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언더독스 Oct 03. 2018

게임 스타트업이 살아남는 방법(*유닛파이브 사례)

[SPARK@DMC] 3회차 후기: 게임/엔터테인먼트

전 국민의 67.2%가 즐기는 '게임'

(※출처: 한국콘텐츠진흥원 - 2018년 게임이용자 실태조사보고서) 


게임은 전 세대가 즐길 수 있는 대표적인 엔터테인먼트 산업입니다. 누구나 게임 유형에 따라(RPG, FPS, 스포츠, 시뮬레이션, 어드벤처 등) 다양한 기기를 사용하여(PC, 모바일, 콘솔, VR 등), 각자의 취향에 맞는 방식으로 즐길 수 있죠. 그만큼 높은 부가가치를 창출하고 있습니다. 


※ SPARK@DMC  
: 매월 1회 진행되는 DMC의 시그니처 네트워킹 프로그램. 
누구나 무료로 사전 신청이 가능하며, 총 3가지 유형의 프로그램에 모두 참여할 수 있습니다. 

1. 창업 노하우 및 해당 산업군의 이야기를 들을 수 있는 특강 세션
2. 전문가와 VC로 이루어진 전문IR멘토단에게 나의 스타트업 아이템을 소개하고, 
    전문적인 피드백을 받을 수 있는 IR피칭 세션
3. 업계 종사자 및 관심자들과의 갤러리워크 네트워킹


그래서 이번 SPARK@DMC의 주제로 ‘게임/엔터테인먼트 산업’을 선정했습니다. 

지난 9월 20일, SPARK@DMC가 e-sports 경기장이 위치한 S-Plex Center 건물 내 3D 영화관에서 진행되었습니다. 보통 게임을 주제로 하는 행사들은 게임시연회/e스포츠/비공식유저간담회 등 직접 체험을 하거나 일방적으로 보고 듣는 형식이 대다수인데요, SPARK@DMC의 장점을 살려 게임 업계 종사자와 관심자가 모여 자유롭게 네트워킹을 할 수 있는 기회로 만들고자 했습니다. 


SPARK@DMC 3회차 (*주제: 게임) 


# 인사이트 특강 

: 서강대학교 게임교육원 최삼하 교수 <대한민국 게임산업 현 주소 그리고 미래> 


최삼하 교수님은 게임 개발사 (주)유닛파이브의 고문도 맡고 계신데요, 유니파이브는 '큐비어드벤처'라는 게임으로 2017년 구글인디게임페스티벌 2관왕을 수상하기도 했죠. 덕분에 게임 이론과 실무, 두 가지 측면의 게임 이야기를 모두 들을 수 있는 자리였습니다. 


큐비어드벤처 게임 화면 (*출처: 구글플레이 페이지) 

특히, 특강 다음 순서로 게임 스타트업의 피칭/갤러리워크가 예정되어 있어 소형 게임 개발사가 대형 게임 개발사의 자본력에 맞서 살아남을 수 있는 노하우를 전수해주시기도 하셨어요. 강연 내용 중 게임 스타트업에게 유용할 생존팁 3가지를 공유합니다!


인사이트 특강


>> 게임 스타트업 생존팁 3가지  


1. 최소한의 인원 유지

“철저하게 인디게임처럼 되어야 해요. 요즘 1인 개발자들이 인디게임으로 성공하기 시작했어요. 비용 지출을 최소한으로 해서, 최소 인원으로 가면 가능성이 있습니다.” 


“처음부터 살아남을 수 있는 전략을 만들어야 합니다. 만약 20명 정도 규모의 개발사가 있다면, 한 달에 나가는 비용이 약 1억 정도 듭니다. 게임 개발에 1년 정도 든다고 했을 때, 그럼 10억 넘게 들어가는 거죠. 인원이 적으면 비용이 확 줄어요.” 


2. 지속적인 게임 출시

“되게 재미있는 게 오랫동안 비슷한 게임을 만들어내면 나름 유저 팬 층이 생겨요. 누적되는 거죠. 팬들이 1,000만이 넘으면 대형 게임사 부럽지 않겠죠. 출시하면 100만 다운로드 찍고, 먹고 살 수 있어요.” 


3. 우리만의 색깔 유지

“이게 저희 전략이에요. 게임을 봤을 때 ‘unit5거구나.’ 하면 성공이라고 생각해요.” 


