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통은 피할 수 없지만, 괴로움은 선택할 수 있다(Pain is inevitable, Suffering is optional).” 세계적인 소설가인 무라카미 하루키가 그의 저서인 <달리기를 말할 때 내가 하고 싶은 이야기>에서 인용한 문구이다. 하루키는 뉴욕 타임스에서 한 마라토너가 달리기를 할 때 되뇌는 이 문구를 보고 깊은 인상을 받아 자신도 마라톤을 할 때 이 문구를 사용했다고 한다.
42.195km라는 길이는 사실 인간이 달리기 아주 힘든 거리이다. 특히나 현대인들처럼 하루종일 책상머리에 앉아있거나 뒹굴거리다가 갑자기 운동을 시작하게 된 사람들에게는 더욱 그럴 것이다. 얼마나 힘들면 마라톤의 기원이 된 그리스 마라톤 전투의 병사가 이 거리를 뛰고 사망했겠는가?
그렇지만 수많은 사람들이 누가 시키지 않았는데도 자진해서 돈을 내고 극기의 싸움에 도전한다. 이번에 내가 참여했던 2024년 JTBC 서울 마라톤 대회만 해도 풀마라톤만 쳐도 1만 7000명, 10km 대회 인원까지 포함하면 3만 7000명이 참여했다고 하니, 대회장에 참여했을 때 사람들이 도열해 있는 모습은 말 그대로 장관이었다.
이런 고통스러운 일을 자진하는 것은 아마도 스스로의 성취감을 위해서일 것이다. 아무나 할 수 없는 것을 꾸준히 노력해서 결국 달성해 내는 것이 얼마나 큰 성취감을 주는지는 해본 사람들만 알 것이다. 그러나 이런 고무적인 마음도 잠시, 마라톤이 시작되고 한걸음 한걸음 달리다 보면 점점 나의 선택을 후회하게 된다. ’벌써 다리가 무겁네.‘, ’ 발바닥이 아프다.‘, ’ 옆구리가 아프네.’, ‘숨이 찬다.‘, ’ 다리에 쥐가 났다.’ 등등, 10km, 20km를 넘어갈수록 몸의 한 부위씩 비명을 질러댄다.
처음의 고통들은 견딜만하다. 그러나 이런 고통들이 누적되고, 우리의 마음은 나약해지고 달리기를 그만두고 싶어 진다. 누가 시킨 것도 아니고 그만둔다고 해서 내 삶은 달라지지 않으니까. 특히나 서울 도심에서 하는 마라톤의 경우 주요 지하철 역들을 모두 거쳐가기에 DNF(Don’t Finish, 중도하차)의 유혹이 엄청나게 드는 것이다. 나도 이번 마라톤이 그랬다. 마라톤에 참여하기 전 가장 장거리를 달려본 것이 25km였는데, 하프 지점인 21km부터 발이 아파오기 시작하더니 25km를 지나갔을 때에는 귀신같이 오른쪽 허벅지에 쥐가 났다.
조금 더 갔을 때는 왼쪽 종아리, 몇 킬로 후에는 오른쪽 종아리에 쥐가 나 걷기도 힘든 상태가 되었다. 사실 건강을 위해서라면 포기하는 게 맞았을 수도 있지만, 생각보다는 컨디션이 괜찮았고 뛰었다 쉬기를 반복하면 충분히 완주는 할 수 있는 상태였다.
사실 그때 나를 가장 힘들게 만들었던 것은 고통이 아닌 괴로움이었다. 둘 다 비슷한 말처럼 보이지만, 괴로움은 고통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고통은 우리가 겪을 수밖에 없는 고통을 말한다. 예를 들면, 달리기에 아주 숙련되지 않은 인간이 몇십 킬로를 뛰면 당연히 그 정도의 고통을 겪을 수밖에 없는 것이다.
그러나 괴로움은 우리가 만들어낸 부가적인 고통이다. 근본적인 고통을 겪으며 과거와 미래를 생각하게 된다. 과거를 떠올리며 ’아 그래 어차피 나는 예전에 마라톤을 뛰어본 적이 없으니 어차피 안 될 거야.‘라고 생각하거나, ‘이제 15km나 남았네. 지금도 이렇게 힘든데 너무 절망적이야.’라는 식으로, 현재에 초점을 맞추지 못하고 괴로움에 빠지게 된다. 수용전념치료(Acceptance-Commitment Therapy)에서는 이렇게 말한다. “바꿀 수 없는 고통은 수용하고 괴로움은 선택해야 한다”라고 말이다.
사실 우리가 고통스러운 많은 이유는 선택하지 못해서이다. 어떤 사람은 정말 하고 싶지 않은 일도 타의나 자신의 높은 기준 때문에 어쩔 수 없이 지속한다. 이것은 그렇게 하기를 ‘선택’ 한 것이 아니라, 그저 그 일에 무의식적으로 휩쓸려 떠밀린 것이다. 이를 정신의 자동조종 상태(Auto-pilot)라고 말하는데, 스스로의 삶에 대한 통제권이 없으니 동기부여가 되지 않고 허무할 수밖에 없다. 결국, 우리 스스로가 통제감을 가지려면 하든 하지 않든 ‘선택’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
다시 마라톤으로 돌아가보자. 30km 지점에서의 나는 결국 ‘완주’하기로 선택했다. 왜냐면 고민해 보니 고통은 견딜만했고 근골격계에 아주 큰 손상을 줄 만한 통증이 아니었다. 그리고 이미 42km 중 30km를 달렸고, 앞으로 12킬로는 충분히 완주할 수 있는 거리였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나는 언제든 ‘포기’를 선택할 수 있었다. 41km 지점에서 포기를 한들, 다들 아쉬워할 뿐이지 누가 나를 처벌하거나 비난하겠는가? 이러한 자유가 오히려 내가 계속하도록 만드는 원동력이 되어주었다.
뭐든 끝까지 해야 한다는 것이 아니다. 반대로 정말 심각한 신체적 손상을 겪은 상태에서도 다른 사람의 시선을 신경 쓰거나 완주 자체에 대한 맹목적인 추구로 인해 달리기를 유지하다 회복할 수 없는 부상을 겪게 될 수도 있으니까. 그렇기 때문에 지금 이 순간, 나의 고통과 괴로움을 구분해 보는 것은 나를 지켜주기도 하고, 실패할지도 모르는 어려운 목적을 달성시켜 주는 원동력이 될 수도 있는 것이다.
오늘의 나는 마라톤이 끝난 지 일주일이 채 되지 않아 면역력이 조금 약해지고 감기에 시달리고 있다. 그럼에도 나는 계속 달리기로 선택하며 내년의 마라톤을 기약한다. 마라톤의 피할 수 없는 고통은 수용하되, 달리기를 선택함으로써 괴로움은 사라졌다. 물론 계속해서 내 앞에 선택의 기로가 다가오겠지만, 그것을 미리 걱정하지는 않겠다. 하루하루, 1km 1km마다의 선택이 우리를 만들어갈 것이고, 언제든 새로운 선택을 할 수 있으니 그리 두려운 일 만은 아닐 것이다. 여러분은 지금 무슨 괴로움을 겪고 있는가? 그 괴로움은 필수인가 선택 가능한 것인가? 한 번 고민해 볼 만한 문제이다. 달리기 뿐만 아니라 우리의 삶에서도.
마라톤 전 후의 나의 모습. 마라톤 후에는 억지 웃음도 짓지 못할 정도로 힘들었지만 정말 기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