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EJ Sep 29. 2022

미국 UX/HCI 대학원 지원 준비하기 (Part 2)

레쥬메, 디자인 포트폴리오, 인터뷰 준비 팁

*이 글은 미국 UX 디자인 석사 유학을 준비하는 분들을 위한 글이며, 최근에 미국 UX/HCI 대학원(UW HCDE)을 졸업한 세 디자이너의 경험을 바탕으로 작성되었습니다.





1. 레쥬메 (Resume)


UX 디자인 취업 준비 시에는 레쥬메를 보통 1장으로 만든다. 그런데 UX 대학원 입학을 위한 레쥬메일 경우, 규격이 따로 명시되어 있지 않은 이상 굳이 1장일 필요는 없는 것 같아 나는 2장으로 제출했었다. 레쥬메에는 보통 Education, Work Experience, Skills, Awards 등의 항목들을 포함시키는데 지원자마다 경험과 강점이 다르기 때문에 필요하면 항목을 더 추가하거나 빼서 본인을 가장 잘 어필할 수 있게 만들면 된다.


레쥬메는 무엇으로 만드나요?


UX Design 쪽 친구들은 Figma로 많이 만든다. 본인이 작업하기 편한 툴에 따라 InDesign이나 Illustrator, Word Document, 또는 다른 웹 툴을 사용하여 만들기도 한다.


1 칼럼 vs. 2 칼럼 레쥬메 예시; 출처: https://enhancv.com/resume-templates/




✍️ 기타 팁   

시간은 최신 → 옛날 순으로 나열하기 (Education, Work Experience 등 또한 최신 순으로 작성)

어떤 프로젝트를 했는지 적을 때 성과 명시하기 (성과를 수치화할 수 있다면 더 강력해진다)

할 수 있다면 더 Proactive 한 Action verb를 사용해보기 (ex. Designed → Led)

레쥬메에 포트폴리오 링크를 포함시킨다면 pdf 파일에서 바로 클릭이 가능하도록 링크 연결하기

꼭 미국 현지인 리뷰나 교정을 받아보기 (다소 겸손한 느낌의 한국식 이력서와는 너무 다르기 때문)


Jay: 커리어 전환을 한 경우 Action verb를 너무 정직하게 사용하는 것보다는 디자이너 역할로 기술할 수도 있는 표현을 찾아보는 것은 어떨까요? 저 같은 경우는 PM으로서 한 일을 기술할 때 Create, Facilitate, Design 등의 단어를 활용하여 디자이너로서의 역량과 동떨어져 보이는 느낌을 지울 수 있었어요.






2. 디자인 포트폴리오


다수의 UX/HCI 대학원 프로그램들이 지원 시 디자인 포트폴리오를 요구하지만 포트폴리오가 선택사항인 학교들도 있다. 내가 지원했던 UW HCDE는 포트폴리오를 제출을 요구하지 않았기 때문에 입시 준비 시 포트폴리오가 필요하지는 않았다. 그러나 나는 포트폴리오를 요구하는 대학원 프로그램들도 지원을 같이했기 때문에 그냥  포트폴리오를 만들었다. 포트폴리오 포맷은 처음에 웹으로 만들기를 시작했는데, pdf 포맷으로 포트폴리오를 제출하라고 요구한 곳도 있어 결국 웹과 pdf 두 가지 포맷으로 만들었다. 그런데 딱히 pdf 포맷의 포트폴리오는 그 이후 쓸데가 별로 없었다. 따라야 하는 방식이 따로 없다면 웹으로 만들기를 추천한다.


포트폴리오, 코딩해서 만들어야 하나요?


나는 코딩 없이 만들었었다. 대학원 프로그램에서 요구하는 역량에 따라 달라지겠지만, UX 디자인에 집중되어있는 프로그램에 지원하는 것이라면 보통 많이들 코딩 없이 Squarespace, Webflow, WIX 등을 이용하여 만든다. 코딩 역량을 보여줄 수 있다면 물론 플러스일 것이겠지만 웹사이트 제작 툴을 이용하여 만들어도 문제가 되지는 않는다. 


웹 플로우 사이트 이미지; 출처: https://webflow.com/



포트폴리오 구성 전략


본인이 가장 자신 있는 프로젝트를 최소 세 개 정도 메인에 띄워두는 것을 추천한다. 보통 포트폴리오가 빠르게 스캔되며 한 두어 개의 작품이 먼저 클릭되어 살펴봐지는 점을 고려하여 나는 프로젝트를 연대순으로 나열하지 않고 가장 보여주고 싶은 프로젝트들부터 보이게 배치를 했었다. 이후 랜딩페이지의 프로젝트 썸네일도 신경 써서 디자인하려고 했는데, 어떤 프로젝트를 했는지 클릭 전 썸네일만으로 미리 엿볼 수 있도록 프로젝트 타이틀, 한 줄 짧은 설명, Mock up 사진 등으로 구성하여 나름 깔끔하게 만들려고 했다.


