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이세정 Dec 26. 2021

사랑하는 사람과 먹는 딸기는 정말 맛있습니다.

1 percent better

(부장) "넌 MBTI 검사를 받으면 꼭 'E'가 나올 것 같다."

(나) "I가 아니고요?"

(부장) "응, 넌 확실히 E야."


Extrovert(외향적), Introvert(내향적)은 개인의 성격유형을 분류하는 MBTI의 4가지 지표 중 첫 번째다.

그만큼 중요한 지표이기도 하다.

외향적이라 할 때, 떠오르는 이미지는 말이 많고, 사람들과 어울리는 것을 좋아하는 사람의 모습이다.

내향적인 사람은, 혼자 조용히 책을 읽고 있는 이미지가 떠오른다.

(과거 서비스직에 오래 종사했던) 직업병 탓인지, 나는 모르는 사람과도 쉽게 말을 트고, 사람들과 잘? 어울리는 편이다. 그러한 모습이 실제 나와는 달리 '외향적'으로 보일 수도 있겠다 생각한다.


그러나, 우리가 직관적으로 떠오르는 이미지와 달리, 외향적인 사람이 말수가 적을 수도, 내향적인 사람이 수다쟁이일 수도 있다.

외향적, 내향적을 구분하는 지표는, '이 사람이 사회적인 자극을 얼마나 많이 필요로 하는 가.'이다.

내향적인 사람은 사회적인 교류가 많지 않아도, 충분한 포만감을 느끼는 반면, 외향적인 사람은 다른 사람들이 주는 자극에 목말라한다.

배고픔, 목마름은 비유가 아니다. 실제로 사회적인 관계를 조정하는 메커니즘은 배고픔, 목마름과 같은 생리적인 욕구를 관장하는 그것과 동일하다.

그래서 엄마들은 아이가 밥 먹는 것만 봐도 내 배도 부르고, 이리저리 마음이 치여 울적할 때 달달이를 먹으면 기분이 좀 나아지기도 한다. '마음이 헛헛하다.'와 같은 표현도 같은 맥락이다.

- 좀 더 과학적인 설명은 다음과 같다.

내향적인 사람은 작은 사회적인 자극에도 많은 도파민이 분비되어 쉽게 만족하지만, 외향적인 사람은 같은 수준의 만족을 느끼기 위해 더 많은 자극이 필요하다.

사랑과 배고픔이 같은 메커니즘이라, 사랑에 빠지면 배고픔을 덜 느끼지만, 마찬가지 원리로 사랑에 빠지면 딸기가 더 달게 느껴지기도 한다. 이미 고양된 상태이기 때문이다.


아래 유튜브 본문(44:17-44:20)의 표현처럼, "사랑하는 사람과 먹는 딸기는 정말 맛있습니다."

"And indeed, there are experiments that have been done where if people have just fallen in love, the taste of a strawberry can just be incredible."


사랑하는 사람(도파민) + 맛있는 딸기(도파민)의 조합이니 정말 맛있을 수밖에!

사랑하는 사람과 맛있는 음식을 먹는 것만큼 큰 행복도 없을 것이다.


타인과의 유대감은, 다른 사람이 느끼는 그것을 느끼는 것에 기초한다.

여기에는 옥시토신 호르몬이 관여한다.

같은 스토리를 다른 시간대, 다른 장소에서 듣게 한 사람들의 심장박동, 동공 사이즈 등의 신체적인 변화를 관찰한 연구에 따르면, 같은 스토리를 듣게 하는 것만으로 신체적인 동화가 일어난다.

이는 '콘서트 효과'라 불리는 것으로, 같은 종류의 체험을 한 사람들에게 신체적인 동화가 일어나고 이는 이들 간 유대감을 공고히 한다.


순간 교회 예배가 생각났다. 20대 때는 하우스메이트 따라서 교회를 꽤 열심히 다녔다. 침례교여서 그랬는지, 예배가 좀 시끌벅적했다. 그때 내가 느꼈던 다른 교인들과의 유대감과 교회에 대한 소속감도 어쩌면 '콘서트 효과'였는지 모르겠다. (지금은 여러 가지 이유로 교회를 나가지 않는다.)


