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 검증의 모든 것
사실 저와 SPSS는 인연이 깊습니다. 대학생때도 배웠고 석사때도 잠깐 논문쓴다고 돌렸던 기억이 나지만
이상하게 졸업하면 바로 멀어졌던....SPSS는 제게 멀고도 가까운 당신이죠.
이번 기회에 좀 친해지려고 노력하고 있습니다. (물론 SPSS를 컴퓨터에 깐지는 일주일도 안되지만;;)
다행히 박사과정에서는 천사같은 교수님을 만나 SPSS를 다시 차근차근 접하고 있어요.
마지막 수업때 실은 제가 박사과정인데 수업 내용들이 좀 따라가기 버거운 부분이 있다고 상담을 하니까
교수님은 "헉! 박사과정이셨어요?"하며 놀라시는 것이었어요....ㅠㅠ
전 괜히 그런 교수님의 반응을 보니 더 죄송스럽더라구요.. 평소의 제 행동에 대해 반성을 하게 되고;;;;
뭐, 제 나름대로는 열심히 박사과정을 따라간다고 하지만 풀타임 학생에 비해 버거운 것은 사실이랍니다.
이런 상황을 씁쓸해 하기보단 그래도 이 상황 속에서 최선을 다하는 방향으로 고민을 하는 것이 현명한 것 같아요. 그렇게 공부하려 마음을 다잡고 있습니다.
3월부터 학기가 시작하여 약 3개월 내내 SPSS를 깔지 않다 시험기간이 되어 지난주 처음 깔며
실습을 해보고 있는데 사람 두뇌가 참 신기한게 완전 잊어버렸다고 생각했던 옛 기억이 조금씩 되살아나고 있어요. 죽기전에 T검증, F 검증은 제대로 마스터해야지.. 라는 생각으로 오늘도 뚜벅뚜벅 공부를 하고 있답니다.
그럼 어제에 이어 다시 T검증을 정리해보려고 합니다.
T 검증은 크게 독립 표본 검증과 대응 표본 검증으로 나뉘어 집니다.
독립 표본 검증 : 완전히 다른 집단을 비교 분석 하는 검증이죠.
대응 표본 검증 : 집단은 같은데 그 집단 내에서 비교할 것이 다른 것입니다.
예를 들어 이런 문제가 있어요. 저도 수업시간에 받은 문제인데요, 그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한 연구자는 최면술이 흡연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고 싶어한다. 이 연구를 위해 흡연가 4명이 추출되었다. 처치 하루 전에 피운 담배수를 기록한 후 실험참가자에게 담배에 불을 붙일 때마다 지독한 맛과 구역질나는 느낌을 경험할 것이라는 최면 후 암시를 주었다. 이후 최면 후의 피운 담배수를 기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최면이 흡연에 유의한 효과가 있는지 유의수준 .05에서 이를 통계적으로 분석하고 결론을 작성하라.
(사용하는 분석 방법을 먼저 쓰고 아래에 표와 결과를 보고할 것)
일단 SPSS에 데이터를 입력해봅니다.
그런데 이 문제를 보면, 최면술이라는 범주가 같죠? 최면술이라는 범주 안에 전/후가 다릅니다.
이렇게 범주는 같지만 전, 후의 관계가 다를 경우 이때 우리는 T 검증의 대응 표본 검증을 사용합니다.
그런다음 분석 > 평균비교> 대응표본 T검정을 선택합니다.
그럼 아래와 같은 통계표가 완성되죠.
첫번째 표는 두 그룹의 평균을 비교해 봅니다. 전이 평균 4점정도 더 높네요.
두번째 표는 상관관계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피어슨 상관계수가 0.970이고 유의확률이 0.03으로 유의성이 높은것으로 나타나
대응변수간 양의 상관관계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보통 0.4이상 상관관계가 존재한다고 볼 수 있고 0.6이상은 높은 상관관계가 존재한다고 해석할 수 있습니다.
세번째 표는 대응표본 검정결과입니다.
검정통계량 T값은 2, 유의확률 p=0.139이 성립되어 사전 사후간 차이가 있다. 라고 볼 수 있습니다.
즉 이것은 논문식으로 통계를 해석해서 보려면 이렇게 작성이 되겠죠.
최면 전후로 흡연이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대응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최면 전(M = 26.25, SD = 7.97)가 최면 후(M = 22.25, SD = 11.23)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t(3) = 2, p<.05.
통계는 사실 용어가 낯설고 어색하지 오히려 프로그램을 돌려가면서 실습하면 재미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아예 제 삶의 데이터를 갖고 돌려보면 훨씬 재미있는 경우가 많답니다.
저도 통계 바보이지만 혹시 궁금하신 부분 있으시면 연락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