썸네일을 클릭하여 들어간 프로젝트 상세 페이지에서는 프로젝트 시작 배경, 어떤 리서치 또는 디자인 질문을 가지고 시작했는지, 어떤 디자인 프로세스를 따랐는지, 어떤 디자인 결정들을 내렸는지, 결과(프로토타입, 임팩트)는 무엇인지 등을 명시한다. 그런데 사실 프로젝트 성격과 타임라인에 따라 유연하게 구성하는 게 좋기 때문에, 딱 정해진 포트폴리오 구성 정답은 없다.




✍️ 기타 팁   

희망하는 대학원 프로그램 웹사이트에서 재학생이나 졸업생 포트폴리오가 공개되어 있다면 열람할 수 있다. 미리 선배들 레퍼런스를 보면 시작을 어떻게 해야 하는지 도움이 되기도 한다.

포트폴리오에 구글 애널리틱스(Google Analytics)를 깔아놓으면 유용하다. 유저가 어떤 콘텐츠를 먼저 클릭하는지, 그다음 어디로 가는지, 각 페이지를 몇 분 정도 보는지 등을 확인할 수 있다. 

내 포트폴리오 구글 애널리틱스 결과를 보았을 때 생각보다 랜딩페이지(Home) 다음으로 자기소개 페이지(About)의 유입률이 높았다. 포트폴리오에 일적인 것 외에 본인 사진과 취미, Fun Fact 등 지원자 자체에 대해 인간적으로 더 알 수 있는 내용을 포함시키는 것도 추천한다.

한글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작업이 아닌 이상 이미지에서 보이는 언어를 (최대한 메인 이미지 몇 장 정도라도) 영어로 바꿔서 업데이트하는 것을 추천한다. 난 한→영 바꾸기가 너무 귀찮아서 Mock up 이미지에 한글이 그대로 보이게 둔 적이 있었는데, 당시 피드백을 요청을 했었던 사람들로부터 계속 비슷한 코멘트를 받아 끝내 영어로 다시 바꿔 만들었다. 






3. 인터뷰


인터뷰가 모든 학교에서 이루어지지는 않으며 또 모든 지원자를 대상으로 하는 것도 아니다 (UW HCDE도 인터뷰는 없었다). 그러나 인터뷰를 본다고 명시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지원한다면, 언제 인터뷰가 올지 모르기 때문에 꼭 여유를 두고 미리 대비해두는 것이 좋다. 나는 지원한 학교 프로그램들 중 세 곳에서 인터뷰 요청이 왔었었다. 아래는 내가 인터뷰했을 때 받았던 질문들이다.


인터뷰하기 직전 떨리는 마음 사진

다른 학교는 어디 지원했는가?

왜 다른 학교가 아닌 이곳으로 오고 싶은가? 이 프로그램이 너에게 왜 더 특별한가?

팀 내에서 (프로젝트 시) 너의 강점/약점

포폴 작품 하나를 소개해달라

팀플에서 팀원과 너는 각각 무슨 일을 맡았는가?

프로젝트할 때 가장 힘들었던 순간?

Human-centered design process에서 가장 rewarding 되는 시점이 언제인가? 왜  그런가?

UX 프로젝트를 할 때 Ambiguity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가? 어떻게 극복하는가?

(소개한 프로젝트의) 최종 결과물은 어땠나?

프로젝트 매니저가 있었나? (어떤 역할이었나?)

 학위 받고 나서 계획 & 5년 뒤/10년 뒤 계획

 왜 지금 대학원을 오는가?

 취미가 뭔가?

 (마치며) 다른 질문 있나? 다른 궁금한 점?




✍️ 기타 팁   

카네기 MHCI 인터뷰를 볼 때에는 졸업생이 인터뷰어에 있었다. 1년짜리 프로그램이기 때문에 짧은 시간 내에 퍼포먼스를 낼 수 있는 지원자인지 알아보기 위해 실무적인 역량에 대한 질문을 했었던 것 같다. (Ex. 팀 프로젝트 내 어떤 역량을 보여줄 수 있는지 팀워크를 잘할 수 있는지)

'다른 학교는 어디 지원했는가?' 같이 약간은 난감할 수 있는 애매한 질문들도 종종 받았다. 학교별 프로그램에 따라 답변 방향을 잘 준비하는 것이 중요한 듯하다.





당연히 레쥬메, 포트폴리오, 인터뷰, 이 모든 게 한 번에 완벽하게 이루어지지는 않을 것이다. 나도 특히 레쥬메와 포트폴리오는 주변 친구에게 피드백을 계속 받으며 하루는 이렇게 고쳤다가 그다음 날은 또 갈아엎고 저렇게 고쳤다가-의 과정을 반복했던 기억이 생생하다. 그래도 분명한 점은, 결국엔 본인이 하고 싶은 이야기를 가장 잘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을 찾게 되고 조금씩 그 지점으로 나아간다는 것이다. 


본 글에서는 UX/HCI 대학원 지원 시 도움이 될 만한 레쥬메, 디자인 포트폴리오, 인터뷰 팁을 작성해 보았습니다. 매거진 다음 편에서는 대학원 준비 중 자주 물어보는 유학 준비 FAQ에 대한 이야기가 계속됩니다. :)

매거진의 이전글 [에세이] 30대에 새로운 커리어를 꿈꾼다는 것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