크리스마스이브부터 크리스마스 오후까지 책상에 붙박이로 앉아 작업을 했다.

아이들에게 미안해서, 스파이더맨을 보기로 했는데, 이제는 이 녀석들이 뭐하느라 바쁜지 가타부타 말이 없다.

단톡방에는 딸이랑 같이 만들었다며, 산타클로스 얼굴이 그려진 케이크가 올라오는데 그 모습이 그리 좋아 보였다.

넷플릭스 영화이건, 극장에서 보는 스파이더 맨 인건, 오늘은 꼭 아이들과 시간을 같이 보내야지.

다 커서 이제 케이크를 같이 굽진 않겠지만, 가족들과 함께 시간을 보내고, 같이 맛있는 것을 먹어야지 다짐한다.


다시 한번 되새기는 후버맨 교수님 말씀,

"사랑하는 사람과 먹는 딸기는 정말 맛있습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RgAcOqVRfYA&t=4235s

Science of Social Bonding in Family, Friendship & Romantic Love | Huberman Lab Podcast #51

[28:09-29:01] - 외향성과 내향성

Let's look at the social homeostasis circuit through the lens of what's commonly called introversion and extroversion.

Now, typically when we hear about introverts, we think about the quiet person at the party, or the person that doesn't want to go out at all.

And we think about an extrovert as somebody who's really social, the so-called social butterfly,

who enjoys social interactions, is really chatty, is kind of life of the party type person.

That's the cliche or the kind of pop psychology cliche, but actually in the psychology literature, that's not really the way it holds up.

Many people who appear introverted are actually extroverted.

The quiet person at a party could be an extrovert, except that they just don't talk very much.

The characteristic of an extrovert is somebody that gets energy or feels good from social interactions, they sort of get a lift, and we can predict that that lift occurs because of some release of dopamine within their brain and body.


[29:37-30:53] - 도파민과 내향성, 외향성

Through this lens of the social homeostatic set point, and we think about dopamine as this molecule that drives motivation to seek out social interactions, what we can reasonably assume is that introverts are people that when they engage in certain forms of social interaction, either the amount of dopamine that's released is greater than it is an extrovert, that's right, I said greater than it is at an extrovert, and so they actually feel quite motivated, but also satisfied by very brief, or we could say sort of sparse social interactions.

They don't need a lot of social engagement to feel sated.

Again, the parallel example would be hunger.

This would be somebody who doesn't need to eat much in order to feel satisfied.

Whereas the extrovert, we can reasonably assume releases less dopamine in response to an individual social interaction.

And so they need much more social interaction in order to feel filled up by that interaction.

And indeed this is supported by the neuro-biological imaging studies.

So rather than thinking about introverts and extroverts as chatty versus quiet, it's useful to think about people, maybe yourself, maybe other people you know, as how much social interaction they need


[50:15-51:32] - 경험을 공유하기

Many people when they interact with others, expect that the mere interaction with the other person is going to create the sense of bonding.

And often that is the case, for instance, if are involved in intimate disclosure, if people enjoy each other's company so much that just the mere sight of somebody evokes great feelings

and it's mutual, that often can happen.

But in many types of social interactions, it's not the direct interaction with that person that makes us feel close to them, but rather it's shared experience.

And shared experience is shared physiology.

That's the point I'm trying to make by way of this study about conscious processing of narrative stimuli synchronize this heart rate of different individuals.

So for instance, if you have a somewhat challenged or somewhat, let's call it a slight friction in getting close with somebody, or it can be a challenging interaction, oftentimes, it's very useful to focus outward on some other common narrative, a movie, oftentimes people will

watch a game together.

Actually there's a lot of critique that people or families will focus outward too much on external events, but these external events can be observing the grandchild and how wonderful they are, or observing the meal and how wonderful it is.


< 출처 : Pixabay >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