하고 자신의 고민을 극복하기 위한 논리적 근거를 제공하기 때문에 종종 유용하게 쓰인다. Frank와 Frank(1991)는 혼란스럽고 두서없고 설명할 수 없을 것 같았던 경험에 이름을 붙여 줌으로써 해석은 안도와 지배력, 자기 효능감에 대한 내담자의 감각을 증가시킨다고 했다. Frank와 Frnak에 따르면 해석은 내담자의 감정을 더 잘 이해할 수 있는 것으로 만들기 위해 그것을 재명명함으로써 부분적으로 고민을 완화시킬 수 있다. 또한 그들은 설명할 수 없던 것을 말로 표현하면 그 힘의 많은 부분을 잃게 된다고 주장했다. 예를 들어, Pablo라는 내담자는 직장에서 불편한 감정을 갖고 있다. 상담자는 이 불편함이 내담자 아버지의 대역을 하는 상사에 대해 화가 나는 것이라고 해석하면 내담자의 불편함은 그 힘을 잃을 것이다.

- <상담의 기술>, Clara E. Hill, p286. 통찰을 촉진시키기 위한 기술-해석


돈은 심리치료에서 젠들린(Gendlin)의 '경험(experiencing)'의 개념을 탐구했다(Gendlin, 1978). 이제까지 억압되어 온 감정치료 관계 안에서 인식되는 가운데 온전히 그리고 수용적으로 경험될 때, 심리적인 변화가 분명히 느껴질 뿐만 아니라 동시에 신체적인 변화도 일어나게 된다. 그렇게 되면 통찰의 새로운 단계에 도달할 것이다. 

- <사람-중심 상담>, 칼 로저스, p.146. 사람-중심 접근법의 기초, 과학과 신비


이러한 감정의 이면에 숨겨진 의미들을 말로 표현함으로써 직관적으로 자신이 진정으로 성취하기를 원하는 목적과 그 정당성이 무엇인지를 명확히 알게 된다. 이러한 모든 방식에서 개인은 자신의 권위를 행사할 수 있는 능력을 갖게 되는 것이다. 상담 초기에 대부분의 내담자들은 삶 속에서 발생된 문제를 가져오는데 이는 전적으로 외부요인에 의하여 촉발된 것들이다. 이들은 문제를 자신에게 불행과 불운을 가져다준 환경 탓으로 여긴다... 어떤 경우는 사람들이 자신의 비참함의 원인을 자신의 성격으로 생각하는데, 이는 마치 자신의 유전자를 탓하는 것과 다를 바 없어서 성격을 변화시키려 할 때 무력감을 느끼기도 한다.

-<실존주의 상담 및 심리치료의 실제>, Emmy van Deurzen, p.214~215, 자세히 탐색하기-가정에 대한 정의




신이 느끼고 있는 감정이 뭔지 모르겠는가? 참고할만한 자료를 공유한다.


<감정카드>의 60가지 감정


Robert Plutchik의 정서 바퀴


감정의 분류(카운슬링의 실제_김계현 지음, 학지사) 정리

끝.

매거진의 이전글 심리학은 매우 복잡한 수학?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