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florent Mar 26. 2023

밑장빼기는 통하지 않는 제품의 세계 이해하기

Inspired Summary

해당 글은 Inspired: How to Create Tech Products Customers Love (Silicon Valley Product Group) by Marty Cagan을 읽고 요약한 글입니다.


제품을 쉽게 만드는 지름길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걸 깨닫는 순간, 사람들은 불평하기 시작합니다. (There is no silver bullet, and inevitably people figure this out. That’s when the backlash begins.)


린(Lean)과 애자일(Agile)을 사용한다고 ‘드러내는(manifestation) 것’이 중요한 게 아니라, 방법론들의 핵심 원칙과 원리(core principles)를 실제 제품 개발에 ‘적용하는 것’이 핵심

린하고 애자일하게 일한다고 말하는 수많은 회사들이 MVP(Minimum Viable Product)를 개발하는 데에 엄청난 시간과 돈을 들이지만, 실제로는 린과 거리가 멈

광적으로 모든것을 검증하고 테스트하려 하지만, 현실은 아무 진전을 만들어내지 못하는 상황이 대부분




성공적인 팀의 원칙


성공적인 팀은 린과 애자일의 핵심 원칙을 응용하여 그들의 일하는 방식과 성과를 만들어내는 법에 기대치를 극한으로 끌어올립니다.


1. 위험(risks)들은 끝에서 다뤄지는 게 아니라, 선행적으로 처리됨

어떤 제품을 만들지 결정하기 전에 모든 위험들을 분석하고 처리

위험의 종류

가치 위험, “유저들이 기꺼이 구매할 것인가?”

사용성 위험, “유저들이 사용하는 방법을 알아낼 수 있는가?”

실현가능성 위험, “회사의 개발자들이 해당 제품을 만들 수 있는 역량이 있는가?”

사업 실행 가능성 위험, “이 제품이 사업 전반적으로 의미가 있는가?”


2. 제품은 ‘순서대로(sequentially)’가 아니라, ‘협력하며(collaboratively)’ 만들어짐

제품팀, 디자인팀, 개발팀은 긴밀하게 업무하며 고객과 사업적 조건을 충족시킬 수 있는 제품을 만들어냄


3. 제품을 만드는 모든 과정의 목적은 고객의 문제를 해결하는 것(solving problems)이지, 기능을 개발(implementing features)하는 것이 아님

개발하는 기능들이 어떠한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하는지 집중하며, 이는 사업적 성과와도 직결되는 부분




제대로 된 제품을 만들기 위한 과정을 알아보기 전에, '제품'의 정의에 대해 알아볼 필요가 있습니다. 


제품


제품이 가지는 요소

기능 (functionality)

기술 - 기능을 가능하게 만드는 요소

UX 디자인 - 기능을 나타내고, 기능을 수익화하며, 유저와 고객을 획득할 수 있게 만들어주는 요소

오프라인 경험 - 제품의 가치를 전달하는 데에 필수적인 요소




이러한 제품을 만들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제품 발견(Discovery)과 제품 전달(Delivery)이라는 과정을 거치게 됩니다.


제품 발견 (Product Discovery)


    제품 발견은 모든 위험들을 정리해놓고 제품 관리, UX 디자인, 개발 과정을 긴밀하게 연결하여 계획하는 활동을 의미합니다. 여기서 가장 중요한 부분은 제품(본격적으로 개발하여 시장에 내놓을 정도의 질)에 관련된 상세 기능을 한 글자라도 적기 전에 이뤄진다는 점에 있습니다.

    대체로 프로덕트 매니저와 디자이너가 수행하며, 개발자도 이 과정에서 참여하며 혁신적인 아이디어의 기반이 되기도 합니다.


제품 발견의 목적

좋은 아이디어들을 나쁜 아이디어로부터 빠르게 분리시키는 것


제품 발견의 산출물

검증된 제품 백로그(validated product backlog)


제품 발견을 위한 질문

유저가 기꺼이 사용하거나 구매할 것인가?

유저가 사용하는 방법을 알아낼 수 있을 것인가?

개발자가 만들 수 있는가?

이해관계자들이 동의할 것인가?


제품 발견의 방법론

프로토타입의 핵심은 값싸고 빠르게 고객에 대해 배우는 것에 있습니다. (They’re all bout learning fast and cheap)

제품 발견은 일련의 빠른 실험을 기반으로 하는 활동으로, 대부분의 경우는 제품 자체가 아닌 프로토타입을 통해 이뤄집니다.

본 제품을 만드는 것보다 시간과 노력이 덜 들어야함

시장에 팔기 위한 목적이 아닌, 제품의 실효성을 확인하는 실험을 위한 목적

고객에게 전달할, 개발할 만한 가치가 있는 것인지에 대한 증거를 모으는 것

최고의 제품팀은 매주 10~20개 정도의 제품 아이디어를 테스트함


제품 전달 (Product Delivery)


    제품 전달은 사업화 시킬 수 있을 정도의 제품을 만들어 시장에 전달하는 과정을 의미합니다. 대체로 개발자들이 수행하며, 프로덕트 매니저와 디자이너는 의도된 대로 제품이 개발되는지 확인하는 과정을 거칩니다.




제품과 PMF (Product Market Fit)


당신이 엄청난 시간과 노력을 들였다고 해서, 사람들이 당신 제품을 사고 싶어 하진 않습니다. (Just because we’ve invested the time and effort to creat a robust product does not mean anyone will want to buy it)


PMF(제품 시장 적합성, Product Market Fit)

PMF는 ‘특정 시장의 고객들의 니즈를 충족시킬 수 있는’(that meets the needs of a specific market of customers) ‘가장 작은 단위의 실질적인 제품’(the smallest possible actual product)을 의미

즉, 제품 발견은 어떤 실질적인 제품을 만들지 ‘결정’하는 활동이며, 제품 전달은 그 제품을 개발하고, 테스트하고, 출시하는 활동을 의미


제품 비전 (Product Vision)


제품 비전은 제품의 장기적인 목적을 의미합니다. 일반적으로 2~10년의 기간을 둔 비전이며, 회사의 미션을 달성(deliver on mission)해나가는 핵심적인 기반으로 역할합니다.




Comment 

‘제품 발견’ 과정에서 ‘프로토타입’을 통해 빠르게 실험
‘제품 전달’ 과정에서 ‘PMF에 부합’할 수 있는 ‘제품’을 제작하고 시장에 전달
위의 단계들은 '제품 비전'을 회사에 실현해나가는 총체적인 과정
작가의 이전글 [주간 Scribble] GPT의 거짓, 프롬프트 등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