서강대학교 최삼하 교수 


“마지막으로, 버티셔야 해요. 그냥 버티는게 아니라, 여러 활동을 하면서 버텨야해요. 그럼 정말 네트워크를 통해, 아는 분들을 통해 새로운 비즈니스가 생겨나요. 꾸준히 사람들 만나시고, 게임 홍보하시고, 계속해서 게임을 출시 하셔야 해요. 그게 2-3년 지나면 그 회사만의 색깔도 생기고, 생존 전략도 생기게 됩니다.”


아티스트 감성으로 하나의 게임을 오랫동안 다듬어서 출시하는 게임 개발사도 있겠죠. 그러나 대부분의 스타트업이 자본 문제를 겪는 만큼, 생존을 위해서는 최대한 빠르게 개발 → 출시한 후 소비자의 피드백을 수용하는 게 낫다는 점을 강조하셨습니다.  




# IR피칭&갤러리워크 

1. 코드네임

코드네임 전민호 대표 

코드네임은 '대체현실게임'들을 개발합니다. 코드네임이 정의한 '대체현실게임'은 모바일로 게임을 진행하면서 게임 내 미션들을 현실에서 푸는 방식으로 진행되는데요. 일상에서 접하는 간판, 안내 표지 등 모든 것들이 단서가 되는 거죠. 아직 국내에서 보편화 된 유형은 아니라서 비슷한 프로세스의 해외 리얼탈출게임을 통해 더 쉽게 이해할 수 있었습니다. 


※ 도쿄 메트로 The Underground Mysteries

: 도쿄를 여행하며 퍼즐을 푸는 미스테리 게임. 게임 키트 구매 후, 게임 키트 내 포함된 도쿄 메트로 24시간 티켓을 넣으면 게임이 시작됩니다. 

* 출처:TOKYO METRO The Underground Mysteries 2018 홈페이지 



2. 집연구소

집연구소 김주희 마케터 

집연구소는 현재 서비스 중인 [낱말은 새가 듣고] 라는 퍼즐게임을 소개했습니다. 뜻을 보고, 단어를 맞추는 방식이에요. 어플 다운로드 없이, 카카오톡 플러스 친구를 추가하면 바로 플레이할 수 있다고 합니다. 그래서 갤러리워크 때 인기가 많았죠. 


코드네임/집연구소 두 스타트업팀에겐 IR전문멘토단(고벤처포럼 이상학 부회장님, 서강대학교 게임교육원 최삼하 교수님)의 개별 멘토링이 제공되었습니다 :) 


#갤러리 네트워킹




10월부터 SPARK@DMC 시즌 2가 시작됩니다. 
★시즌2의 첫 주제는 '2019 사회혁신 트렌드'입니다.  


사회공헌/CSR 부서, 사회적기업, 비영리단체 등 사회혁신 업계에서 일하고 계신 분이나 

사회혁신 분야에 관심이 있는 분들 모두 환영합니다! 


▶️ SPARK@DMC 시즌2 신청하기: http://bit.ly/2DV1IQn

주제: 사회혁신

특강: 언더독스 김정헌 대표 <2019 사회혁신 트렌드> 

일시: 2018.10.18 (18:30 – 21:30)

장소: 에스플렉스센터 B2 3D 영화관 (서울특별시 마포구 매봉산로 31) 


※시즌2에서도 전문IR멘토단의 멘토링을 받을 수 있는, IR피칭&갤러리워크는 계속됩니다. 

- 사회 문제를 비즈니스로 해결하고 있는 스타트업 
- 사회에 기여하는 아이템을 갖고 있는 스타트업이라면? 
피칭 세션에 참여하세요! 

▶피칭 신청 방법
pearlsim@underdogs.co.kr로 5분 정도의 발표자료를 보내주시면 됩니다. 
(*지원 기간: 2018.10.01~2018.10.12) 


>> 10월 18일에 만나요! 




# 언더독스

전∙현직 창업가가 모여 설립한 국내 최초 사회혁신컴퍼니빌더로, 컴퍼니빌딩을 위한 자체 콘텐츠 및 역량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세상을 바꾸는 사회혁신창업가를 육성하고, 함께 성장하고자 합니다.


특히, 무료로 제공하는 사관학교 프로그램을 포함,

지자체∙기관∙기업과 연계하여 실제 창업에 최적화된 교육 프로그램 및 코칭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사관학교 졸업생 114명 / 기수별 평균 창업률 73% / 사회적 기업가 육성사업 10팀 선정 등)


언더독스 홈페이지: www.underdogs.co.kr

언더독스 페이스북: facebook.com/underdogsgroup

언더독스 인스타그램: https://www.instagram.com/underdogs_hello/

매거진의 이전글 증강현실로 비즈니스 기회를 찾을 수 있다면?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