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florent Apr 09. 2023

프로덕트 매니저, CEO 순한맛 아닌가요?

Inspired Summary

해당 글은 Inspired: How to Create Tech Products Customers Love (Silicon Valley Product Group) by Marty Cagan을 읽고 요약한 글입니다.


프로덕트 매니저가 뭔데요?


프로덕트 매니저는 막중한 임무를 수행하는 직무입니다.

- 프로덕트 매니저가 책임지는 업무들은 도전적이고(challenging) 특수한(specific) 경우가 많음

- 프로덕트의 뒤에서 끊임없이 기술과 디자인을 결합시켜 나가면서 고객의 문제를 사업적인 필요조건에 맞춰 해결하는 사람


프로덕트 매니저의 업무는 하루종일 몰두하는 것입니다.

- 프로덕트 매니저는 기술적 정교함, 사업적 통찰, 이해관계자와의 신뢰, 고객에 대한 깊은 이해, 제품에 대한 열정, 팀에 대한 책임감까지 이르는 것들을 업무로 삼음


프로덕트 매니저는 사업의 모든 것들에 대해 완벽하게 이해하고 있어야 합니다.

- 프로덕트 매니저는 단순히 제품을 만드는 것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사업의 성과를 이끌어내는 것이 중요한 것

- 재무, 마케팅, 영업, 법률, 파트너십, 서비스, 고객 환경, 기술, UX에 이르는 영역의 상호 관계를 파악해 나가야 함

- 이를 바탕으로 사업으로나 고객에게나 만족스러운 제품을 만들어 나가야 함


그럼 CEO 아닌가요?


프로덕트 매니저의 업무는 CEO와 흡사해 보이지만, 프로덕트 매니저는 누구의 상관(boss)이 아니라는 걸 명심해야 합니다.

- 위계질서로 명령하는 것이 아닌, 동등한 위치에서 협력을 통해 제품의 성공을 이끌어 내는 것

- 고객의 문제를 팀과의 강렬한 협력을 통해 해결하고 사업적인 의미를 만드는 것!


PO랑은 뭐가 다른데요?


프로덕트 오너란, 애자일(Agile) 개념에서 제품 백로그(Product backlog)를 책임지는 역할을 의미

- ‘애자일’ 방법론은 단순이 제품팀 기반의 회사뿐만 아니라, 범용적으로 쓰일 수 있는 프로젝트 방법론

- 제품팀이 핵심이 되는 IT 회사에서는, 프로덕트 오너의 업무는 프로덕트 매니저의 업무 중 하나

- 프로덕트 매니저는 제품 백로그 관리 이상의 사업적 차원의 제품 관리를 주 업무로 삼기 때문





프로덕트 매니저가 자세히 뭘 하는거죠?



프로덕트 매니저의 업무

1. 어떤 것을 만들지(Product Discovery), 어떻게 전달할 것인지(Product Delivery)를 평가하고 결정

- 어떤 것을 만들지에 대한 것은 제품 백로그(product backlog)에 기록

2. 가장 어려운 것은 ‘백로그를 기록 하는 것’이 아닌, ‘백로그를 제품화 할 만큼 가치있는가’를 밝히는 것

- 디자이너와 엔지니어들은 왜 백로그를 제품화시켜야 하는지에 대한 증거를 요구할 것이며, 프로덕트 매니저는 증거들을 수집하여 설득하는 것이 핵심



프로덕트 매니저가 가져야 할 네 가지 이해

1. 고객에 대한 깊은 이해

- 고객의 문제, 고통, 욕구, 생각은 무엇인지 A부터 Z까지 모두 이해하고 명확히 하는 것

- 제품 제작은 ‘추측’이 아닌 ‘지식’에 기반해야 하는 것

- 이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질적인 이해(왜why 우리 고객들이 이렇게 행동했는지)양적인 이해(고객들이 무엇을what 하고 있는지)가 모두 필요


2. 데이터에 대한 이해

- 고객 이해를 위해 하는 업무들의 상당량은 양적 데이터가 차지

- 프로덕트 매니저는 매일 애널리틱스 툴들을 이용해 데이터를 확인하는 업무에 상당한 시간을 투자


3.  사업에 대한 이해

- 고객이 제품을 사랑하는 것에 그치는 게 아니라, ‘사업적인 가치’로 이어져야 하는 것이 중요한 부분

- 사업에서 제품이 어떤 역할을 하고, 어떤 효과를 만들고 있는지에 대해서 계속해서 연구할 것

- 이것은 ‘이해관계자에 대한 이해’와 ‘사업적 제한 요소’를 이해하는 것이 핵심

- 제품 업무를 한다는 것은 (1) 사업에 존재하는 제한 요소들을 파악하고 (2)각 이해관계자들을 설득시켜내는 것


4. 시장과 산업에 대한 이해

- 제품이 속하여 경쟁하고 있는 시장과 산업을 이해하는 것

- 경쟁자 분석뿐만 아니라, 기술적 핵심 트렌드와 고객 행동 및 니즈의 변화를 지속적으로 추적하는 것

- 제품을 만드는 것도 중요하지만, 제품을 만든 후 끈끈하게(sticky) 만드는 것도 중요한 것 → 경쟁사 제품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 타사와 기능적 동등한(parity) 제품에 그치지 않고, 비할 데 없이 우수한(substantially better) 제품을 만들어야 함

- 시장 생태계에서 제품은 단순히 속한(compatible) 요소가 아닌, 생태계에 무한한 가치를 더해 생태계 자체를 확장시켜나갈 수 있는 것도 명심


프로덕트 매니저의 자세

1. 똑똑할 것, Smart   

- 지능(IQ)의 문제가 아닌, ‘지적인 호기심’의 문제

- 빠르게 새로운 기술에 대해 배우고 제품에 적용하여 고객의 문제를 해결하고, 새로운 고객에게 접근하며, 새로운 사업 수익 모델을 만들어갈 수 있어야 함


2. 창의적일 것, Creative   

- 고객의 문제를 풀기 위해 기존의 제품의 틀에서 벗어나 생각할 수 있는 관점


3. 끈질길 것, Persistent   

- 그냥 끈질긴 것이 아닌, 회사가 현실에 안주하는 것(comfort zone)을 막도록 끈질기게 소통하고, 새로운 제품에 대한 증거들을 수집하는 집요한 저항(stubborn resistence)을 보여주는 것!



프로덕트 매니저, 그 이상

- 적당히 좋은 프로덕트 매니저와 ‘진정으로 훌륭한’ 프로덕트 매니저를 나누는 것은 리더십에 있음


지금 어떤 직무를 달고 있든, 훌륭한 프로덕트 매니저가 되고 싶다면, 리더가 되길 망설이지 마세요. (if you aspire to be great, don’t be afraid to lead.)




Comment

유저와 고객에 대한 전문가가 되는 것으로부터 시작
핵심 이해관계자와 사업 파트너들과 강한 관계를 맺기
제품과 시장, 산업에 대한 전문가가 되기
제품 팀과 끈끈한 협력을 이끌어내기
작가의 이전글 최소 기능 제품(MVP)에 대한 오해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