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어떤사람 A Jul 22. 2022

세상에 쓸모 있는 사람이 되겠다던 INFJ는 지금

이러려고 대학교 나왔나 서러워

작년 7월부터 시작해서 올해 6월, 최종 합격 통보를 받기까지 딱 1년이라는 시간이 흘렀다. 미래에 대한 긍정적 에너지와 희망을 가득 안고 있었던 신문방송학과 4학년 25살 대학생은 결국 돌고 돌아 공무원이 되었다. 나는 홀든 콜필드가 마주하고 있던 거울 속의 사람이었으나, 지금은 날 움직이는 많은 원동력을 잃었다. 자의적으로 벼랑 끝에 내몰린 나는 결국 공무원이라는 길을 선택했고, 그 길에 무사히 도착했다. 이상을 꿈꾸던 소년이었던 나는 이제 무력감과 피로감밖에 내세울 것이 없는 어른이 되었다.


#1 교직원

26살의 나는 몇 번의 인턴생활을 거쳐 나는 대학교의 교직원이 되었다. 애초에 내게 창조성이 주어질 것이라고 생각하진 않았지만 어느 정도의 기대를 안고 입사한 곳이었다. 분명 내가 속한 이곳을 꾸준히 발전시킬 수 있겠다는 확신을 갖고 있었다. 하지만 내게 주어진 업무는 내년 예산 삭감 방지를 위해 서류를 날조하는 일. 충격적이었다. 이런 일을 하면서 월급을 타는 나 자신이 너무나 한심하기도 했고, 연말연초에 이런 업무는 공공연하게 있다고 얘기하는 대리는 더욱더 한심하고 미웠다. 논리적으로도, 도덕적으로도 맞지 않는 일을 하고 있다는 생각이 든 나는 아침에 눈을 뜬 순간부터 밤에 눈을 감는 순간까지 극심한 두근거림과 우울감에 시달렸다. 결국 반년도 채우지 못하고 도망치듯이 사직서를 제출하고 대학교를 나왔다.


#2 사회적 기업

‘도시재생 사회적기업’이라는 타이틀을 달고 있던 회사에 입사한 나의 n번째 직장생활은 혼란 그 자체였다. 면접 때 봤던 인자한 대표는 온데간데없고 내 옆에는 만취한 상태로 출근해 폭언을 내뿜는 술주정뱅이뿐이었다. 업무 환경도 면접 때 얘기한 것과는 매우 달랐다. 학과 내에서도 사회과학을 전공한 나는 학술지, 논문에 필요한 자료들을 만드는 역할로서 입사했으나, 막상 일을 시작하고 나니 온갖 잡일과 연관성 없는 업무에 동원되며 내 정체성을 잃어가기 시작했다. 더욱 최악이었던 건 입사하자마자 줄줄이 시작되는 동료들의 퇴사 러시. 마치 짜기라도 한 듯이 똑똑하고 능력 있는 동료들이 떠나가기 시작했다. 결국 얼마 가지 않아 대표의 폭언을 맨몸으로 받아내야 하는 사람이 내가 되겠다는 것을 직감했고, 나 역시 퇴사 러시에 동참했다. 2021년의 여름이었다.


#3 공무원

이쯤 되면 뭐가 단단히 잘못되었다는 생각을 했다. 돌이켜보면 나 역시 ‘어디든 직장을 다녀야 한다’는 맹목적에 사로잡혀 사리분별을 제대로 하지 못했다. 4학년인 나는 이 세상에서 가장 낮은 자존감을 갖고 있던 사람이었으니까. 결국 내게 남겨진 선택지는 많지 않았다. 일을 잘 해내야 한다는 목표의식과 적성에 맞는 일을 하자던 포부는 사라졌다. 일에서 나의 인생 목표를 찾는다는 것은 불가능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렇게 선택한 것은 공무원이었고, 최대한 짧은 시간 내에 목표를 이룰 수 있도록 공부했다.


결국 나는 최종 합격 통보를 받으며 나는 공무원이 되었다. 다만, 나는  내게 닥칠 발령 통보가 사형 판결같이 느껴질 것만 같다. 거울  홀든이 나를 바라본다.


작가의 이전글 INFJ가 한국에서 살아남는 법 EP2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