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나를 사랑해!
우리나라 사람들의 재미있는 특징 중 하나는 취미 활동에서도 엄청난 성취를 이루고자 노력하고, 이로 인해 스트레스를 받는다는 것이다. 나 또한 그런 사람들 중의 하나인데, 일은 물론 취미로 하는 활동에서도 높은 성취를 얻고 싶어 하고, 그런 것이 잘 되지 않을 경우 극도의 스트레스를 견디며 많은 시간을 들이거나, 그냥 포기해 버린다.
이러한 실정이니 여유를 느끼고 쉬고 싶어서 시작한 취미가 나의 또 다른 직업처럼 느껴진다. 물론 열심히 하는 것이 나쁜 것은 아니다. 다만, 건강하고 지속 가능한 취미생활을 영위하기 위해서는 이렇게 가혹한 기준을 세우기보다는 좀 더 나 자신에게 자비로울 필요가 있다.
자비(慈悲; Compassion)라는 말을 풀어보면, ‘자(慈; Maitri)’와 ‘비(悲; Karuna)’로 구분할 수 있다. ‘자’는 누군가에게 즐거움을 주려는 사랑의 마음이며, ‘비’는 누군가의 괴로움을 덜어주고자 하는 연민의 마음을 뜻 한다. 이것을 나에게 적용하면 바로 자기 자비(Self-Compassion)가 되는데, 나 자신에게 즐거움을 주고 괴로움을 덜어주고자 하는 마음이 되겠다.
러닝을 처음 시작했을 때는 그저 달리는 것이 즐거워서 뛰었는데, 10km 대회를 신청하니 매일 조금씩 빠르게 뛰려 노력했고, 하프 마라톤까지 신청하니 더욱 무리를 하게 되어 매일 달리기 속도를 체크하게 되었고, 내 실력으로는 안 될 것 같으니 카본 플레이트가 들어간 비싼 신발을 구매해 기술도핑을 통한 기록 단축을 노려보기도 했다. 아직 운동을 많이 하지 않은 상태에서 반발력이 강한 신발을 신고 21km를 달리니 부상을 입게 된 것은 당연한 수순이었다. 달리기를 하지 않았다면 평생 느껴보지 못했을 정강이 앞부분의 미세한 통증이 하루종일 거슬렸고, 이 통증 때문에 달리기를 하지 못해 울적한 마음마저 들었다.
부상을 입은 뒤로 마음먹은 것은 강박적으로 목표를 달성하려 하기보다는, 주에 2~3회 꾸준히, 달리고 싶은 만큼 달리는 것이다. 풀 마라톤을 위한 3개월 일정표를 사용해보기도 했고 나름의 운동 일정을 짜보기도 했지만, 결국 마라톤 출전 전에 25km 이상의 장거리를 뛰어보자는 것 외에는 별다른 계획을 짜지 않고 그저 내키는 대로 달렸다. 오히려 상상도 하기 어려울 정도로 긴 거리여서 기록 단축보다는 완주 자체를 목표로 했기에 가능했던 여유일지도 모르겠다.
결국 마라톤 완주를 해내긴 했지만 기록은 5시간 15분으로 아주 느렸다. 완주 자체가 대단하다면 대단하지만, 달리기를 본격적으로 하는 사람들 사이에서는 그다지 환영받는 기록은 아닐 것이다. 그러나 내가 좀 더 빨리 달리기 위해 무리하고 서둘렀다면 아마도 이번 마라톤을 끝으로 달리기를 그만두지 않았을까 싶다. 그러나 지금의 나는 감기가 걸린 상태임에도 틈 날 때마다 달리고 싶어 좀이 쑤시는 상태고, 기회가 되면 1~2분이라도 달리고 있다. 잠깐의 느린 달리기도 나에게는 충분히 큰 즐거움을 준다. 잘하는 것도 좋지만 일주일에 하루 정도는 정말 온전히 즐기는 달리기를 해보는 것은 어떨까? 잠깐의 여유가 더 긴 시간 달릴 수 있게 해 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