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매거진 9cm 일기장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레톤 Nov 25. 2022

추억은 힘이 '있다'

12년의 기억, 20권의 일기장

일기를 써야겠다고 처음 마음먹은 날을 기억한다.


나를 생각이 많고 감정에 예민한 성격으로 만들어준 사람이 한 명 있다. 아니, 나의 그런 면을 처음 발견해 준 게 그 사람이었는지도 모르겠다. 완전한 타인에게서 무조건적인 애정을 받는 게 가능하다는 것을 깨닫게 된 일 년. 사회적으로 통용되는 틀로는 모든 감정에 이름을 붙일 수 없다는 것을 그때 처음 알았다.


그 애정을 더 이상 당연하다는 듯 받을 수 없게 된 날에 나는 뭐라도 기억하자는 의지 하나로 다이어리 맨 뒷장에 일기를 썼다. 자발적으로 글을 쓰는 건 그때가 처음이었다. 중학교 때도 2년간 일기를 쓰긴 했지만 그건 순전히 강제와 형식이라는 원고지에 글자를 채운 것에 지나지 않았다.


기억이 잘 나지 않아 사진첩과 연락 기록까지 동원해서 적어둔 그 글을 나는 이따금씩 다시 읽어보기도 했다. 이제 내가 그 사람을 기억하는 건지 기록을 기억하는 건지 헷갈려질 때쯤 더 이상 그를 일상에서 떠올리지 않게 되었다.


그렇게 마지막으로 한 가지를 더 배웠다. 사람은 언젠가 잊히고 감정은 영원하지 않다는 거. 그 사람이 나에게 가르쳐준 것들은 특별하지 않았다. 너무나도 당연하고 머리로는 알고 있는 사실을 직접 경험해보게 해 주었을 뿐이다. 경험에 결부된 깨달음이 얼마나 깊이 각인되는지도.


"너 수능 끝나면 책장 두 개 중에 하나는 버릴 거야. 그러니까 안 읽는 책은 미리미리 비워놔. 일기장이랑 편지도 좀 싹 다 갖다 버리고."


"뭐? 그걸 왜 버려. 다 추억인데."


버리려는 자에게 대항하는 지키려는 자의 투쟁은 오늘도 계속된다. 말은 이렇게 하면서도 내 모든 기억을 영원히 끌어안고 있을 수 없다는 걸 안다. 내가 한 장의 도화지라면 나를 스쳐간 모든 사람들은 눈 결정처럼 내려와 세상에서 단 하나뿐인 경험을 나와 함께해 준다.


눈을 맞은 자리는 잠시 젖어 있다가 서서히 마르면서 약간의 주름을 남긴다. 그 주름이 절대로 처음처럼 반듯해지지는 않듯이, 추억은 내가 잊어버린다 한들 없었던 일이 되지는 않는다.


8살 때부터 적어온 일기장들을 쌓아 올려보니 9.3cm 남짓의 높이가 되었다. 그 숫자에는 아무런 의미가 없다. 일기장마다 제각기 종이의 두께와 면적이 다르고, 그 안에 담긴 기억들이 내 키의 9.3cm만큼을 차지하고 있다고 말할 수도 없다. 기억을 물질로 환산해서 남겨둘 필요는 굳이 없겠다는 생각이 문득 들었다.


그러니 나는 이 일기들을 딱 한 번만 읽을 것이다. 다 읽은 후에는 버리려는 자에게 항복을 고할 예정이다.


연필을 주먹 쥐듯 감싸 쥐고 큼직한 글씨를 그려가던 아이는 이제 만년필을 들고 잉크를 말려가며 작고 작은 글씨를 줄 세운다.

일기를 강제로 쓰던 어린 시절
2011년 3월부터 2022년 6월까지의 일기장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